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skills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 사회복지실천 현장 내 기본 실천기술의 실증적 확인 및 분류 (Basic Social Work Practice Skills: Its Empirical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Practice Field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6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 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한국어판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Practice Skills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I -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Skills Inventory I)

  • 김용석;김장배;이영숙;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5-32
    • /
    • 2010
  •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사용하는 실천기술이 어떤 것이고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Practice Skills Inventory(PSI)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목적을 갖고 수행되었다. 임상현장에서 활동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3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PSI를 평가한 결과 한국어판 PSI도 영어판 PSI와 마찬가지로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어판 PSI는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비록 PSI가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이나 국내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연구, 실천, 교육을 위한 함의가 제공되었다.

  • PDF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5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 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 PDF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청소년의 원활한 고용진입을 위한 학교세팅에서의 직업교육 강화 방안 연구 : 한국과 미국 비교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in Schools to Promote the School-to-Work Transition : A Comparative Analysis of in Korean and the U.S. Systems)

  • 정영순;송연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5권
    • /
    • pp.341-373
    • /
    • 2001
  •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reform of vocational education plans so as to bring about a seamless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It puts forward a number of suggestions based upon an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n and U.S. schools, concerning the government's role, partnerships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the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and work-based learning. First, not only government initiatives but also close partnerships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are essential to help vocational education in school the transition to employment. Education and industry should work closely together to standardize certificate related skills and to have these skill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lso the government should strive to provide guidelines for work-based learning and formulate standards for supervision and evaluation. Second, to facilitate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comprehensive schools should be promoted so that students have access to a greater ranger of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an assessment system that certifies a mastering of the basic skills of those who undergo the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it should be related to earn these certificates. Third, standardized vocational skill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skills that are useful for industry. All the students i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hould have access both to general education,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and for employ ability, and to basic occupational skills which empower students in dealing with rapid changes of technology. Also a range of specialized vocational curricula should be offered so that students can opt for more specialized occupations; and they can select careers appropriate to their capability. Fourth, so that all students to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part in work-based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mployment, various work-based learning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and their educational conditions. Companies should for their part train students thoroughly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work-based education. In addition, supervisors should be stationed both in schools and companies in order to administer the students' work-based learning.

  • PDF

자기조절에 대한 교사신념,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 및 학교준비도의 관계 : 유아 성별에 따른 차이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Beliefs Regarding Self-control, Preschooler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 The Gender Difference)

  • 성미영;장영은;손승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1-78
    • /
    • 2016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belief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e study sample included 229 preschoolers aged 3 to 5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of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aths from teachers' beliefs to children's school readiness via the mediation of their behavioral self-regulation were examined.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directly assessed using Head-to-Toe Task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stronger beliefs in and responsibility for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significantly predicted greater behavioral self-regulation among children,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fluenced greater social skills and work-related skills. The contribution of teachers' beliefs and behavioral regulation to social skills and work-related skills was positive and stronger for boys.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ion Tool for Mental Disorders)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4호
    • /
    • pp.41-5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평가도구를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개발연도, 평가방식, 문항 수, 척도,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평가 항목을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각 평가도구의 평가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다. 결과 : 검색어를 통한 Pubmed 검색 시 161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 방법에 따라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u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의 7개 평가도구가 선별되었다. 모든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직무와 관련된 기능평가를 포함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목적에 따라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업 기술은 신체, 인지, 사회기술, 대처능력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ICT 융합 평가도구의 개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원조전문직의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사,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공무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Helping Professions' Cultural Competence - Focusing on Social Workers, Teachers, Nurses, and Social Work Civil Servants -)

  • 최소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5-29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공무원의 문화적 역량 현황과 선행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의 문화적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복지사, 공무원, 간호사 순이었다.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외국어구사여부, 다문화업무시간, 종사기간, 교육훈련시간, 조직의 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직군 간에 유의미한 선행요인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화적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직장 여성의 사회적 매력에 대한 인식과 외모 관리 행동 연구 (Career Women's Perception of Social Attractive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이고은;이윤정;이민선;황정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155-168
    • /
    • 2023
  • This study focused on working women's perceptions of social attractiveness and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ocial attractiveness is defined as individuals' achieved attractiveness which can be expressed through social expressive power or social skills rather than innate physical appearance. This study was empirically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200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rticipants recognized four factors constituting social attractiveness: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business manners, social skills, and sexual attractiveness. When they were asked to assess themselves on the same measures, these characteristic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six factors: business manners, feminine attractiveness, fashion sense, soci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active appearance management. Their self-perceived social attractivenes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all these factors in the order of feminine attractiveness, business manners, sociability,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 self-presentation tendencie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s, including the passive management group, daily life-oriented management group, work-oriented management group, neutral group, and active management group.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ocial attractiveness components was found to differ by group, although working women in all groups rated weight management higher tha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facil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ocial attractiveness and also provides a foundation base in terms of beauty consulting and marketing for working women to improve their social attra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