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mputing servic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1초

Big Data Architec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Hyper Live Map (HLM)

  • Moon, Sujung;Pyeon, Muwook;Bae, Sangwon;Lee, Dorim;Han, Sangwo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7-215
    • /
    • 2016
  • The demand for spatial data service technologies is increasing lately with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3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n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real-time provision of spatial data services through a variety of mobile and Web-based contents. Big data or cloud computing can be presented as alternatives to the construction of spatial data for the effective use of large volumes of data.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building HLM (Hyper Live Map) using multi-source data to acquire stereo CCTV and other various data is presented and a big data service architecture design is proposed for the use of flexible and scalable cloud computing to handle big data created by users through such media a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lack boxes. The provision of spatial data services in real time using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will enable us to implement navigation systems, vehicle augmented reality, real-time 3D spatial information, and single picture based positioning above the single GPS level using low-cost image-based position recogni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Furthermore,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are also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provision in U-City and Smart-City environment as well, and the big data service architecture will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in real time.

웹 기반 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 (Targeting Data Service for Web-Based Media Contents)

  • 박성주;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2호
    • /
    • pp.1154-1164
    • /
    • 2010
  • 타겟팅 서비스는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선호도 및 사용 내역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 및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만족도와 이용량을 향상 시키는 주요한 응용서비스로서 주로 방송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타겟팅 서비스는 방송 콘렌츠에서 interstitial 콘텐츠로, 고정형 TV단말에서 모바일 단말로 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단순한 방송 데이터에서 광고 데이터, 쿠폰 및 관련 미디어 콘텐츠 정보 등으로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사, 광고 및 방송정보에 대한 타겟팅 데이터 서비스를 설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프로파일, 선호도 및 사용 내역 정보를 기존 TV-Anytime Forum의 사용자 메타데이터 및 OpenSocial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 정보와 콘텐츠 정보간 유사도 및 사용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타겟팅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성능평가를 통해서 제안하는 타겟팅 데이터 서비스 기술이 기존의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에서도 적용 가능 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 Hadoop-based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for Processing Social Media in the PaaS Platform of SMCCSE

  • Kim, Myoungjin;Han, Seungho;Cui, Yun;Lee, Hanku;Jeong, Changs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11호
    • /
    • pp.2827-2848
    • /
    • 2012
  • Previously, we described a social media cloud computing service environment (SMCCSE). This SMCCSE supports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that include audio, image, and video formats. A social media cloud computing PaaS platform, a core component in a SMCCSE, processes large amounts of social media in a parallel and distributed manner for supporting a reliable SNS. Here, we propose a Hadoop-based multimedia system for image and video transcoding processing, necessary functions of our PaaS platform. Our system consists of two modules, including an image transcoding module and a video transcoding module. We also design and implement the system by using a MapReduce framework running on a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HDFS) and the media processing libraries Xuggler and JAI. In this way, our system exponentially reduces the encoding time for transcoding large amounts of image and video files into specific formats depending on user-requested options (such as resolution, bit rate, and frame rate). In order to evaluate system performance, we measure the total image and video transcoding time for image and video data sets, respectively,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n addition, we compare the video transcoding performance of our cloud-based approach with that of the traditional frame-level parallel processing-based approach. Based on experiments performed on a 28-node cluster, the proposed Hadoop-based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delivers excellent speed and quality.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용 관련 사회적 요인이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Factors of Acceptance of Cloud Services on Consumer Usage Intentions)

  • 쳔위페이;니에신위;全冬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173-178
    • /
    • 2022
  • 정보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관련 서비스의 보급으로, 5G와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발생하고, 유통경로 및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디지털화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의 정보 저장 및 관리 기능은 20-30대의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보편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용 관련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의도를 분석하고자, 20-30대의 젊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용 관련 사회적 요인과 소비자가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고, 사회적 요인과 이용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용이성의 부분 및 완전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적 의의가 있다.

