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psychological effect

검색결과 957건 처리시간 0.028초

의류상품 구매고객과 판매원간 관계효익과 신뢰 및 관계몰입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nefit, Trust and Commitmen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Between Apparel Purchaser and Salesperson)

  • 홍병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relationship benefit affect trust and commitment, and how trust and commitment affect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between apparel purchaser and salesperson. For the research, it was surveyed to 230 females in their 20's, who lives in Seoul and Kyeonggi on Feb 10th to 15th in 2007. With SPSS 11.0 program, the data was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relationship benefit, trust and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nefit factor was divided into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benefits. The trust factor was divided into the professional and considerable trust, and the commitment factor was divided into the emotional and calculative commitment. Second, as investigating how relationship benefit affect trust and commitment during purchasing apparel,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affected professional trust. The psychological benefit only affected to considerable trust. Also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 were statically affected to emotional commitment, economic benefit and psychological benefit were affected to calculative commitment. Thir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was affected to professional and considerable trust, and emotional commitment.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Perceived Hom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조혜영;노현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9-78
    • /
    • 2015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이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96명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특성의 가족건강성, 가족환경,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 자아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Pearson의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조절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지지는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73.4%의 설명력을 가지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지원 등 보다 실효성 있는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 주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호텔 조리사의 사회적 교환 관계에 따른 심리적 소유감이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tel Culinarian's Psychological Ownership Based upon Social Exchange Relations on Hi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박종철;안대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3-63
    • /
    • 2010
  • 이 연구는 호텔 조리사의 사회적 교환 관계가 심리적 소유감과 직무 만족,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교환관의 요인 중, 팀-구성원 교환 관계, 조직 지원 인식이 높으면 높을수록 심리적 소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교환 관계의 요인 중, 조직 지원 인식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교환 관계의 요인 중, 팀-구성원 교환 관계,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조직 지원 인식이 높으면 높을수록 조직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소유감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소유감이 높으면 높을수록 조직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of Spousal Caregivers)

  • 홍주연;김민희;방희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3호
    • /
    • pp.367-387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고 있고 50세 이상의 배우자 부양자 142명(여자 89명, 남자 52명)을 대상으로 피부양자의 객관적인 요인, 부양자의 인구학적인 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으로 부양자의 외향성, 신경증적 성향,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과 부양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양부담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에는 피부양자의 일상생활활동수준과 신경증적 성향이, 우울에는 부양자의 신경증적 성향과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양자의 객관적 요인이나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비해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을 더 잘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마지막으로 배우자 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한국인의 음성질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oice Disorders on Quality of Life(QOL) in the Korean)

  • 송윤경;심현섭;권기환;이경철;이용배;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60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Quality of life(QOL) is a construct representing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QOL has been used as a device for measuring the severity of health-related condition and treatment outcomes. As the social welfare system develops, the attention to QOL increases as well.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the effects of voice disorder on QOL than nonpatient group did and if any, identify the sociodemographic risk factors influencing QOL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asked 113 adults with voice disorders who were enrolled in Voice Clinic in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Kangbuk Samsung Hospital between lune 1998 and January 1999 and 111 nonpatients to complete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licit information about the effete of voice disorders on quality of lift.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concerning sociodemographic areas, voice symptoms, job, effects of voice disorders on QOL domains(work, social, psychological, physical, and communication areas), potential risk factors to exposures, familial and medical history of voice disorders. Results :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group are as follows : (1) 75.2% of total patient group were female and the rest were male. (2) Age of total patient group ranged from 20 to 65 years. Hoarseness was the most commonly reported complaints, followed by complaints of high note difficulties during singing and voice fatigue. The patient group perceived effects of voice disorders on the areas of work, social, psychological, physical and communication more adversely than the comparison group did (p<0.05). QOL impairments were evaluated as a function of age, gender, education, and income, controlling other independent effects. The results were that (1) 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k problems and (2) gender and inc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problems. Conclusions :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would perceive markedly adverse effect on all QOL domains, that is, work, social, psychological, physical, communicational areas. Therefore, the results of study suggest that lurker investigations about the nature of voice disorders, the prevention, treatment, and coping strategies are needed in the future.

