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brown planthoppe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애멸구 다발생(多發生)과 맥류(麥類) 열기(熱期)와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Homoptera : Delphacidae) and Barley Maturity)

  • 김홍선;이정운;엄기백;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5
    • /
    • 1986
  • 1984년도(年度) 애멸구가 다발생(多發生)하였던 원인(原因)을 기상(氣象) 자료(資料)와 애멸구 유살수(誘殺數)를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애멸구 유살량(誘殺量)은 3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과 관계(關係)가 있으며 평균기온(平均氣溫)이 낮으면 보리의 생육(生育)이 지연되고 분얼수가 많아지며 성숙기(成熟期),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져 애멸구 증식(增植)에 유리(有利)한 조건(條件)이 됨으로 발생(發生)이 많아질수 있으며 '84년(年)의 3월(月)은 저온(低溫)이었던 관계(關係)로 대발생(大發生) 하였던 것 같다. 또한 3월(月)의 평균기온(平均氣溫)과 유살량(誘殺量)과는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으며 회귀식(回歸式)에 의해 발생량(發生量)을 추정(推定)할 수 있다.

  • PDF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Carrying Rice stripe virus

  • Lee, Joo Hyun;Choi, Jae Young;Tao, Xue Ying;Kim, Jae Su;Kim, Woojin;Je, Yeon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330-337
    • /
    • 2013
  • Rice stripe virus (RSV), the type member of the genus Tenuivirus, transmits by the feeding behavior of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virus and vector insect,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RSV-viruliferous SBPH (RVLS) and non-viruliferous SBPH (NVLS) adults to construct expressed sequence tag databases for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ver 30 million bases were sequenced by 454 pyrosequencing to construct 1,538 and 953 of isotigs from the mRNA of RVLS and NVLS, respectively. The gene ontology (GO)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libraries have similar GO structures, however, the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17.8% and 16.8% of isotigs were up- and down-regulated significantly in the RVLS, respectively. These RSV-dependently regulated genes possibly have important roles in the physiology of SBPH, transmission of RSV, and RSV and SBPH interaction.

Expression of BrD1, a Plant Defensin from Brassica rapa, Confers Resistance against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Transgenic Rices

  • Choi, Man-Soo;Kim, Yul-Ho;Park, Hyang-Mi;Seo, Bo-Yoon;Jung, Jin-Kyo;Kim, Sun-Tae;Kim, Min-Chul;Shin, Dong-Bum;Yun, Hong-Tai;Choi, Im-Soo;Kim, Chung-Kon;Lee, Jang-Y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2호
    • /
    • pp.131-137
    • /
    • 2009
  • Plant defensins are small (5-10 kDa) basic peptides thought to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defense pathway against fungal and/or bacterial pathogens. To understand the role of plant defensins in protecting plan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a type of insect herbivore, we isolated the Brassica rapa Defensin 1 (BrD1) gene and introduced it into rice (Oryza sativa L.) to produce stable transgenic plants. The BrD1 protein is homologous to other plant defensins and contains both an N-terminal endoplasmic reticulum signal sequence and a defensin domain, which are highly conserved in all plant defensins. Based on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defensin domain of various plant defensins, we established that BrD1 belongs to a distinct subgroup of plant defensins. Relative to the wild type, transgenic rices expressing BrD1 exhibit strong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nymphs and female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D1 exhibits insecticidal activity, and might be useful for developing cereal crop plants resistant to sap-sucking insects, such as the brown planthopper.

본논초기해충군과 벼멸구에 미치는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의 영향 (Effects of Carbofuran Soil Incorporation on the Early Occurring Rice Insect Pests and the Brown Planthopper)

  • 배윤환;이준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6-542
    • /
    • 1992
  • 비 이앙직전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의 본논초기 발생해충 방제효과 및 비래성 해충인 벼멸구에 대한 약효지속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포장에서 5월 하순 이앙직전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는 6월 중순 carfuran 수면시용처리나 diazinon (3G) +BPMC (50% EC) 2회처리보다 본논초기 발생해충인 애멸구, 끝동매미충, 이화명나방 1화기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폿트에서 carfuran 토양혼화처리의 벼멸구 암컷성충에 대한 직접살충효과는 약처리 1개월후에 50%정도로 떨어졌으나 그의 차세대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는 약처리 37일후까지 90%이상, 46일후에도 70%정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앙직전 carfuran 토양혼화처리는 본논초기 발생해충 전반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수단이 될 수 있으며 6월중 비래하는 벼멸구에 대해서 90%이상 그리고 7월 초순에 비래하는 벼멸구에 대해서도 어느정도의 밀도 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수도 신품종 밀양 21 및 23호의 저항성 (Resistance of the New Varieties Milyang $\#21\;and\;\#23$ to Plant-and Leaf-hoppers)

