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ercial Strategy and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on Punch -A Study on Bourdieu's Theory-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 -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 계운경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Received : 2013.02.04
  • Accepted : 2013.04.17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Punch awakens the audience of necessity of social change related to the poverty and prejudice toward the underprivileged. However Bourdieu claims individuals such as Dong-Ju Lee can not change existing dominant order even if they struggle for social change. In particular, laughter effect and romantic gaze as a commercial strategy on Punch become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symbolic violence. And this is soon to be recognized as legitimate victims of violence themselves, as Bourdieu has argued that maintaining social order and reproduction by collusion are possible.

<완득이>는 우리사회의 소외계층이 겪어내야 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제시와 가난한 완득이가족 및 외국인노동자를 돕는 이동주의 행위가 중심이 된다.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성적중심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기존 사회시스템의 변화 촉구 등의 메시지를 통해 이 영화가 전복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영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객관적 관찰자로서의 이동주의 제시와 그에 대한 관객의 동의가 사회의 변화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하는 의문을 시작으로,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의 관계가 만들어내는 상징폭력의 재생산의 양상에 관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완득이>는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과 대중성 확보를 위한 가장 큰 전략으로 '웃음의 효과'와 '낭만적인 시선'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이 영화가 관객의 변화를 통한 사회변화의 필요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피해자 스스로 폭력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게 하면서 공모에 의한 사회질서 유지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Keywords

References

  1.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p.1-37, 2001.
  2. 이상길, "문화생산과 지배-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사회, 제9권, 제1호, pp.11-15, 2001.
  3. 계운경,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미학과 윤리의 관계,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 박사논문, p.38, 2009.
  4. P. Bourdieu, 예술의 규칙, 하태환 역, 동문선, p.286, 1999.
  5. 정병언, "여성공간과 상징폭력: 미국 여성극을 중심으로", 현대영미드라마, 제23권, 제2호, p.88, 2010.
  6. P. Bourdieu,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정일준 역, 새물결, p.26, 1995.
  7. http://tvdaily.mk.co.kr/
  8.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109, 2001.
  9.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trans. Richard Nice, Cambridge: Harvard UP, pp.97-244, 1984.
  10.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37, 2001.
  11. 최원규, 박현정,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0권, p.77, 2009.
  12. 김려령, 완득이, 창비, p.26, 2008.
  13. P. Bourdieu, 구별짓기, 최종철 역, 새물결, p.283, 2005.
  14. M. Foucault,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pp.298-333, 2003.
  15. 계운경, "학생 인권문제와 상징폭력:<말죽거리 잔혹사>에 대한 학생들의 비평문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제12권, 제2호, p.18, 2011
  16. P. Willis, 학교와 계급재생산, 김찬호, 김영훈 역, 이매진, p.29, 2004.
  17. E. Wright, Postmodern Brecht: a Representation, London; Routledge, p.50, 1989.
  18. H. Bergson,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이희영 역, 동서문화사, p.81, 2008.
  19. 김남석, 한국 문예영화 이야기, 살림, p.1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