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rea estimation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1초

HGLM과 EB 추정법을 이용한 질병지도의 작성 (HGLM and EB Estimation Methods for Disease Mapping)

  • 김영원;조나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3호
    • /
    • pp.431-44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질병지도작성(disease mapping)을 위해 인접지역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EB(empirical Bayes) 추정 법과 HGLM(hierarchial generalized linear model)을 기초로 한 추정법을 다룬다. 사례연구로 이 추정방법들을 이용하여 2000년 사망원인통계자료를 이용해 경상도 및 전라도의 112개 시$.$$.$구 단위 행정자치구역별 45세 이상 폐암 사망률을 산출하고, 경상도 및 전라도 지역 폐암 사망률 지도를 작성한다. 아울러 제시된 방법들에 위해 얻어진 추정치들의 변동과 3년간 평균 사망률을 기준으로 구한 MSD(mean square deviation)를 이용하여 추정방법들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공간 통계 활용에 따른 소지역 추정법의 평가 (Evaluations of Small Area Estimations with/without Spatial Terms)

  • 신기일;최봉호;이상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9-244
    • /
    • 2007
  • 국내외에서 소지역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보조 자료가 충분히 있는 경우 모형기반 추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중에서 계층적 베이지안(Hierarchical Bayesian: HB) 추정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조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모형 기반 추정법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최근 충분한 보조 자료가 없는 경우 공간 정보를 보조 자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통계량과 베이즈 접근방법을 활용한 모형기반의 소지역 통계량들을 모형 검진방법(Diagnostic method)들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5년도 경제활동인구 조사이며 소지역(시,군,구)통계를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공간이웃정보를 고려한 공간회귀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neighborhood i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김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05-513
    • /
    • 2017
  • 최근,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 결과를 위해 소지역추정(small area estimation; SAE)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공간회귀모형 (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웃 (spatial neighbor)의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도로네 삼각망 (Delaunay triangulation; DT)을 소개하고 k-최근접 (k-nearest neighbor; KNN)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두 가지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이웃을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지가 (land price)데이터를 이용하여 실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충청북도 분기별 GRDP 추계방안 연구: 소지역 추정법의 적용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hungbuk Quarterly GRDP by Using Small Area Estimation)

  • 이계오;김윤수;유정빈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2호
    • /
    • pp.131-152
    • /
    • 2001
  • 지방화와 정보화사회에서는 지역내총샌산(GRDP)이 지역 경제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충청북도의 경제자립도를 제고하고 효과적인 지역경제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개발하는 지역경제 예측시스템에는 충북 GRDP의 분기별 추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GRDP를 분기별로 추계하기 위하여 소지역 추정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한국은행의 전국 GRDP와 통계청의 충북 연간 GRDP의 변화추이가 공행성을 갖는다는 조건하에서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고자 하였다. 경제활동 부문별로 전국 분기별 GDP에서 분기별 변화추이 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충북 연간 GRDP를 분기별로 세분화하는데 적용하여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였다.

  • PDF

충청북도 분기별 GRDP 추계방안 연구 - 소지역 추정법의 적용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hungbuk Quarterly GRDP by Using Small Area Estimation)

  • 이계오;김윤수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7-64
    • /
    • 2001
  • 지방화와 정보화사회에서는 지역내총생산(GRDP)이 지역 경제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충청북도의 경제자립도를 제고하고 효과적인 지역경제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개발하는 지역경제 예측시스템에는 충북 GRDP의 분기별 추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GRDP를 분기별로 추계하기 위하여 소지역 추정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한국은행의 전국 GRDP와 통계청의 충북 연간 GRDP의 변화추이가 공행성을 갖는다는 조건하에서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고자 하였다. 경제활동 부문별로 전국 분기별 GDP에서 분기별 변화추이 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충북 연간 GRDP를 분기별로 세분화하는데 적용하여 분기별 충북GRDP를 추계하였다.

