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project

검색결과 1,161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비와 연계한 정량적 리스크 수준 산정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Level Calculation Model in Cooperation with the Reserve Fund)

  • 곽송해;박구락;김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59-166
    • /
    • 2016
  • 최근에 대기업 위주로 편성되어 있던 공공정보화 프로젝트가 중소규모의 시스템 통합 기업으로 재편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중소규모 기업들은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에, 수익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현장에서 주요하게 발생하는 리스크 요소를 제시하고, 리스크 요소별 리스크 수준과 이에 따른 비용을 측정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이러한 융복합을 통하여 프로젝트 수행 중 이슈화 되는 리스크를 사전에 예측하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리 체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제안 모델을 기준으로 적정한 규모의 예비비 확보가 가능하기에 리스크 분석에 비용을 투자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n Information Science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 김호숙;김형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29-540
    • /
    • 2014
  • 우리는 수 과학 영재 고등학생들의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과학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현실적 응용문제를 해결하는 정보과학 팀 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팀워크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과정과 응용과정으로 구성되는 2단계 정보과학 수업 방법과 체계적 프로젝트 수행 단계를 설계하고, 소규모 협력 학습 전략과 입체적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학습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보과학 창의성의 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교육 목표 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마을종합개발 항목별 중요도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제군 용대권역을 중심으로 - (Rural Village Development Itemized Study on the Importance Analysis and Improvement)

  • 안중호;이주형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9-17
    • /
    • 2012
  • In 1960's, Korea had concentrated o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meantime the existing problem which is an avoiding rural settlement phenomenon such as a farming population decrease, an unstabel income, poor surroundings, etc. could intensify. And because of an exodus from agricultural area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a fall of agricultural farm price as a result of domestic agricultural market opening in accordance with FTA, in 2004 Korean government excuted the integrated rural-village development plan as a measure to provide more support for agricultural villages. The integrated rural-village development plan means that inter-connected with villages which have potnetial and developed it as a unit of small-zone, also we can assume it a Down-up development type because residents participate and lead this plan directly. But, this plan made progress rapidly as a countmeasure of government so, it needs to evaluate for completed project area and make an improvement for a sustainable undertaking.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d project contents systematically into two parts of Hardware and Software, after that composed of 4 large-parts, 13 mid-parts and 43 small-parts from Inje-Yongdai zone which was designated for an integrated rural-village development plan in 2004. And a result of analysis for project contents priorities by hierarchy analysis method showed the Regional capability reinforcement is selected for the most important project content by 3 stakeholders who are specialists (514pts.),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taffs (694pts.), local government officers (688pts.)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의 하수처리장 하수유입률 특성분석 (Comparing the Inflow Rate of Sewage Treatment Plants Invested by the Public Funds 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s)

  • 이원석;조은주;손영규;김지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78-78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the inflow rates of Sewage Treatment Plants (STP), invested by public fund 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This paper finds that the average ratio of sewage inflow according to facility capacities (medium and small scale STP) was either nearly below 30% or above 100% in the first year. As the size of STP increased, there was decrease in the accuracy of demand assumption. This was because the operation time when the ratio of sewage inflow was uniform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ze of STP, whereby the time was short when the STP were small. The design average ratio of sewage inflow was 10% larger than the real average ratio; this was considered overdesigned. In the case of a plant built by the PPP scheme, the average ratio of inflow of the STP before an abolition of MRG was larger than after the abolition of MRG. This may be explained by moral hazard from too much reliance on MRG. After the abolition of MRG, the demand risk of PPP was shifted from a PPP project to a conventional project.

재해분석을 통한 농업토목공사의 공종별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Agricultural Construction Works using Accident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양영진;오수훈;노재경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4호
    • /
    • pp.15-25
    • /
    • 2018
  • The accident risk at the construction workplace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engineering i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fields due mainly to its complex work types and processes. Agricultural engineering deals with a variety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s from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to giant-scale coastal reclamation land infrastructures. The characteristics that most agricultural projects have conducted on a small-scale even worsen the situation drawing low attentions to risk management. Therefore, systematical risk assessment that focuses on details of agricultural construction work process is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safety management capacity and to prevent repetitive accident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construction work types and processes of agricultural construction works, and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accident risk of them based on accident analysis. Regarding classification of construction works, actual 827 accident cases were thoroughly reviewed and coded by their construction site, facility and work type, project scale and so on. Most accidents (71.8 % of total cases) occurred in small-scale construction workplaces with less than 5 billion Korean won project budget. And those accidents related to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 (37.4%) and agricult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22.4%). In terms of work types, accidents frequently took place in form-work followed by pipe installation work, steel bar work and concrete work. The potential risks were compared with actual outbreak of accidents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sults show that the potential conditions of accident expected to be took place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actual conditions where accidents actually happened. This implicates that risk management manuals or education needs to be adjusted by reflecting unexpected circumstances. Overal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could be foundations as to strengthen risk management capacity for agricultural engineering projects.

