• 제목/요약/키워드: soda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46초

소오다회 제조 공장의 폐슬러리를 이용한 미세 실리카 함유 폐수의 응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gulation of Wastewater Containing Fine Silica Particles with the Waste Slurry from Soda Ash Manufacturing Industries)

  • 전세진;임성삼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1073-1078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오다회 제조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슬러리를 미세 실리카가 함유된 공장 폐수의 응집제로 이용 가능한 지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폐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자 수행되었다. 실리카 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경우 단순히 응집 처리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수중에 미립자로 존재하는 실리카를 먼저 겔화(gellation)시킨 후 응집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 적은 양의 폐슬러리를 사용하여도 양호한 처리수질을 얻을 수 있어 소오다회 폐슬러리를 실리카 함유 폐수 처리를 위한 응집제로 재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폐수 중 실리카의 겔화를 위한 적정 pH는 5정도였으며 겔화에 의한 응집 처리시 약품 사용량의 감소와 응집 수 발생되는 슬러지 양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소오다회 폐슬러리로 응집시킨 플럭의 탈수성과 침강성 역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석회-소다회를 주입한 십자흐름 세라믹 한외여과공정을 이용한 경도 이온 제거 (Removal of Hardness Ions by Crossflow Ceramic Ultrafiltration Process with Adding Lime-soda Ash)

  • 박진용;박보름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191-1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경도 이온의 화학적 침전을 위하여 지하수에 과량의 Lime-Soda ash를 주입하여 플럭(floc)을 형성한 다음 침전과정을 십자흐름(Crossflow) 방식의 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한외여과(UF) 공정으로 대체하였다. 그 결과 두유 포장팩 세척수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의 총경도를 10 mg/L as $CaCO_3$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한편, TMP(Trans-membrane pressure) 및 유량 변화 실험에서 투과선속(Permeate flux, J) 및 무차원한 투과선속($J/J_0$) 변화를 조사하여, TMP 및 유량이 무기물로 형성된 응집 플럭에 의한 막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실험 범위에서 TMP 및 유량 변화가 막오염과 총경도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다.

미세결정셀룰로오스의 제조를 위한 억새 바이오매스의 처리 및 특성연구 (Study o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crystalline cellulose from Miscanthus sinensis)

  • 성용주;이영주;이준우;김세빈;박관수;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4호
    • /
    • pp.56-63
    • /
    • 2010
  •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was prepared from Miscanthus in this study. Two pulping methods, soda pulping and alkaline sulfite pulping were applied as a pretreatment process. After pulping, two different bleaching processes such as $ClO_2$ treatment followed by $H_2O_2$ treatment and $O_3$ treatment followed by $H_2O_2$ treatment were carried out. Two concentration of $H_2SO_4$, 47% and 57% were applied to the purified Miscanthus cellulose as a acid hydrolysis process to make MCC. The crystallinity index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MCC were evaluated with X-ray diffractomet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CC originated from the soda pulping sample showed the higher crystallinity index than that originated from the alkaline sulfite pulping sample. The two stages of treatmen twith $O_3$ and $H_2O_2$ resulted in the higher purified cellulose products.

Soda-Lime Glass에서 Cullet과 장석의 첨가에 따른 Alumina 변화가 제조공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umina contents in Feldspar and cullet for the Soda-lime glass manufacturing)

  • 노광홍;김종옥
    • 공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5-27
    • /
    • 2004
  • 현재 유리병의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 제병공장에서는 저렴하면서도 질 좋은 유리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 첫째 목적이다. 이 목적에 가장 경제적으로 접근하면서 수입 원료에 비하여 훨씬 저렴한 국내산 원료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의 연구와 에너지절감 및 환경 친화적인 자원재활용 등을 목적으로 파유리를 사용하고 그 양을 늘리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소다석회유리에서 $Al_2 O_3$의 함량이 2%미만일 때는 물리화학적인 장점이 실현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좋은 규사를 채광 할 수 없고, 채광 가능한 제품은 $Al_2 O_3$의 함량이 4%이상이므로 국내산 규사만으로 유리조성의 $Al_2 O_3$의 함량을 2%미만으로 조절하기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낮은 품질의 유리물로서 생산이 가능한 200ml 이하의 소형 유리병(특히 갈색약품 병) 생산 공장에서는 국내산 규사만을 사용하여 유리물을 만들고 있으나, $Al_2 O_3$함량증가에 따라 발생되는 결점(Cord, Knot, 실투, 기포 등)의 증가로 생산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파유리 투입 시 병유리와는 조성상의 이질성에서 오는 결점의 발생과 파유리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유리물점도 상승으로 용해로 바닥의 온도가 낮은 유리물 정체부위의 실투발생 등 생산 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여러 가지 분석 방법을 통해 관찰,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 PDF

