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F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 Yim, Moo-Hyun;Hong, Taek-Geun;Lee, Jun-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82-588
    • /
    • 2006
  •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ation extract (PFE) and the 50 and 80% ethanol extracts (PE 50, PE 80) of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were evaluated. Electron donating ability, superoxide dismutase (SOD) 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observed in PFE; those abilities differed in PE 80 and PE 50, depending on the ethanol concentration used for the extraction. PFE ha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with a value of 92.20%, while PE 80 and PE 50 had values of 74.66 and 53.47%, respectively. For SOD activity, PE 80 exhibited a slightly higher value of 31.11% compared to that of PFE and PE 50, which were 29.65 and 25.43%, respectively. PFE, PE 50, and PE 80 were all found to inhibit bacteria,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inhibition was strongly related to the type of extracts used. PFE showed good antimicrobial effects for all of the tested Gram-positive strains and for most of the tested Gram-negative str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E has superior functionality compared to the ethanol extracts (PE 80, PE 50), in terms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pine needle fermentation extracts can be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s a functional material.

표면부착에 의한 사람 폐포대식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Adherence-induced gene expression in human alveolar macrophages)

  • 정만표;유철규;한성구;심영수;이종헌;한용철;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36-944
    • /
    • 1996
  • 연구배경: 식세포인 호중구나 단핵세포는 생체 외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분리법인 플라스틱 표면부착만으로도 세포활성화가 일어나 이후의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고 이 과정에 염증반응과 관련된 물질의 유전자 전사 및 부착분자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의 주된 면역세포인 폐포대식세포도 대부분 플라스틱 표면부착에 의해 세포를 분리하므로 사람의 폐포대식세포가 표면부착 자체에 의해 활성화되고 여기에 염증관련 유전자 및 부착분자가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적어도 한 쪽 폐가 정상인 사람에서 기관지폐포세척술을 통해 얻은 폐포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표면부착이 미치는 영향을 얄아보기 위해 부유상태와 부착상태에서 각각 시간에 따른 lL-8, SOD 및 CD11/CD18 mRNA 발현을 Northern blot analysis로 분석하였고 PMA와 fMLP로 추가 자극했을 경우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 보았다. 결과: 1) 플라스틱 표면에 부착시킨 폐포대식세포는 염증 또는 면역에 관계되는 IL-8 mRNA 및 SOD mRNA의 발현이 부착시간 정과에 따라 증가하여 부착 8시간후에 최대로 나타났으나 CD18 mRNA 발현은 부착에 의해 증가되지 않았다. 2) 이런 mRNA의 증가는 PMA에 의해서는 부착여부와 관계없이 유도되었지만 fMLP에 의해서는 부착된 세포에서만 유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플라스틱 표면부착에 의해 폐포대식세포에서 염증매개성 물질의 유전자발현이 증가되며 이는 표면부착에 의한 세포 활성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16F10 세포에서 Flavonoid인 Myricetin과 Vitamine C, Vitamine E의 병용 투여가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ricetin Combined with Vitamin C or Vitamin E on Antioxidant Enzyme System in Murine Melanoma Cells)

  • 유지선;김안근
    • 생약학회지
    • /
    • 제35권4호통권139호
    • /
    • pp.357-363
    • /
    • 2004
  • Flavonoids are class of polyphenolic compounds widely distributed in the plant kingdom, which display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viral, antithrombotic, antiiflammatory, antihistaminic, antioxidant and free-radical scavenging abilities. To determined flavonoid, myricetin in the presence of other antioxidants - vitamin C and vitamin E - can exert antioxidative properties not only directly by modulating the AOE system but also scavenging free radical, we investigated cell viability,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ROS level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 B16F10 cells were exposed to medium containing myriceti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itamin C or vitamin E for a period of 24 hr.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In co-treating myricetin with other antioxidants, CAT activities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but SOD and GPx activities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each antioxidant treated groups . In the group of myricetin or myricetin present with other antioxidants, ROS levels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Especially, myricetin present of other antioxidants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myricetin.