COREA 프로젝트를 위한 검출기 모의실험 (DETECTOR SIMULATIONS FOR THE COREA PROJECT)

  • 이성원;강혜성
    • 천문학논총
    • /
    • 제21권2호
    • /
    • pp.87-94
    • /
    • 2006
  • The COREA (COsmic ray Research and Education Array in Korea) project aims to build a ground array of particle detectors distributed over Korean Peninsular, through collabor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educators, and university researchers, in order to study the origin of ultra high energy cosmic rays. COREA array will consist of about 2000 detector stations covering several hundreds of $km^2$ area at its final configuration and detect electrons and muons in extensive air-showers triggered by high energy particles. During the intial phase COREA array will start with a small number of detector stations in Seoul area school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by Monte Carlo simulations how to select detector sites for optimal detection efficiency for proton triggered air-showers. We considered several model clusters with up to 30 detector stations and calculated the effective number of air-shower events that can be detected per year for each cluster. The greatest detection efficiency is achieved when the mean distance between detector stations of a cluster is comparable to the effective radius of the air-shower of a given proton energy. We find the detection efficiency of a cluster with randomly selected detector sites is comparable to that of clusters with uniform detector spacing. We also considered a hybrid cluster with 60 detector stations that combines a small cluster with ${\Delta}{\iota}{\approx}100m$ and a large cluster with ${Delta}{\iota}{\approx}1km$. We suggest that it can be an ideal configuration for the initial phase study of the COREA project, since it can measure the cosmic rays with a wide range energy, i.e., $10^{16}eV{\leq}E{\leq}10^{19}eV$, with a reasonable detection rate.

DEA를 활용한 국방벤처 지원사업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과 분석 (R&BD Performance Analysis of Defense Venture Program Using DEA)

  • 박진수;김진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0-59
    • /
    • 2021
  • 민간 중소기업의 국방진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방벤처 지원사업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국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15년부터 방위사업청 출연금으로 운영되어 84개 과제를 지원해왔으며, 사업초기에 선정된 과제의 성과가 '18년부터 발생하고 있는 성과발생 초기단계의 사업이다. 향후 예산의 효율적인 활용과 효과적인 지원방안 수립을 위해 초기성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누적된 3년간의 성과분석을 위해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술성과와 사업화성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단계별 성과분석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과제별로 투입된 예산 대비 연구개발 및 사업화효율성을 비교하였으며, 우수과제의 성과요인 파악을 위해 과제별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성과분포와 높은 효율성을 갖는 과제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사업수행 및 지속적인 성과창출을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지원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국방벤처 지원사업의 효율성 강화와 우수성과 확대가 기대된다.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the Improvement and Operation of R&D Project Management Process)

  • 이설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08-319
    • /
    • 2018
  • 본 연구는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 하는 국내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실증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2개 평가 지표에 있어 최고 점수인 통합 관리의 60.77점에서부터 최저 점수인 30점대까지 무려 2배 이상의 편차를 보여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및 개선 운영을 위해 선별적 사용이 요구된다. 둘째, 업종별 차이 검정 결과 바이오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과 전기전자산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종업원 규모별 차이 검정 결과 50~100인 미만이 중소기업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100인 이상 규모에서는 다소 낮은 차이를 보였다. 넷째, 경력별 차이 검정 결과 5~7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7-10년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R&D 프로젝트 프로세스 개선 운영을 위한 평가 지표 검정 결과 통합관리, 의사소통관리, 리스크관리, 시간관리의 4가지 요인의 순으로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효율적인 통합관리의 중요성과 각 개별 참여 주체간의 빠른 의사결정과 위험관리에 중심을 두고 집중관리가 요구됨을 시사해주었다.

소규모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지도 사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to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echnical Guidance Project for Safety Control of Small Construction Site)

  • 임형철;백낙규;김대영;정성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9-85
    • /
    • 2018
  •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하여 감독 점검, 기술지도 재정지원 등의 안전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왔으나, 건설현장의 재해자수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소규모 건설공사를 위주로 전체 재해자수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안전 보건관리의 이행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사업장에 정부의 적정한 기술지도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재해를 줄이고 기술지도사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설현장에 부합하는 기술지도 최적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변지역 소규모 개발사업의 유형별 환경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nvironment Assessment for the Various Type of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iparian Areas)

  • 주용준;사공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8-225
    • /
    • 2016
  • 수변지역은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보전과 수변경관의 훼손 방지 특히, 안정적인 상수원의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과 계획이 수립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수원보호구역과 수변구역 등 특정지역을 제외한 수변지역은 소규모 개발사업이 무분별하게 입지하게 되면서 하천의 수질 및 경관을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유형별로 동 식물, 지형 지질, 경관, 수질 등의 측면에서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분석하고, 환경적 영향 정도에 따라 3-12점까지의 환경점수를 부여하여 중점검토사업과 일반검토사업, 간이검토사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유형별로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별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수변지역의 소규모 개발사업을 합리적으로 규제하여 친환경적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