  • PDF

A pooled Bayes test of independence using restricted pooling model for contingency tables from small areas

  • Jo, Aejeong;Kim, Dal H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5호
    • /
    • pp.547-559
    • /
    • 2022
  • For a chi-squared test, which is a statistical method used to test the independence of a contingency table of two factors, the expected frequency of each cell must be greater than 5. The percentage of cells with an expected frequency below 5 must be less than 20% of all cells.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regional expected frequency is below 5 in general small area studies. Even in large-scale surveys, it is difficult to forecast the expected frequency to be greater than 5 when there is small area estimation with subgroup analysis. Another statistical method to test independence is to use the Bayes factor, but since there is a high ratio of data dependency due to the nature of the Bayesian approach, the low expected frequency tends to decrease the precision of the test resul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will borrow information from area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pool the data statistically to propose a pooled Bayes test of independence in target areas. Jo et al. (2021) suggested hierarchical Bayesian pooling models for small area estimation of categorical data, and we will introduce the pooled Bayes factors calculated by expanding their restricted pooling model. We applied the pooled Bayes factors using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mass index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ompared them with chi-squared tests often used in tests of independence.

이단계 소지역추정 (Two Stage Small Area Estimation)

  • 이상은;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2호
    • /
    • pp.293-300
    • /
    • 2012
  • 지역 또는 도메인에 작은 크기의 표본이 배정되어 추정의 정도가 낮을 때 사용하는 통계적 기법인 소지역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지역추정에 사용되는 자료는 단위수준자료(unit level data)와 지역수준자료(area level data)로 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수준자료를 이용하여 소지역추정을 실시한 후 얻어진 추정값에 공간통계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최종적인 소지역추정값을 얻는 이단계 소지역추정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소지역추정법은 단위수준자료가 갖고 있는 정보와 지역수준자료가 갖고 있는 공간정보를 모두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의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이단계 소지역추정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Small Area Estimations by Sample Sizes

  • Kim, Jung-O;Shin, Key-Il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3권3호
    • /
    • pp.669-683
    • /
    • 2006
  • Model-based methods are generally used for small area estimation. Recently Shin and Lee (2003) suggested a method which used spatial correlations between areas for data set including some auxiliary variables. However in case of absence of auxiliary variables, Direct estimator is used. Even though direct estimator is unbiased, the large variance of the estimator restricts the use for small area estim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new estimators which take into account spatial correlation when auxiliary variables are not available. We compared Direct estimator and the newly suggested estimators using MSE, MAE and MB.

소지역 실업률의 패널추정을 위한 일반화커널추정방정식 (Generalized kernel estimating equation for panel estimation of small area unemployment rates)

  • 심주용;김영원;황창하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199-1210
    • /
    • 2013
  • 오늘날 높은 실업률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한편 소지역의 노동 관련 통계에 대한 요구가 지난 몇년간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식통계를 생산하기 위한 표본설계는 대영역의 통계를 생산할 목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소지역의 경우 배정되는 표본조사단위수가 극히 적어 신뢰성 있는 통계 산출이 어렵다. 그리고 소지역 추정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특정 시점에서의 추정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식통계들은 월, 분기 또는 연 단위로 측정되는 패널자료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추정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자료의 분석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일반화추정방정식의 비모수적 버전인 일반화커널추정방정식을 도출하여 조사시점을 고려한 소지역 실업률의 추정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일반화커널추정방정식 방법, 일반화추정방정식 방법 및 일반화선형모형과 비교한다. 그리고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상남도 및 울산광역시의 25개 시군구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패널자료에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해당 소지역의 월별 실업률을 추정한다.

공간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Space Time Autoregressive Model for Small Area Estimation)

  • 김재두;신기일;이상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3호
    • /
    • pp.627-637
    • /
    • 2005
  • 시계열 모형과 공간통계 모형이 결합된 공간 시계열 모형에 관한 많은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최근 de Luna와 Genton(2003, 2005)은 공간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실업률의 소지역 추정을 발표하는 등 공간 시계열 기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방법의 연구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기법을 설명하고 이 기법과 신기 일과 이상은(2003)이 발표한 공간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