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activities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9초

공동주택 거주 노인의 주거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Apartment)

  • 전은정
    • KIEAE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31-40
    • /
    • 2012
  • This study of elderly households living conditions to determine the overall status in the housing environment is to understand. To this end, the stage of elderly as a framework to target living consciousness, living space composition, housing Environment composition of elderly household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zes were employed. For this research is a survey conducted on senior citizens(over 60) in Busan,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s; In the living consciousness, the elderly households showed high perception of dependency but the age of the elderly increases, depends on the parent to the child. Also depending on the aging of the elderly considered health more important than economic conditions. The requirements for living space composition, most respondents prefer to stay in the same place where they currently reside. Move into the new housing was also identified. It was recognized that elderly households not only required living in co-residential space with their families, but also the necessity for individual space. The home environments composition,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support services appears overall the elderly of stage. The age of the elderly increases, a strong demand for care and support service were identified. Health activities i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as age increased mainly done by the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been identified that are important.

초등학생의 여가참여유형이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 신연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33-54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67(boys=191, girls=276)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one way ANOVA, facto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ds of activities participated in according to gender. Second, among of the subscale of leisure satisfaction, boys showed higher scores in more educa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than girls, and in the sub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oys indicated a higher score in flow and happiness than girl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Fourth,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leisure activity statistical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Fifth, leisure satisfaction partially influenc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flow. Educa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개발활동의 실태 및 구성요소의 동질적인 범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3단계 디자인 활동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extual Features of the Program Components during the Process of Social Work Program Design in the Social Service Agencies)

  • 서인해;공계순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237-269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개발 활동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디자인작업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개별 구성요소의 디자인 작업정도가 프로그램 실행지침개발단계 및 수행 평가단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질적인 범주로 구성 및 변화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틀은 프로그램 디자인 및 구성요소 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3 단계 디자인 활동' 모형 속에서 8개의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에서 2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외부 재정지원 단체의 공식적인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 선정되어 성공적으로 수행된 실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이에 대한 자료 수집은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95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기술 분석과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2단계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생각보다 활발하였으나 3단계 프로그램 수행 평가과정단계에서의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별로 디자인 활동의 정도는 편차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입모델, 프로그램 직원교육, 개입윤리 및 가치, 개입절차 및 과정과 같은 항목은 실행지침 및 수행 평가과정 디자인활동 단계 모두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디자인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동질적 범주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나온 8개의 디자인영역이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는 6개, 프로그램 수행 평가단계에서는 4개의 동질적인 범주(blocking)로 묶이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각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의 성격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술적인 함의와 현장의 사회복지 구성요소 디자인 활동을 보다 체계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여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Process Analysis of Housing Poverty Influences on Child Development)

  • 임세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377-402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1차년도)을 활용하여 주거빈곤이 아동의 신체건강, 내재화문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최저기준미달주거와 주거비 비중은 주거불안정과 모(부)불건강, 아동의 비학업활동은 증가시키고, 비주거지출은 감소시켜 아동의 내재화문제와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득빈곤, 지역빈곤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빈곤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발전시키고, 주거 빈곤 정책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Music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Depression in Rural Seniors in Yeongam-gun, Jeollanam-do

  • Se-Hui KIM;Eun-Ju OH;Ik-Sung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89-9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using a music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among rural seniors living in Yeongam-gun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present basic data helpful for an integrated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tailored to rural areas. Research methodology: The analysi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sers of the rural residential program of 'Our Village Day Care Center' in Yeongam-gun in 2023, with a total of 20 people, 10 seniors for each program. The research analysis used SPSS to determine the effect on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pression levels decreased after comple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music therapy program,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ree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need for programs that can improve not only the physical health but also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is suggested. Second, the need for programs that link cultural programs such as music and gardening activities with welfare programs is suggested. Third, the need for follow-up management and verification of periodic mental health checkups for rural elderly is suggested.

제주도 노인복지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무료 노인홈과 무료 요양원을 중심으로- (Surve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of the Jeju Province -Focused on the free home for the aged and free nursing home-)

  • 김봉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5-4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desirable elderly housing facilities system in complian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to help establish policies regarding elderly housing facilities. Present realities and problems of the eight free welfare facilities of two sorts, a free home for the aged and free nursing home in Jeju Province have been studied. In Jeju Province, the average life span and the ratio of the aged people older than 65 are longer and higher than other provinces and the mentality of self-reliance is more widesprea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age of the aged is 70 or older and more facilities are located in rural districts. 2) Some facilities are located in the places where are not adequate for life of the aged, and not even suitable as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3)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are relatively good, while indoor facilities for recreation and social life were not well equipped. 4) Life in the facilities can be assessed relatively free, while individual privacy is not well protected. 5) Major community contacting activities included home help service, participation in regional activities, opening facilities to the community.

