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reproductio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초

디지털 복제 시대의 지식, 미디어, 정보 - 지식의 기술.사회적 조건 변화를 중심으로 (Knowledge, Media and Information in the Age of Digital Reproduction)

  • 백욱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9권
    • /
    • pp.5-19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벤야민과 맥클루언의 복제와 전기라는 두 가지 개념을 토대로 하여 디지털 복제 시대 지식의 위상과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복제와 전기는 디지털 시대 지식의 탈물질화를 해명하는 실마리이다. 탈물질화는 디지털 시대 지식의 기술적 조건으로서 그것이 갖는 현상 형태에 대한 이해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디지털 복제 시대의 변화된 기술적 사회적 조건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런 조건에서 지식이 어떤 모습을 갖게 되는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기계 복제, 전자 복제, 디지털 복제의 차이점을 정보, 미디어, 지식의 상호관련 속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의미는 디지털 복제 시대의 지식이 처한 기술적 사회적 조건을 밝힘으로써 향후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의 출발점을 마련하는 데 있다.

  • PDF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문화자본 : Bourdieu의 문화재생산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social character and cultural capital of curriculum : Focusing on Bourdieu's theories of cultural reproduction)

  • 황재연;안관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7-16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Bourdieu(Pierre Bourdieu)의 문화재생산론적 관점에서 사회계층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의해서 재생산되고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문화자본의 사회통제성 그리고 이들이 계급 재생산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계층은 교육과정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성에 의해서 재생산된다고 본다. 이는 학교의 교육과정이 사회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지배계급의 문화적 자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형성 기제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a Construction Mechanism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9-160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 그리고 이들 자본이 재생산하는 사회적 계급의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자본, 문화자본 및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학력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은 계급일수록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화의 해소에는 부분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광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인력양성방안에 관한 연구임 (A Study on Human Resource Training Plan and Status of the New Reproduction Energy Industry in Gwangju area)

  • 임기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47-5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인력양성방안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경제는 새로운 발전모형을 찾아야 하는 사회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본 논문은 광주지역이 녹색성장인력양성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첫째,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둘째, 새로운 산업을 추동하기위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장 단기적인 다양한 인력 양성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PDF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 -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Commercial Strategy and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on Punch -A Study on Bourdieu's Theory-)

  • 계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1-81
    • /
    • 2013
  • <완득이>는 우리사회의 소외계층이 겪어내야 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제시와 가난한 완득이가족 및 외국인노동자를 돕는 이동주의 행위가 중심이 된다.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성적중심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기존 사회시스템의 변화 촉구 등의 메시지를 통해 이 영화가 전복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영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객관적 관찰자로서의 이동주의 제시와 그에 대한 관객의 동의가 사회의 변화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하는 의문을 시작으로,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의 관계가 만들어내는 상징폭력의 재생산의 양상에 관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완득이>는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과 대중성 확보를 위한 가장 큰 전략으로 '웃음의 효과'와 '낭만적인 시선'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이 영화가 관객의 변화를 통한 사회변화의 필요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피해자 스스로 폭력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게 하면서 공모에 의한 사회질서 유지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성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x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to Elementary Science Class)

  • 유태양;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13-21
    • /
    • 2010
  • This study reflects the demand of content elements related to "Human Rep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verifies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sex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to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developed contents 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in reference to the contents guideline for teachers. The contents include anatomical knowledge related to human reproduction and reflec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sex ethics. The first section: "How was I born?", second section: "Amazing changes in my body" and third section: "Healthy body, healthy mi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changes in sex knowledge and attitude after applying the content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class. Thus, the developed contents made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elementary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of human reproduction. However, it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contents by the grade and gender. In conclusion, if the sex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ctively applied,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knowledge of the anatomic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ts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for sex ethic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PDF

현대미술에 있어서 '복제'의 개념과 전시규범의 문제 -${\gg}$살바도르 달리 탄생 100주년 특별전${\gg}$의 전시물 <성경> 연작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Reproduction and the Criteria of an Exhibition in Contemporary Arts)

