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upports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4초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재활동기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이지예;김혜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145-15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and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tudy variabl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factors that influence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192 stroke patients admitted in two general hospitals and two rehabilitation hospitals in M city. We collected the data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ly 11 to September 30, 2013. Results: The higher degre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the higher performance level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fluencing factor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participants wer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beta}$=.32, p<.001) and social support(${\beta}$=.31, p<.001). The model explained 45.9%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trinsic motivation of change in stroke patients themselves, a strong will to return to society and social supports are important factor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a systemic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rough positive social support from patients' family memb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Empowering Poor-Households Women on Productive Economy Businesses in Indonesia

  • SUMINAH, Suminah;ANANTANYU, Sapj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769-779
    • /
    • 2020
  • Self-efficacy has been extensively evaluated, but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self-reliance of women in poor-households economic productivity. This study analyzes self-efficacy as a personal factor, learning processes, and social support as an environmental factor towards the achievement of self-reliance in women from poor-households in productive economy businesses. Despite the dominant logic of this scheme, there is a need for field-based data regarding whether the variable really supports the sustainable empowerment of poor-households women. This study used the quantitative method through the survey technique. The samples of this study included 250 people collected from five regencies in Indonesia by using a multiple-stage random sampl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process; social support has a direct negative impact on self-efficacy. The learning process has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while social support has a non-significant impact on self-reliance. The learning process has a direct influence on self-reliance. Social support and the learning process both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learning process, and self-efficacy simultaneously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reliance in productive economic activities.

세대간 교환관계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on Old-Age Security)

  • 이상림;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5권1호
    • /
    • pp.83-111
    • /
    • 2002
  •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중년층의 노부모 부양관이 세대간 지원관계와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대관계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교환이론적 접근을 우리 사회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검증한다. 이 연구는 전국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수집한 김두섭 외(2000) 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있거나 상호적 관계에 있는 중년층에 서 전통적 노부모 부양관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교환이론의 설명에 바탕을 둔 기존 연구들의 설명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며,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 분석에서 효규범을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부모 부양이 단일세대에 한정되어지는 교환적 관계의 설명이 아니라, 효규범의 영향력에 의해서 자녀의 지원이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연결적 보상체계라는 새로운 설명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년층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환한 분석에서는 세대관계 유형이나 자신의 노부모 부양관과 무관하게 절대 다수의 중년층이 자신의 노후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사회 중년층이 자신은 노부모 부양의 경험이 있고, 전통적인 노부모 부양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노후에는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중간자적 위치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교환이론의 설명과는 다른 대안적 설명틀을 제시하면서, 중년층의 현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고령장애인의 만성질환과 다차원적 장애 :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틀(ICF)을 적용하여 (Chronic Illnesses and Multidimensional Disability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pplying the ICF Framework)

  • 조상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91-12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WHO의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틀(ICF)을 기반으로 고령장애인의 만성질환과 다차원적 장애 간의 관계, 공식 비공식 지지와 다차원적 장애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식 비공식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0세 이상 고령장애인 450명을 대상으로 2014년도 9차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로 분석하였다. ICF에 근거하여 건강조건은 고령장애인의 만성질환 수준으로 측정하였고 다차원적 장애는 심리 정서적 기능, 일상활동 수행능력, 사회활동 참여로 측정하였으며 환경요인인 공식 지지와 비공식 지지는 각각 공적서비스 이용 총 수와 지각된 사적 사회적 지지 수준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만성질환은 심리 정서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비공식 지지는 심리 정서적 기능과 일상활동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공식 지지의 경우, 일상활동 수행능력과 부적 관계를 나타냈고 만성질환과 심리 정서적 기능의 부적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장애인의 기능수행(functioning)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 박소영;조정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159-1172
    • /
    • 2023
  •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 지지가 간호헙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B시와 G시에 소재한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𝛽=.415, p<.001), 연령(𝛽=.251, p=.001), 사회적 지지(𝛽=.206, p<.001), 직무스트레스(𝛽=-.159, p=.001), 직위(𝛽=.102, p=.047)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업무 특성이 반영된 간호업무성과 관련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수산사회교육의 현상황과 발전 방향 (The Present Situation and Desired Future Directions of Fisheries Social Education)