  • PDF

베이비부머의 자본역동과 삶의 질의 구조모형: 출생코호트의 조절효과 (A Structural Model of Baby Boomers' Capital Dynamics and Quality of Life: Moderated by Birth Cohort)

  • 신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29-437
    • /
    • 2019
  • 본 연구는 전주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의 다양한 자본역동과 역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더불어 초기와 후기베이비부머로 구분되는 출생코호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검증을 위해 303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베이비부머의 인적자본은 심리자본, 경제자본, 사회자본, 삶의 질에 직간접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제자본은 심리자본, 사회자본, 삶의 질에 직간접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리자본은 사회자본, 삶의 질에 직간접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자본은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출생코호트는 경제자본이 심리자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했다. 검증된 자원역동과 조절효과는 베이비부머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와 중재방향을 제공했다. 향후 연구지역을 농촌과 대도시로, 연구대상을 베이비붐 이후세대로 확장을 권고한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Stress due to End-of-Life Care,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권은희;주현옥;정은옥;한춘희;임진주;이유리;정민승;박소연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75-48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ress levels due to end-of-life care,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on their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128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general hospitals in B city participat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coping strategy that nurses most often used was seeking social support. The factors affecting the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were wishful think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in order. Those 3 variables explained 21 % of the total vari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wishful thinking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es with a program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o improve their problem-based coping skills.

특급호텔 서비스를 이용하는 VIP 고객 관점에서의 CRM 관계편익에 관한 연구 : 일반 고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Doe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for VIP Customers Affect Repurchase and Positive WOM in Premium Hotels?)

  • 심병희;김민철;고재용;김상용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5-206
    • /
    • 2011
  • "Does CRM benefit affect repurchase or WOM? What is difference between VIP customers and non-VIP customers on CRM benefit?" is the interesting issue on premium industry such as a hotel business.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benefit, psychological benefits, economic benefits and customization benefits affect repurchase and positive WOM in premium hotel. Only three of the four benefi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repurchase and positive WOM. Also interactions between customer type and benefits were different in repurchase and WOM. The results figure out that VIP customers depend on psychological benefits and customization benefits on repurchase, whereas VIP customers depend on only social benefit on WOM. This finding suggests that hotels need to develop VIP program and approach differently to increase the repurchase volume or positive WOM effect.

소셜 러닝 커뮤니티에서 심리적 요인, 지식소싱 행태, 지식활용 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among Psychological Factors, Knowledge Sourcing Behavior and Knowledge Utilization Outcomes in Social Learning Community)

  • 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67-2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러닝 커뮤니티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요인, 지식소싱 행태, 지식활용 성과 간의 영향 관계 및 소셜 러닝과 구성원간 관계 요인이 갖는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일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 인터뷰를 실시하여 소셜 러닝 및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심층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학기에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사회과학분야 학부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소셜 러닝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목표지향성은 그룹 지식소싱, 소셜 러닝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의 이용경험은 그룹 지식소싱, 소셜 러닝 활동참여와 소셜 러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활용의 측면에서 문서 지식소싱은 지식재이용, 지식응용,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 지식소싱은 지식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며, 그룹 지식소싱은 지식응용,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러닝 활동참여는 목표지향성이 그룹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소셜 미디어의 이용경험이 그룹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모두 완전매개 효과를 갖고, 상호호혜성은 문서 지식소싱이 지식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문서 지식소싱이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층 면접 인터뷰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습득하는 정보가 신뢰할만하고 정보 습득에 용이하며,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그룹 활동을 통해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커뮤니티 구성원의 정체성 형성과 참여에 대한 연구: 가상 자산의 가치의 역할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Formation and Engagement of The Metaverse Community: Value of Virtual Assets)

  • 이민영;김상현;손창용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3권1호
    • /
    • pp.183-20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form the social identity of metaverse community users an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that influence engagement behavior.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o-technical factors and social identity of metaverse community. Furthermore, we would figure out the role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irtual assets in engagement of metaverse community members. Design/methodology/approach Hypothes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the metaverse community. 357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structural equitation modeling(SEM) with AMOS 24.0. Finding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of the proposed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echnical and social perceptions of the metaverse community platform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identity. Social identity affects the intention to engage in the metaverse community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ts influence is reinforced by the perceived value of virtual as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