Emerging Internet Technology & Service toward Korean Government 3.0

  • Song, In K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2호
    • /
    • pp.540-546
    • /
    • 2014
  • Recently a new government has announced an action plan known as the government 3.0, which aims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individual people, generate more jobs and support creative economy. Leading on from previous similar initiatives, the new scheme seeks to focus on open, share,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promoting Government 3.0, the crucial factor might be how to align the core services and policies of Government 3.0 with correspoding technologies. The paper describes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Government 3.0, identifies emerging Internet-based technologies and services toward the initiative, and finally provides improvement plans for Government 3.0. As a result, 10 issues to be brought together include: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Service, Mobile Internet Computing and Application, Wireless and Sensor Network, Security & Privacy in Internet, Energy-efficient Computing & Smart Grid, Multimedia & Image Processing, Data Mining and Big Data, Software Engineering, Internet Business related Policy, and Management of Internet Application.

국방정보보호를 위한 군(軍) SNS 보호프로파일(PP)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ilitary SNS Protection Profile for National defense)

  • 유덕훈;김승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1-52
    • /
    • 2013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 Social Network Service)는 다양한 정보의 빠른 전달과 함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친밀감을 형성해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SNS의 사회적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군에서도 SNS를 통해 자발적 참여와 신뢰관계 구축을 바탕으로 군내 외 유대감 강화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방 SNS 도입시 개인정보의 노출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군사자료의 유출 등과 같은 역기능은 군에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SNS 도입을 위해 SNS 기능별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구조를 분석하여 국방 SNS에 필요한 보안기능요구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RFID가 내재된 비즈니스 카드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사회 연결망 서비스 모델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Model Using a Ubiquitous Business Card)

  • 오재섭;이경전
    • 지능정보연구
    • /
    • 제15권2호
    • /
    • pp.75-95
    • /
    • 2009
  • 본 연구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의 비즈니스 카드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사회 연결망 서비스모델을 설계하고 분석한다. 웹 환경에서 제공되는 있는 사회 연결망 서비스는 인맥 관리, 고용관련 비즈니스 분야에서 새롭게 활용되고 있으나,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이음매 없는 연결이 어렵고, 정보의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점에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회적 제스처의 미디어 기능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제시하고,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카드를 활용한 사회 연결망 서비스 모델을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서비스 모델 참여자들의 역할 및 제공 가치와 그들의 잠재적 이익을 검토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u-비즈니스 카드'를 활용한 서비스 모델과 관련 유사 연구 또는 제품들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Youth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Behavior in Indonesian Culinary Activity

  • SAVILLE, Ramadhona;SATRIA, Hardika Widi;HAHIDUMARDJO, Harsono;ANSORI, Mukhlas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87-96
    • /
    • 2020
  • Purpose: In this paper, we provide an illustration of Indonesian youth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behavior and its relation to their culinary activity. Specifically, their behavior of culinary activity preferences and also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ction of spending their money. Data and methodology: We gathered primary data from stratified random questionnaire survey (406 youth).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using text data mining and statistics using R statistical computing language. Results: 1) We found out why our respondents are interested in following the accounts of SNS food influencers: i.e. visually attracted to the posts, as their reference to find places to dine out, as their reference to try new food menu and to get nostalgic feeling about the food. 2) The respondents decide to actually go to the recommended culinary places because of several factors, specifically, its description (visual and text), location, word of mouth (WoM), the experience of being to that place and price. 3)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ulinary spent are income, number of following food influencer account, SNS usage time and their interest when looking at WoM. Conclusions: SNS behavior influences Indonesian youth culinary activity preferences and spent.

A Social Trave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 김대호;송제인;유소엽;정옥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7-14
    • /
    • 2018
  •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becomes a part of our life, new information can be deriv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SNS. Through the public timeline analysis of SNS, we can extract the latest tour trends for the public and the intimacy through the social relationship analysis in the SNS. The extracted intimacy can also be used to make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by adding the weights to friends with high intimacy. We apply SNS elements such as analyzed latest trends and intimacy to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to achieve better accuracy and satisfaction than existing travel recommendation services in a new wa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cial trave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item -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소셜 네트워크 기반 팟캐스트 검색시스템 (Social Network based Podcast Search System)

  • 정옥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5-43
    • /
    • 2013
  • SNS와 스마트 기기가 보편화 되면서, 뉴미디어로 떠오르고 있는 팟캐스트 이용자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문 검색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팟캐스트를 검색할 때, 사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도가 높을만한 팟캐스트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팟캐스트 검색시스템(PODSSO)은 필요한 팟캐스트 정보만을 웹에서 수집하고, 사용자들의 소설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신뢰성 있고 관심있는 팟캐스트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