금은화(金銀花) 열수 추출물이 피부 미백(美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Lonicera Japonica Flos Extracts on whitening using B16F10 cell lines)

  • 우배언;김혜화;이유림;박수연;정민영;최정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8-50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Lonicera Flos Extracts(LFE) on whitening using B16F10 cell lines. Methods : In this experiment, we observed effects of LFE on cell viability, inhibitory effects of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tyrosinase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Results : In results, more than $2000{\mu}g/ml$ of LFE treated group showed lowered cell viability rates significantly compared to albutin treated group. More than $2000{\mu}g/ml$ of LFE treated groups were lower levels of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of melanin production showed in $1000{\mu}g/ml$ of LFE treated group. $1,000{\mu}g/ml$ of LFE treated group significantly suppressed tyrosinase activities in vitro. LFE and albutin treate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activity compared to non treated group. SOD-like activity of LFE treated group was lower than vitamin C treated group but increased depending on concentration. $500{\mu}g/ml$ of LFE treated group and $1,000{\mu}g/ml$ of LF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yrosinase mRNA expression of ${\alpha}$-MSH and LFE $250{\mu}g/ml$ treate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alpha}$-MSH treated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FE can inhibit melanin synthesis through inhibitory action on tyrosinase activity. And LFE suppressed tyrosinase activities B16F10 cells significantly. So I suggest LFE can apply to whitening.

바나나 껍질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Positive Effect of Musa paradisiaca Peel Ethanolic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 김재련;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02-810
    • /
    • 2018
  •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몸의 변화로 검은 머리가 흰 머리로 변하는 백발화, 과산화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생성되는 검버섯, 주름 등으로 나타난다. 멜라닌은 tyrosine에서 DOPA를 거쳐 산화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로 인체 내에 존재하는 머리카락 및 피부 색을 결정한다. 이러한 멜라닌은 melanocyte에서 합성되며, 활성산소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되면 노화를 일으킨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합성에 대한 바나나 껍질 추출물(MPEE)의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MPEE는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와 reducing power assay를 수행한 결과, 두 실험 모두 양성대조군인 vitamin C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실험에 앞서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B16F1 세포에서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MPEE는 $32{\mu}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PEE는 invitro에서 tyrosinase 활성과 DOPA-oxidation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더욱이, $H_2O_2$로 세포를 노화시켜 L-DOPA 실험을 수행한 결과, MPEE는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단백질 수준의 발현을 위한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한 결과, TRP-1, TPR-2와 SOD-2의 발현 수준은 MPEE의 존재 하에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MPEE가 항산화 소재로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폴리아민의 세포보호 효과 (Cytoprotective Effects of Polyamines Against Oxidative Stress)

  • 안선이;이지영;정해영;유미애;김종민;김병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26-632
    • /
    • 2005
  • 폴리아민은 모든 진핵세포에서 발견되는 다가 양이온성의 저분자 물질이며 세포성장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폴리아민의 역할 중에서 산화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쥐의 간세포주인 $Ac_2F$에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하여 2,2'-azobis(2-amidinopropane)dehydrochloride (AAPH)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증식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배지에 폴리아민을 첨가하였을 때 세포성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ROS 발생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폴리아민 가운데 특히 spermidine과 spermine이 뚜렷한 세포증식효과를 보였다. Spermine의 경우, $20{\mu}M$농도에서 AAPH에 의해 유도된 ROS발생을 $45\%$나 감소시켰다. 산화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효소들 가운데 주된 효소인 superoxide dismutate (SOD)와 catalase (CAT)의 세포 내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으로 조사한 결과, AAPH는 이 두 가지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permine을 처리하였을 때 두 단백질의 생산은 모두 정상적으로 회복이 되었다. 또한 세포주기의 중요한 조절 단백질인 cyclin E 역시 AAPH에 의하여 생성이 억제되었다. 이는 AAPH에 의하여 생성된 ROS가 세포주기의 S phase의 진행을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AAPH에 의한 cyclin E의 억제는 spermine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위와 같은 Spermine의 항산화 효과는 ethidium bromide와 acridine orange를 이용하여 형태학적으로도 증명되었다.

익모초(益母草) 추출물이 악성 흑색종 세포에 미치는 피부미백효과 (Skin Whitening Effect of Leonuri Herba Extracts(LHE) on Malignant Melanoma Cell)

  • 김지은;임경민;나가영;김혜화;강병수;최정화;박수연;정민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61
    • /
    • 2017
  • Objectives : In order to find out the whitening effects of Leonuri Herb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and the action mechanism of LHE(Leonuri Herba extract) on Malignant melanoma cell lines. Methods : After treating LHE on the B16F10 cell-Malignant melanoma cell line-, the cell survival rate, melanin biosynthesis rate, intra&ex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rate, SOD-like activity, tyrosinase mRNA gene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ithout LHE treatment or with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whitening efficacy substance. Results : B16F10 cell survival rate, melanin biosynthesis rate, and intra&ex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LHE. Melanin biosynthesis rate and tyrosinase activity rate were also decreased when ${\alpha}-MSH$ was combined with LHE. In addition, the SOD-like activity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treatment with the LHE, indicating signigicant activity at high concentrations, and the tyrosinase mRNA gene expression was decreased in both the LHE-treated group, the LHE and ${\alpha}-MSH-treated$ group. Conclusions : LHE seems to inhibit melanin synthesis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ion of tyrosinase mRNA gene express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promoting SOD-like activity and may be used clinically as a skin whitening agent in the future.

