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device

검색결과 2,248건 처리시간 0.04초

고령자의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디바이스 인터넷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 평생학습 관점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Value of the Elderly on the Intention of Smart Device Internet Usage: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for the Elderly)

  • 장현용;고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7-103
    • /
    • 2019
  • 최근 인구 고령화에 따라 고령자의 정보기통신기술 활용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으나 고령자들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이용은 여전히 타 세대와 격차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평생학습 관점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인터넷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기기의 인터넷 활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광주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GSTC)를 방문한 고령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을 통해 고령자의 지각된 경제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가 스마트 디바이스의 인터넷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으며, 고령자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사회활동 참여는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인터넷 활용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또한 고령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인터넷 활용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 및 지자체의 고령자 대상 정보통신기술 활용에 대한 지침과 고령자 평생학습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노약자 근감소증 진단과 딥러닝 알고리즘 (Diagnosis of Sarcopenia in the Elderly and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Algorithm Exploiting Smart Devices)

  • 윤영욱;손정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433-443
    • /
    • 2022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높은 보급률을 활용하여 근감소증을 추정 및 예측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제안과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방법: 딥러닝 학습을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관성센서를 활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테스트용 어플리케이션 구현하여 '정상'과 '비정상'걸음과 '달리기', '낙상', '스쿼트' 자세의 5 가지 상태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LSTM, CNN, RNN model 사용 시 예측 정확도를 분석했고 CNN-LSTM 융합형 모델을 활용하여 이진분류 정확도 99.87%, 다중 분류 92.30%의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근감소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걸음걸이의 이상이 생긴다는 점에 착안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근감소증으로 인해 생기는 재난안전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와 디바이스 호환성, 사용성 분석 (An Analysis of Compatibility and Usability of Digital Textbook and Device in The Smart Classroom)

  • 최상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41
    • /
    • 2016
  • 스마트 시대와 더불어 스마트 교육이 시행되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현재는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이다. 스마트 교육에 필수인 디지털 콘텐츠가 부족하고 질이 낮으며, 교육 기자재도 가격이 비싸고 도입 예산에 비해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교육에 필수적인 디지털교과서와 교육 기자재의 도입에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호환성과 사용성을 분석한다. 본 논문을 통해 제한된 예산을 사용하는데 최적의 교육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침체된 스마트 교육 확산을 다시 활성화하고, 스마트 교육의 종주국으로서 위상을 제고하며, 교육의 질을 높여 국가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 변환장치 (The Converter Device for Smart User Interface Platform)

  • 김승규;김보라;문상미;이창건;최훈;이칠우;황인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2권1호
    • /
    • pp.37-41
    • /
    • 2013
  • 스마트폰의 차세대 인터페이스 연구의 일환인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렛폼(Smart Use Interface Platform : SUIP)은 스마트폰의 플랫폼을 확장하기 위하여 연구되었으며 플랫폼 기능이 탑재된 외부 디바이스의 찾기와 해당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동적 로딩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지능형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렛폼에 직접 접속하기 힘든 센서네트워크나 기타 디바이스들을 중간에 변환과정을 통해 플렛폼에 접속이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접속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센서 등을 결합한 플랫폼 변환기인 SUIP 변환기를 구현하고 이에 대한 용용을 소개하고 있다.

  • PDF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 (Smart Emotional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Mobile)

  • 홍성일;인치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58-38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감성조명 장치의 내부발열 및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모바일 기기와 지그비 모듈, 감성조명 장치, 점등제어 모듈, 전원 공급기, 범용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스템에 연결될 때, 감성조명 장치에 실시간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메시지 및 상태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감성조명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 결과, 감성조명 제어 및 색온도 변수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감성언어를 사용하여 가변적으로 점등제어하기 때문에 21%의 발열량 및 최대 48%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켰다.