  • 김삼곤;김태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206-218
    • /
    • 2003
  •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a fishing industry, neither any terminology defined in details nor academic systems to educate the workers in the fishery were established in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practical area around the actual fields. Therefore, on-site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oretical basis of a social education and data on the rural adult education and examined the actual status of the fishing industry in Korea and fisheries extension services enterprise and fisheries developmental enterpris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fisheries social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On the basis of these frames, this study summarized the direction for the progress of fisheries social education that has not been studied until now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as follows; Th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fisheries social education and fundamental researches in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Fisheries extension services enterprise should be evolved by fishermen. The abilities of instructors in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e academic factors in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should be adopted.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progress of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The exclusive department in charge of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e information system for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secured. The industry, academic organizations and the organs should make cooperation.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general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rogress. The fisheries development should be deployed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It is necessary to deploy the new fishing village movement like the Saemaul movement to the fisheries.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fisheries social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It is essential to cultivate the future fishermen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고령화 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 질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people in ageing society)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5호_spc
    • /
    • pp.133-147
    • /
    • 2006
  • 한국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다. 한국인들은 자신의 부모들 세대보다 더 오래 살아야 한다. 기대 여명이 증가하고 사회구조가 변하면서 사람들은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한국 사회에는 웰빙 붐이 일었다, 그리고 한국인들에게 질 높은 삶을 위해서는 건강이 필수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이런 건강에 대한 관심은 건강행동들로 이어진다. 한국인들의 건강관련지출은 다른 선진국들보다 훨씬 적지만 계속 증가추세에 있고, 앞으로의 초과 지출에 많은 부분이 질병예방과 장기요양시설의 확충에 투자될 것이다. 서양과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사는 한국인의 삶의 질의 구성요인과 건강행동은 서양인과 다른 점이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삶의 질에 대한 중요도로 건강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나지 않은 것이 건강이 삶의 질에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건강은 삶의 질에 있어서 기본이다 .각종 질병에 의해 낮아진 삶의 질과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그것을 반증하고 있다. 건강 행동을 설명하는 모형들에서는 건강과 관련된 신념이나 태도 혹은 의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그리고 자기효능감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나이가 들수록 신체적이고 생리적인 기능이 쇠퇴하고 만성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삶의 질은 그런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고 적응하느냐에 달려있다. 다른 어느 시기보다 노년기에서는 사회적 지원이 삶의 질을 위해 결정적인데, 특히 자녀로부터 지원이 중요하다. 자녀로부터의 지원은 한국 노인 개인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불화를 타인에게 노출하기 꺼려할 수 있다. 자기노출을 꺼리는 것은 다른 사회적 지원의 통로를 차단하기도 하고 그 자체가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개입이 요구된다. 한국인의 기대 여명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정책적으로는 장기요양시설이 확충되어야 하겠지만 심리적 사회적 지원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개인 혹은 사회의 건강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심리학자들이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국민들에게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앞으로 심리학자들도 관심을 가지고 삶의 질과 관련하여 한국인의 건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 - 도시, 농촌, 어촌, 도서지역의 비교 - (Differences in Health, Economic Status, and Social Relations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idental Areas including Urban, Rural, Fishing, and Island Commun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 김윤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7-431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among residental areas in the health, standard of living, and social relationships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The total of 501 subjects(185 from rural areas, 159 from fishing communities, 77 from the islands, and 80 from urban areas) were questioned from May to July, 2006. The research area was confined to Chungcheong Province.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of this study were an average of seventy-three years old, had a low cost of living, and received little formal school education. Over sixty percent(60.3) of them lived on less than thirty dollars a month which was the recognized Korean poverty level in 2006.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were evaluated as being in good health, but they themselves perceived their health as being poor. Observed by residential areas, the subjects in urban areas were lower in ADL, and both the urban dwellers and the islanders appeared to be higher in their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as compared to those in rural areas and fishing communities. The fishing villagers showed the lowest standard of living for female elderly living alone. The analysis of social relationships as seen in the different residental areas revealed that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g in urban areas tended to be receiving social supports rather than providing for others, and subjects living in fishing areas and the islands proved to be relatively higher in the exchange of social supports. In relation to offspring,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in urban areas had a lower frequency of meeting with their children and also a lesser degree of intimacy with them because they lived at a distance. On the other hand, subjects living in rural areas and fishing communities had a higher frequency of meeting with their children and a greater degree of intimacy with them even if they lived at a distance.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islands had a higher frequency of once meeting per three week with their offspring and a higher degree of intimacy with them because they all live in the same islands. In conclusion, the subject living in urban areas appeared to be isolated from their offspring as compared to the other seniors in the study.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in urban areas suffered from an insufficient network of relatives and neighbors, and they experienced a poor quality of relationships to their offspring. Almost all of the lone seniors in the study had a low score in social activities; however,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in urban areas revealed a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group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lone seniors living in urban area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subjects living in rural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islands showed more participation in money-making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ies for femal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reflect the difference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 PDF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압력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User-Motivation on User-Commitment in Social Media: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essure)

  • 배지우;박정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62-474
    • /
    • 2015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양자의 관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 이용자 동기 차원을 각각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적 압력은 정보소외압력과 동조압력으로 구분하여, 각 차원에서 사회적 압력이 이용자 동기와 이용자 몰입의 관계에 있어 어떤 차별적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사회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 몰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소외압력은 기능적 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동조압력은 사회적 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과 몰입 현상에서 사회적 압력이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사회적 압력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이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Do Firms with Historical Loss Disclose Less Social Responsibility Information?

  • YIN, H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호
    • /
    • pp.19-28
    • /
    • 2020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corporate voluntary disclosure by exploring the impact of historical los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sclosure (CSR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takes Chinese A-share listed firms that issued standalone social responsibility reports during the period of 2009-2017 as a sample. Drawing on extant literature, this paper defines historical loss firms as firms with net profit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undistributed profit less than 0. The tendency score matching method (PSM) is used to find matching samples for historical loss firms. Then OLS regression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loss and corporate social disclosure.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historical lo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sclosure. After changing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adopting different matching methods to scree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till hold. Further research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loss and CSRD is influenced by corporate financing constraints and industry competition. Conclusions: This research supports the resource motivation hypothesi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sclosure, and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regulators to strengthen supervision on corporate discl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