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NEET Youth Support Project : Focusing on the Vision Plan

청년니트(NEET) 지원 사업에 대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경험 :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 노혜진 (KC대학교 융합산업학부) ;
  • 이봉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미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
  • 박호준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05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the reality that the seriousness and concern about the youth problem is increas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ion plan project supporting the NEET youth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ocial workers recognized the NEET problem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and how they coped with these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ocial workers were saddened by the seriousness of the youth problem before their participation, but they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way to solve it and many social workers were not fully aware of the youth or NEET issues. In this context, in the course of running a project with NEET youth, social work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nature of the NEET youth, difficulty in forming a relationship with NEET youth, and difficulties for young people not to spend time in the program. And social workers also faced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know-how in the project,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enter alone, and difficulty in achieving employment goal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these difficulties, social workers have actively sought, persuaded and supported the NEET youth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dapted the time, place and method to the youth, and removed the stigmatization element in the project. They also worked closely with local residents, local institutions and municipalities, formed networks, and changed the viewpoint of providing work experience rather than getting young people, but seeing long-term outcome. As a result,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not only individual change but also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ield, community and local institutional chang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should provide various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youth gap year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cial workers play a role in connecting various actors rather than suppliers when working with young people, and that the social welfare field should expand the scope of project to include youth.

청년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관심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니트청년을 지원한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들이 사업에 참여하기 전에 청년, 니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고, 사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경험했던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러한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들은 사업 참여 이전에 청년문제의 심각성에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다수의 사회복지사들은 청년이나 니트문제에 대해 관심도 없고 무지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트 청년들과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니트 청년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 니트 청년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의 어려움, 청년들이 시간을 내지 않거나 지키지 않는 것의 어려움, 사업에 대한 노하우가 없는 것으로 인한 어려움, 기관 단독으로 운영할 수 없는 것의 어려움, 취업 목적을 달성하는 것의 어려움 등 6가지의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니트 청년들이 사업에 참여하도록 적극적으로 찾고 설득하며 지지하였고, 청년에게 시간과 장소, 방법을 맞추었으며, 사업 안에 있는 낙인요소를 제거하고 개별화하여 단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역주민과 지역기관, 관과 긴밀히 연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사업을 운영하였고, 청년을 취업시키기보다는 일의 경험을 제공하되 장기적으로 성과를 보는 것으로 관점을 바꾸며 대처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사들은 실무자로서 개인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조직과 현장, 지역사회와 지역기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이 청년 갭이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청년과 일을 할 때에는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기보다 다양한 행위주체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일하며, 무엇보다 사회복지 현장이 청년을 포괄하는 형태로 사업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배분의제 1차년도 성과평가(빈곤)

Supported by : 사회복지공동모금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