Prediction of Peak Back Compressive Forces as a Function of Lifting Speed and Compressive Forces at Lift Origin and Destination - A Pilot Study

  • Greenland, Kasey O.;Merryweather, Andrew S.;Bloswick, Donald 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3호
    • /
    • pp.236-242
    • /
    • 2011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predicting static and dynamic peak back-compressive forces based on (1) static back compressive force values at the lift origin and destination and (2) lifting speed. Methods: Ten male subjects performed symmetric mid-sagittal floor-to-shoulder, floor-to-waist, and waist-to-shoulder lifts at three different speeds (slow, medium, and fast), and with two different loads (light and heavy). Two-dimensional kinematics and kinetics were captured.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velop prediction equations, the amount of predictability, and significance for static and dynamic peak back-compressive forces based on a static origin and destination average (SODA) backcompressive force. Results: Static and dynamic peak back-compressive forces were highly predicted by the SODA, with R2 values ranging from 0.830 to 0.947. Slo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low and fast lifting speeds (p < 0.05) for the dynamic peak prediction equations.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for static predic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one with a significant positive intercept value. Conclusion: SODA under-predict both static and dynamic peak back-compressive force values. Peak values are highly predictable and could be readily determined using back-compressive force assessments at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a lifting task. This could be valuable for enhancing job design and analysis in the workplace and for large-scale studies where a full analysis of each lifting task is not feasible.

알칼리 용출법에 의한 폐광산 광미중의 비소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Arsenic From Closed Mine Tailings by Alkali-Leaching Method)

  • 이재령;오종기;이화영;김성규;박재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3-79
    • /
    • 1997
  • 알칼리용출법을 사용하여 폐광산 광미로부터 비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시료는 오래전에 폐광된 폐광산인 다덕광산 및 유천광산에서 채취한 광미를 사용하였으며, 알칼리용출액으로는 가성소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알칼리용출후 용액중의 비소 성분은 칼슘비소화합물 형태의 불용성 침전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제거할수 있었다. 실험결과 침출조건에 따라 약 60∼90%의 비소침출율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0.5N이상의 가성소다 농도에서는 침출율에 대한 온도 및 슬러리 농도의 영향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용출시 소모되는 알칼리 양이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0.5N이상의 가성소다 용액을 사용할 경우 용출액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소 침전실험 결과 침출액에 대하여 2wt% 염화칼슘을 첨가함으로써 침전시간 10분이내에 99%이상의 비소 침전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Role of Household Exposure, Dietary Habit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M1, T1 Polymorphisms in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India

  • Phukan, Rup Kumar;Saikia, Bhaskar Jyoti;Borah, Prasanta Kumar;Zomawia, Eric;Sekhon, Gaganpreet Singh;Mahanta, Jagadi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253-3260
    • /
    • 2014
  • Background: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usehold exposure, dietary habits, smoking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M1, T1 polymorphisms on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India.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230 newly diagnosed primary lung cases and 460 controls from women in Mizora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adjusted odds ratio (OR). Results: Exposure of cooking oil fumes (p<0.003), wood as heating source for cooking (p=0.004), kitchen inside living room (p=0.001), improper ventilated house (p=0.003), roasting of soda in kitchen (p=0.001), current smokers of tobacco (p=0.043), intake of smoked fish (p=0.006), smoked meat (p=0.001), Soda (p<0.001) and GSTM1 null genotype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Significantly protective effect was observed for intake of bamboo shoots (p=<0.001) and egg (p<0.001). A clear increase in dose response gradient was observed for total cooking dish years. Risk for lung cancer tends to increase with collegial effect of indoor environmental sources (p=0.022).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for interaction of GST polymorphisms with some of dietary habits.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important role of exposure of cooking oil emission and wood smoke, intake of smoked meat, smoked fish and soda (an alkali preparation used as food additives in Mizoram) and tobacco consumption for increase risk of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