  • 최승윤;이정운;이형래;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7-151
    • /
    • 1976
  • 본 시험은 수도 신품종 밀양 21호와 23호를 공시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주로 품종저항성기작으로 여겨지는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유균의 반응, 공시품종에 대한 멸구$\cdot$매미충의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을 실내에서 검토하였다. (1) 유충의 반응에 있어서 밀양 21호와 23호는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중간성(M), 밀량 23호는 애멸구에 대하여 중도저항성(MR)으로 나타났으나 그밖에 멸구$\cdot$매미충에 대해서는 중도감수성(MS) 내지 감수성(5) 반응을 보였 다. (2) 끝동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 유신, T(N)-1에 비하여 밀유 21호와 23호에서 비교적 낮은 식이선호성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및 번개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밀탕 21호와 23호에서 같거나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밀양 21호와 23호는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두 멸구$\cdot$매미충의 식이선호성이 높았다. (3) 벼멸구와 애멸구는 저항성대조품종 Mudgo, ASD-7에서 산란선호성이 높았고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흰등멸구에서는 저항성 대조품종과 공시품종사이에 거의 같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그러나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의 경우는 반대로 저항성 대조품종들of 비하여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높은 산난선호성을 보였다. (4) 밀량 23호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과 대등하였으나 밀양 21호와 23호에 대한 다른 멸구$\cdot$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현저히 짧으며 감수성 대조품종과 같았다. (5) 저항성 대조품종에서 멸구$\cdot$매미충의 우화율이 심히 낮았으나 공시품종 및 감수성 대조품종에서는 비교적 우화율이 높았다. 감수성 대조품종에 비하여 공시품종에서 비교적 우화율이 낮은 害펄은 밀탕 21호 와 23호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이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양 21호와 23호는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진성저항성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다만 두 신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것이 아닌가 보며 애멸구에 대한 것은 저항성이라기 보다는 벼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벼멸구 발생의 장기예찰을 위한 기초적 연구 (Study on the Long-term Forecasting of Brown Planthopper Outbreaks)

  • 백운하;백현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1-179
    • /
    • 1977
  • 1975년의 벼멸구 대발생에 의한 극심한 피해에 감하여 그 발생을 예찰할 수 있다면 정부의 이에 대한 방제대책 및 살충제의 약종$\cdot$제제형태를 결정해야 할 농약수급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예찰방법은 전국 47개소의 예찰소에서 채집된 벼멸구를 유일한 자료로 삼고 있다. 벼멸구 발생의 신빙할만한 기록은 수원에 권업모범장이 설립된 1905년부터 볼 수 있고 그 이전의 해충기록은 삼국사기, 고려사, 문헌비고 등에 "황", "황충", "비황", "충" 등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 정체를 알 수 없었다. 이들 해충에 대해 일본인 학자를 사이에 상반되는 견해가 발표되었는데 Muramatsu, S.(촌송 무)는 고문헌에 나타난 "황"은 풀무치(비황, Locusta migratoria)라고 주장하였고 Okamoto, H.(강본반차랑)는 멸구류라고 단정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은 주로 문헌비고에 근거를 둔 것 같다. 설사 삼국사기, 고려사 등을 참고했다 하더라도 이들 문헌은 문헌비고나 다름없이 해충에 대한 기술이 극히 간략하다. 예를 들면 "7월 황", "추구월황해곡", "오월유항충"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만으로 해당해충의 정확한 이름을 알아내기는 어려운 일이다. 필자는 1967년에 벼멸구의 대발생이 태양흑점 활동최소기와 상관이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양자간의 상관관계를 논하기에는 자료의 량이 충분치 못한 감도 있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벼멸구의 발생기록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찾기로 하고 아울러 삼국사기, 고려사, 문헌비고 등에 나타난 해충기록들을 분석해 보았다. 고기록의 해충명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선결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분석의 결과 밝혀진 해충은 1.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s) 2.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3. 벼멸구(Nilapavata lugens) 4.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5. 풀무치(Locusta migratoria) 6.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7. 땅강아지(Cryllotalpa africana) 8. 벼뿌리바구미(Echinocnemus squameus) 9. 거세미나방(뗘탬 segetum) 10. 뽕나무명나방(Margaronia pyloalis)의 10종이었고, 종명 미군종이 19건이었다. 그런데 문제의 벼멸구가 조선와조실록중에 기록된건수는 놀랍게도 겨우 5건에 불과하며 그 발생년도 또한 서기 1458년, 1468년, 1489년, 1536년, 1587년로서 태양흑점의 관측이 근대적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1719년대 이전의 사실이었다. 따라서 양자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기간 중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 해 주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즉 1946년에 흰둥멸구의 대발생으로 충남, 전남지방에 피해가 심했으며 그중 피해액이 밝혀진 곳은 라주군에서 16만석, 서산군에서 19만석이었다. (당시 농사시험장 곤충담당관 이봉우씨 담, 현재선 교수 전) 1910년 이후의 우리나라에서의 벼멸구 생기록을 보면 항상 흰등멸구와 함께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의 예찰등성적을 보아도 함께 나타나 있고, 해에 따라 1975년도와 같이 벼멸구가 대발생하는 수도 있고 1977년도와 같이 흰등멸구가 대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벼멸구와 흰등멸구는 모두 우리나라 재래의 해충이 아니며 해마다 중국본사에서 비래하는 곤충이다. 한편 태양흑점이 실측되기 시작한 1710년대부터 현재까지는 그 활동이 11.2년의 주기성을 보여주지만 그 이전에 있어서는 그 활동이 극히 약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불규칙하다는 것이 Schneider와 Mass(1975)에 의해 밝혀졌다. 결국 1710년대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있어서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대발생 연도는 1910년, 1921-23년, 1946, 1967-8년, 1975-7년의 5회가 되며 이들 대발생 연도는 모두 태양흑점 활동최소기와 일치되어 필자의 주장의 신빙성이 더해졌다. 따라서 앞으로 태양흑점의 활동이 현재와 같은 주기로 계속되는 동안은 그 활동최소기에 임해서는 벼멸구와 흰등멸구에 대해 특별한 경계가 필요하며 만전의 방제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PDF