  • PDF

Aging in Place를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Service of the Elderly People for Aging in Place)

  • 조인숙;박남희;신화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5-102
    • /
    • 2007
  • As the aging of this society, instead of growing numbers old protective functions of familie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endency of nuclear families, increasing rates of females'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ies. Now, the problem of supporting the old is in need of social supporting system the cope with this situation. Thus it needs that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who stay at home that have local basis. The results are based on these factors are like this: 1) It is necessarily the instruction of medical welfare service. 2) The overlapped service is avoided and the service of specialized. 3) Most of the welfare service institution is Seoul and local city hall, so it needs the institution is transferred. 4) It needs the increase the number of home helper. 5) When the service is offered, the government must considers finance, elderly health condition and preference. 6) It needs the department for the welfare service for the old who stay at home.

청년니트(NEET) 지원 사업에 대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경험 :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NEET Youth Support Project : Focusing on the Vision Plan)

  • 노혜진;이봉주;박미희;박호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125-157
    • /
    • 2018
  • 청년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관심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니트청년을 지원한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들이 사업에 참여하기 전에 청년, 니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고, 사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경험했던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러한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들은 사업 참여 이전에 청년문제의 심각성에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다수의 사회복지사들은 청년이나 니트문제에 대해 관심도 없고 무지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트 청년들과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니트 청년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 니트 청년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의 어려움, 청년들이 시간을 내지 않거나 지키지 않는 것의 어려움, 사업에 대한 노하우가 없는 것으로 인한 어려움, 기관 단독으로 운영할 수 없는 것의 어려움, 취업 목적을 달성하는 것의 어려움 등 6가지의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니트 청년들이 사업에 참여하도록 적극적으로 찾고 설득하며 지지하였고, 청년에게 시간과 장소, 방법을 맞추었으며, 사업 안에 있는 낙인요소를 제거하고 개별화하여 단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역주민과 지역기관, 관과 긴밀히 연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사업을 운영하였고, 청년을 취업시키기보다는 일의 경험을 제공하되 장기적으로 성과를 보는 것으로 관점을 바꾸며 대처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사들은 실무자로서 개인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조직과 현장, 지역사회와 지역기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이 청년 갭이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청년과 일을 할 때에는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기보다 다양한 행위주체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일하며, 무엇보다 사회복지 현장이 청년을 포괄하는 형태로 사업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활동 지원에 대한 길버트와 테렐 분석틀의 적용과 활성화 방안 (The Proposal and Analysis by Gilbert and Terrell on Supports for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 정지영;정호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09-41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설립된 2012년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창작활동에 대한 지원사업을 고찰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분석틀로써 길버트와 테렐(Gilbert and Terrell)의 네 가지 측면인 할당, 재정, 급여, 서비스 전달체계의 측면에서 각각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고 드러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할당의 대상으로서 예술인의 규정이 모호하며 다양한 급여의 형태와 전달체계가 현실적으로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 재정마련에 있어서도 국고이외에 보다 적극적이고 새로운 확보의 방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예술인 지원대상구분에 대한 연구, 일회성이 아닌 장기적인 재원확보 및 현실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 등과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 기관 간 금연사업 네트워크 모델: 블록모델링을 중심으로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A Blockmodeling Approach)

  • 박은준;김형수;이건세;조정희;김진형;정호진;이지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02-21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 Korea. Methods: We surveyed two community health centers, ninety-five hospitals or clinics, ninety- two pharmacies, and sixty-five health welfare organizations in two districts of Seoul in 2020. Data on the organizations' characteristics of smoking cessation and interorganizational activities for information sharing, client referral, and program collabor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network statistics and blockmodeling. Results: Network size wa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haring, client referral, and program collaboration networks. Network patterns for interorganizational activities on information sharing, client referral, and program collaboration among four organization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districts. Community health centers provided information and received clients from a majority of the organizations. Their interactions were not unidirectional but mutual with other organizations. Pharmacies were involved in information sharing with health welfare organizations and client referrals to hospitals or clinics. Health welfare organizations were primarily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for client referrals and program collaboration. Conclusion: A community health center is the lead agency in interorganizational activities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However, hospitals or clinics, pharmacies, and health welfare organizations also participate in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with diverse roles. This study would be evidence for developing future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