재활환자를 위한 IoT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ROM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ROM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IoT-based Real-time Monitoring for Rehabilitation Patients)

  • 강민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1-11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관절 각도계를 사용하여 관절가동범위의 측정하던 것을 각도계를 사용하지 않고 플렉서블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였다. 현재의 관절가동 범위 측정은 관절 각도기를 활용하여 사람이 직접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측정하는 사람의 측정 방법과 위치에 따른 오류로 일관성 있는 측정이 어려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측정해야 할 관절에 센서를 부착하여 관절의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센서는 플랙서블 형태로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 값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센싱 된 값을 ROM 센서노드를 통하여 무선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 된 ROM 측정 장치는 일반적인 관절 각도기를 활용한 측정보다 일관성 있는 측정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신속한 진단으로 환자의 빠른 치료와 재활의료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슈팅 성공률 개선을 위한 스마트 농구공 설계 연구 (Smart Basketball Device Design for Improving Shooting Success Rate)

  • 이형주;김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07-112
    • /
    • 2021
  • 이 연구는 현대농구의 빠른 템포와 공격적인 흐름에 맞추어 보다 정확한 득점방법을 연구하고자 디지털압력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농구공을 설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구는 드리블, 패스, 슈팅 등의 복합적 결합으로 구성된 스포츠종목으로 지구상의 모든 스포츠에서 가장 많은 득점이 이루어지는 경기방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는 슈팅은 득점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기술이다. 이 연구는 슈팅 시 공의 투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농구공을 설계함으로써 농구경기 현장에서 슈팅 성공률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보조기구를 제시하였다. 스마트 농구공은 일정한 포물선의 각도를 유지하여 슈팅의 정확성을 높이는 훈련이 가능하며,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 순번 관리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A Smart System for Customer Ordering Management at Offline Stores)

  • 정명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925-933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mart ordering application system for granting the customer numbers. The proposed system assigns sequence number of customers who visit at offline store as using speaker and microphone of smart device. This system has more advantage than the existing ordering system. Because the proposed system does not need any customer information like as phone number or SNS ID, it can protect customer privacy information. In this system, we use high frequency which is inaudible to the human ear as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speaker and microphone. To confirm performance evaluation, we perform a test with ten smart devices like as iPhone 6, 7, 8, Galaxy s8 and the result shown a success rate of 98.7 percent. Therefore,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ful service technology at the various offline store which need to assign a sequence number for customers, because many customers visit at the store.

Human Adaptive Device Development based on TD method for Smart Home

  • Park, Chang-Hyun;Sim, Kwee-B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072-1075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hat TD method is applied to the human adaptive devices for smart home with context awareness (or recognition) technique. For smart home, the very important problem is how the appliances (or devices) can adapt to user. Since there are many humans to manage home appliances (or devices), managing the appliances automatically is difficult. Moreover, making the users be satisfied by the automatically managed devices is much more difficult. In order to do so, we can use several methods, fuzzy controller, neural network, reinforcement learning, etc. Though the some methods could be used, in this case (in dynamic environment), reinforcement learning is appropriate. Among some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s, we select the Temporal Difference learning method as a core algorithm for adapting the devices to user. Since this paper assumes the environment is a smart home, we simply explained about the context awareness. Also, we treated with the TD method briefly and implement an example by VC++. Thereafter, we dealt with how the devices can be applied to this problem.

  • PDF

첨단 검침 인프라에서 에너지 효율을 위한 기기 할당 방안 (The Device Allocation Method for Energy Efficiency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s)

  • 정성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3-39
    • /
    • 2020
  • A smart grid is a next-generation power grid that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general power grid. The smart grid makes it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about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tween electricity providers and consumers in real-time.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is the core technology of the smart grid. The AMI provides two-way communication by installing a modem in an existing digital meter and typically include smart meters, data collection units, and meter data management systems. Because the AMI requires data collection units to control multiple smart meters, it is essential to ensure network availability under heavy network loads. If the load on the work done by the data collection unit is high, it is necessary to allocation new data collection units to ensure availability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allocation scheme of data collection units for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