애멸구의 약제저항성에 관한 연구(I). Malathion 및 NAC에 대한 애멸구감수성의 지역적 차이 (Insecticide Resistance to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1). Local Variabilities in Susceptibility of Small Brown Planthopper to Malathion and NAC)

  • 최승윤;송유한;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58
    • /
    • 1975
  • 애멸구의 발생이 심한 남부지방 몇 개 지역을 대상으로 Malathion과 NAC(Sevin)에 대한 애멸구의 감수성차이를 미량국소처리법(Arnold microapplicator 사용)에 의한 검정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내감수성계통에 비하여 공시된 각지역계통의 애멸구들은 Malathion에 대하여 감수성이 크게 낮았으나 NAC에 대해서는 실내계통과 지역계통간에 감수성차이가 없었다. 실내계통에 대한 지역계통의 저항성차이는 Malathion에 대하여 진주계통은 암컷에서 27.7배, 숫컷에서 24.9배, 선산계통은 암컷에서 18.4배, 숫컷에서 13.8배이었으나 밀양, 광주, 이리계통은 암수 모두 3-4배 정도에 불과하였다. Malathion에 대하여 27.7배의 저항성을 보였던 진주계통도 NAC에 대해서는 감수성에 차이가 없었다. 즉 유기인계 살충제 Malathion 저항성 해충에 대하여 Carbamate계 살충제 NAC는 비교채저항성반응을 보인다. 애멸구 성충 일두당 $LD_{50}$은 공시계통 대부분 숫컷에 비하여 암컷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체중당 $LD_{50}$은 반대로 공시계통 모두 암컷에 비하여 숫컷에서 높은 수치를 나태는 등 애멸구 암수에 따라 약제에 대한 감수성차이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재배양식에 따른 벼 줄무늬잎마름병 전염원인 애멸구의 밀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nd the Rice Stripe Virus Disease in Rice Cultivation System)

  • 이두구;심형권;박종철;최만영;강미형;김재덕;박진우;노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8-490
    • /
    • 2006
  • 보리 재배면적 증가로 인하여 월동한 애멸구 밀도증가가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대면적 발생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호남지역은 보리재배 논과 1모작 이앙 또는 직파재배 논이 혼재하고 있어 보리 수확과 동시에 보독충인 애멸구는 벼가 자라고 있는 논으로 대규모 이동하여 병 발생을 조장하고 있다. 재배양식에 따른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양상은 1모작 이앙과 담수직파 재배에서 병발생이 각각 2.5, 2.4%로 이모작 이앙 1.3%보다 높았다. 보리재배 논과의 2m 이내의 거리에서 보리 수확 3일전 애멸구 밀도는 5마리에서 수확 3일후 63마리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보리재배 논과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애멸구 밀도는 크게 감소하였다.

애멸구 약충기생봉(Haplogonatopus atratus)에 관한 연구 (I) (Studies on the Nymphal Parasitism, Haplogonatopus atratus Esaki at Hashimoto (Dryinidae)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I))

  • 김정부;김창문;조동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118
    • /
    • 1984
  • 본 연구는 애멸구 약충기생봉의 1종인 Haplogatopus atratus(Dryinidae)의 애멸구 약충에 대한 세대별 기생율과 령기별 기생선호성을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plogonatopus atratus의 애별구 약충에 대한 세대별 기생율은 월동세대가 $19.2\%$, 제 1세대인 맥전에서 $10.8\%$, 제 2세대인 본답에서 $21.5\%$였다. 2. 숙주인 애멸구 약충에 대한 령기별 기생선호성은 1령, 5령 및 성충에는 전혀 기생을 하지 않었으며 2령이 $17.5\%$, 3령이 $78.2\%$, 4령이 $4.2\%$로서 3령이 가장 높은 선호성을 보였다.

  • PDF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에 따른 수도 주요해충의 발생.피해 (Occurrence of Major Rice Insect Pests at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and Fertilizer Levels in Paddy Field)

  • 마경철;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2-136
    • /
    • 1996
  •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과 주용해충 발생치해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조사해충은 모두 시비수준보다 이앙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 벼물기굴파리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 혹명나방은 이앙시기가빠를수록 발생량도 많았고, 피해도 컸다. 그리고 끝동매미충과 이화명나방을 제외한 해충들은 이앙시기가 늦으면서 질소질비료가 많으며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