A 43 kD Protein Isolated from the Herb Cajanus indicus L Attenuates Sodium Fluoride-induced Hepatic and Renal Disorders in Vivo

  • Manna, Prasenjit;Sinha, Mahua;Sil, Parames C.
    • BMB Reports
    • /
    • 제40권3호
    • /
    • pp.382-395
    • /
    • 2007
  • The herb, Cajanus indicus L, is well known for its hepatoprotective action. A 43 kD protein has been isolated, purified and partially sequenced from the leaves of this herb. A number of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carried out in our laboratory suggest that this protein might be a major component responsible for the hepatoprotective action of the herb. Our successive studies have been designed to evaluate the potential efficacy of this protein in protecting the hepatic as well as renal tissues from the sodium fluoride (NaF) induced oxidative stress. The experimental groups of mice were exposed to NaF at a dose of 600 ppm through drinking water for one week. This exposure significantly altered the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 enzymes like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S-transferase (GST),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the cellular metabolites such as reduced glutathione (GSH), oxidized glutathione (GSSG), total thiols, lipid peroxidation end products in liver and kidney compared to the normal mic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the protein at a dose of 2 mg/kg body weight for seven days followed by NaF treatment (600 ppm for next seven days) normalized the activities of the hepato-renal antioxidant enzymes, the level of cellular metabolites and lipid peroxidation end products. Post treatment with the protein for four days showed that it could help recovering the damages after NaF administration. Time-course study suggests that the protein could stimulate the recovery of both the organs faster than natural process. Effects of a known antioxidant, vitamin E, and a non-relevant protein, bovine serum albumin (BSA) have been included in the study to validate the experimental data. Combining all, result suggests that NaF could induce severe oxidative stress both in the liver and kidney tissues in mice and the protein possessed the ability to attenuate that hepato-renal toxic effect of NaF probably via its antioxidant activity.

B16/F10 흑색 종 세포에서 오디(Morus alba)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on Activi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of Ethanol Extracts from Morus alba in B16/F10 Melanoma Cells)

  • 조미래;조인아;이중헌;김수관;이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80% 식물성 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해 오디를 빛을 차단 후 실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3회 여과한 후 최소 온도($40{\sim}60^{\circ}C$)에서 농축한 뒤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였다. 오디(Morus alba)의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의 항산화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멜라닌 함량과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 하였다. Tyrosinase와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1은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2보다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들 결과는 tyrosinase와 TRP-1은 흑갈색을 띠는 eumelanin의 생합성의 억제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 처리 한 B16/F10 흑색 종 세포에서 M. alba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연관 단백질의 발현 및 멜라닌 생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멜라닌 함량과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 하였다. 또한 DPPH와 SOD를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총 폴리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 하였다. MTT assay 분석을 사용하여 M. alba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 하였다. B16/F10 멜라닌 생성 세포의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사멸 효과가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M. alba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성분으로서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쥐 흑색종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MMPs의 발현과 활성에 대한 흑도라지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Aged Black Platycodi Radix Extract on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Oxidative-stressed Melanoma Cells)

  • 채용병;이수진;장호정;박정애;김문무;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6-744
    • /
    • 2010
  • 도라지는 민간에서 항궤양, 항진통, 항알러지, 혈관과 히스타민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뿌리인 길경은 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즐겨먹는 식품 소재로 사포닌이 과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나, 그 작용기전은 과학적으로 해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흑도라지가 특정한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 및 MMPs) 대한 ABPRE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ABPRE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reducing power, hydrogen peroxide, lipid peroxidation 및 DNA 산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ABPRE는 DPPH radical 소거에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지질과산화에 의한 malondialdehyde의 생성은 억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ABPRE의 존재 하에서 산화적 DNA 손상이 억제되었다. 또한 gelatin zymography 및 western blot 분석에서 ABPRE는 PMS (phenazine methosulfate)에 의해서 자극된 MMP-2의 발현과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ABPRE는 항산화 효과 및 tyrosinase 발현 억제에 의한 L-DOPA로 유발된 melanin 생성을 저해 하였을 뿐만 아니라 Nrf2에 의해서 조절되는 항산화 효소인 SOD-1과 SOD-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ABPRE는 항산화와 관련 있는 암전이의 예방을 위한 항암제의 후보 소재로 그 가능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