  • 장동광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2호
    • /
    • pp.169-19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lve into the problems of originality of the artwork by examining issues of reproduction within the contemporary art market. In contemporary arts, especially in terms of art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 can't overlook society and its economic structure and its connection with of capitalism. As the purity of art creation has turned into an exchange value, art, especially an object as artwork, has fallen into the status of production in an economic marketing system. Walter Benjamin mainly referred to that point in his thesis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which originated the sociology of plastic arts. This thesis, published in 1936, traced how the artistic functions of photograph and movie had been changed through the social development. His main concerns were movie and photograph but what I am concentrating from his point of view, is that even in the field of plastic arts, the manufacture of reproduction has been practiced as a primary method with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and development. Though I am referring to this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reproduction in contemporary art strongly needs a new definition since it has been spread all over like a newest virus, not only by collector's personal taste or hut also by commercial circulations of these reproductions to the public. This relates to Benjamin's argument about the value of an exhibition at a museum(Ausstellungswert). Since the function of an artwork has been one of cultural industry, the manufacturing of reproduction raises unexpected problems, such as, the originality of the artwork, the value of an exhibition at a museum, its achievement as documentary and as a territory of art criticism. In this point of view, I want to inquire into the value and criteria of an exhibition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review of the definitions and the intrinsic attributes of reproduction. Somehow in a broad sense, the reproduction is a product coming out of representation or copy (replica) of an original art work or an model. Therefore, the problems it presents differ from the Simulacre, which is an image without an original one. In terms of the Meanings of reproduction, we can distinguish it as reproductions, copies, and productions. These types of reproductions are not the original artworks reflected by the creative intention of the artists. For example, a publishing company reproduced some of lithographs of Salvador Dali in the 1960s. They are commercial copies in the form of representation or reproduction with no artistic and creative intention of the artist. However, In despite of this theoretical basis, reproductions of the famous artists are still displayed without any verification for of the public's quest for the artworks. Moreover, many commercial companies that are planning to exhibit art works of the world-famous artists only for their profits keep trying to speak ill of and judging by the law the honest art critics' articles which discuss the true values of exhibition. If freedom of expression is one of the ideals of democracy, even the judgment of the originality of the artworks should be freely expressed.

  • PDF

Evolution of Social Life in Wood-Eating Cockroaches (Cryptocercus spp.) : Effects of the Winter Climate on the Evolution of Subsociality

  • Park, Yung-Chul;Choe, Jae-Ch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2호
    • /
    • pp.97-105
    • /
    • 2008
  • Subsocial behavior of the genus Cryptocercus cockroaches has been believed as primitive traits of termite eusociality. Thus, it has been believed that understanding Cryptocercus subsociality is a pre-requisite stage to infer evolutionary route of the eusociality in termites. Woodroaches of Cryptocercus are also well known because of its peculiar characteristics including adults living monogamously in pairs, semelparous reproduction, xylophagy, obligatory association between adults and their offspring, slow development, and anal trophallaxis by adults. Based on the previously accumulated data, we try to understand two major components of Cryptocercus life history,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We hypothesize that harsh winter and length of winter might be one of the main causes driving the appearance of the delayed development and semelparous reproduction in Cryptocercus life history.

<오아시스>의 타자의 공간과 재생산 (Space of the Other and its Reproduction in Oasis)

  • 계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23-131
    • /
    • 2013
  • 본 연구는 영화 <오아시스>를 통해 장애여성이 겪는 일상공간에서의 구조화된 폭력과 재생산의 관계를 짚어낸다. '집', '홍종두의 세계', '환상' 공간을 통해서 가시적 폭력뿐 아니라 상징폭력이 작동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것이 재생산으로 이어지도록 작용하는 연결고리로서 '강간', '사랑', 그리고 '홍종두의 편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한다. 위의 세 요소들은 한공주와 홍종두는 물론이고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까지도 오인의 메커니즘을 통해 상징폭력의 생산자로서 공모하게 하고, 결국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으로 이어지도록 이끈다.

소셜미디어에서의 사진저작물 스크랩에 관한 법률문제 (Legal Problem on the Clipping of the Photographic Works in the Social Media)

  • 장연이;김희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42-256
    • /
    • 2011
  • 소셜미디어를 통해 개인의 일상을 공유하는 활동이 보편화되었다. 이 경우에는 텍스트뿐 아니라 사진도 많이 활용을 하게 되는데, 사진을 찍어 올리기가 손쉬운 만큼 타인의 사진을 스크랩하는 일도 매우 용이해졌다. 그러나 그 사진이 저작권법상 보호받는 사진저작물에 해당한다면 스크랩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타인의 사진저작물을 무단이용한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하며, 이것을 내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경우에는 복제권 전송권 전시권을 침해하게 된다. 스크랩이 허용된 경우라 하더라도 그 사진저작물을 영리목적으로 사용하려면 별도의 허락을 얻어야 한다. 저작권 침해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 타인의 사진저작물을 변형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변형의 정도에 따라 복제권 동일성유지권 2차적 저작물작성권 침해가 이루어진다. 화면캡처의 기술이 발달하여 몇 번의 클릭만으로 타인의 사진저작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한 행위가 모두 합법적이지는 않다는 사실을 항상 인식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