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liding-mode control

Search Result 1,38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ensorless control of PMSM in high speed with sliding mode observer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고속 영구자석형 동기 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

  • Kim, Jong-Moo;Lee, Suk-G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964-965
    • /
    • 2008
  • 본 논문은 고속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정지상태에서 초기 기동시 부터 고속영역까지 센서리스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적용하여 회전자의 회전각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벡터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의 채트링을 개선하고 넓은 속도 범위에서 안정된 응답을 얻기 위하여 속도에 따른 가변 이득 알고리즘과 관측기의 수렴을 여부를 판별하여 제한된 PWM 주기 내에서 관측기를 반복수행 관측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 하였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을 하였다. 초기 기동시 및 고속 영역에서 우수한 성능의 센서리스 알고리즘 구현되었을 확인하였다.

  • PDF

Drive System for AC Servo Motor of Induction Type by Sliding Mode Control (슬라이딩 모드 제어에 의한 유도형 교류 서보 전동기 구동 시스템)

  • Hong S.I.;Choi J.Y.;Lee Y.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b
    • /
    • pp.799-802
    • /
    • 2003
  • 시스템이 슬라이딩모드의 존재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동기의 상태가 전동기의 파라미터에 의존 하지 않고 결정되는 절환 초평면에 수렴하기 때문에 파라미터에 불감한 응답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소형 유도전동기에 의한 외란 및 파라미터의 변동에 대하여 로바스트(robust)와 동시에 정확한 응답을 나타내는 교류서보 전동기를 이용한 서보 시스템을 설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가변구조 제어 이론에 기초한 슬라이딩모드 제어규칙을 결정하고 유도전동기 자계 슬립주파수형 벡터제어를 실현한다.

  • PDF

Position Control of IPMSM for Missile Assembly Test System(MATS) using Improved Sliding Mode Controller (개선된 슬라이딩모드 제어기를 적용한 Missile Assembly Test System(MATS)용 IPMSM의 위치제어)

  • Cho, Yong-Ju;Shin, Soo-Cheol;Lee, Jung-Hyo;Park, Hyeon-Woo;Lee, Taeck-Kie;Kim, Young-Real;Won, Chung-Ye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520-521
    • /
    • 2010
  • 본 논문은 군사용 미사일의 조립 후 성능 검증을 위한 Missile Assembly Test System(MATS)용 IPMSM의 위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와 PI 제어기를 Membership 함수를 사용하여 혼합한 개선된 위치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오버슈트가 없고, 외란에 대하여 강인하게 운전 궤적을 추정하는 특성이 뛰어난 슬라이딩 모드 제어의 장점과, 빠른 제어 응답성과 정상상태에서 리플이 적은 PI제어를 적절하게 혼합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IPMSM의 위치제어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Startup-Characteristic for Sensorless Control of IPMSM with Sliding Mode Observer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IPMSM의 센서리스 제어의 기동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ang-Hun;Jung, Young-Seok;Kwon, Soon-Jae;Kim, Marn-G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526-52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하여 IPMSM(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의 센서리스 제어의 기동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IPMSM의 센서리스 제어는 초기 구동시 회전자의 위치를 알 수가 없으므로 Open-Loop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강제로 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Open-Loop에서 Closed-Loop로 제어되는 시점에서 부하의 상태에 따라 기동 특성에 문제점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하에 따라 기동 특성에서 야기되는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Modified Excitation System of Synchronous Machine Connected to HVDC System

  • Kim, Chan-Ki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 on Electrical Machinery and Energy Conversion Systems
    • /
    • v.2B no.3
    • /
    • pp.109-114
    • /
    • 2002
  • This paper analysis the transient performance of the modified excitation system using 4-quadrant chopper for a synchronous machine connected to HVDC system. Conventionally, capacitors are used to supply reactive power requirement at a strong converter bus. And the installation of a synchronous machine is essential in an isolated weak network to re-start after a shutdown of HVDC and to increase the system strength. However, a conventional static excitation system has some problems which are harmonic instability and the system stress due to overvoltage. To reduce these problems, the new excitation system, which has 4-quadrant chopper, is proposed. A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the capability to allow reverse current and isolate between AC network and excitation power, problems of overvoltage and harmonic instability can be solved. The investigation is performed and confirmed by the time domain digital simulation using PSCAD/EMTDC program.

The Design of a Sliding Mode Controller with Fuzzy PI-type Reaching Law (퍼지 PI 형 도달법칙을 가지는 가변 구조 제어기의 설계)

  • 이재호;조기원;채창현;이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1.06a
    • /
    • pp.105-108
    • /
    • 2001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ariable structure controller with fuzzy PI-쇼pe reaching law. we fuzzified as inputs to fuzzy system Rf(representative point's orthogonal distance(rd) to switching surface and RP's distance(r) to the origin of the 2-dimensional space whose coordinates are the error and the error rate. The increments of the coefficients $k_{p}$ and $k_{i}$, of the reaching law are calculated appropriate by the simplified Mamdanl inference. The proposed fuzzy PI-type reaching law makes it reduce the chattering and has no need to tune the PI parameters of reaching la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uzzy PI-type reaching law is shown by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of a Ball-balance System.

  • PDF

Sliding Mode Control of DC Servo Motor in Electrohydraulic Ventricuar Assist Devices (전기유압식 좌심실보조기에 사장된 직류서보모터의 슬라이딩모드 제어)

  • An, Yun-Ho;Choi, Jae-Soon;Chung, Chan-Il;Min, Byung-Goo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5 no.05
    • /
    • pp.78-8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슬라이딩 모드를 전기유압식 심실보조기의 직류모터제어기의 속도와 위치제어에 적용하였다. 슬라이딩 모드 컨트롤은 가변구조시스템(varaiable sturucture system)의 일종으로 적절한 내부스위칭 논리를 갖는 연속적인 부시스템(subsystem)의 모임으로 구성된다는 접에서 고정된 제어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제어시스템과 다르다. 이 시스템은 불연속적인 동적시스템이나 시변적인 요소를 갖는 시스템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모드 제어를 적용하여 좌심실보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넓은 작동범위에서도 시스템이 안정적이며 혈류역학적인 외란에 대해서도 기준입력에 대한 속도의 추종이 잘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실제의 구현에 앞서 컴퓨터모델을 통해 검증하고 문제점들을 조사하였다.

  • PDF

Dynamic terminal sliding mode control with no singularity (특이점을 가지지 않는 다이나믹 터미널 슬라이딩 모드 제어)

  • Seo, Sang-Bo;Shim, Hyung-Bo;Seo, Jin-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125-126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제어 가능한 선형시스템에 대한 다이나믹 터미널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제안된 터미널 슬라이딩 모드구조와 제어기는 추가된 다이나믹스의 스캐일링을 통해 설계되며, 추가된 다이나믹스는 모든 상태변수들이 원점에 도달한 후에야 원점에 도달하므로 특이점을 가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체시스템의 유한시간 안정화는 유한시간 안정에 관한 리아프노프 함수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 PDF

A Discrete-time Sliding Mode Control Scheme to Improve Transients of Grid-connected Inverter under Distorted Grid (왜곡 계통 조건에서 계통연계 인버터의 과도응답을 개선하기 위한 이산시간 슬라이딩 모드)

  • Yoon, Seung-Jin;Kim, K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38-339
    • /
    • 2018
  • 최근 분산전원 시스템 개발로 인해 계통연계 인버터의 사용이 증가해 왔다. 계통연계 인버터의 주요한 역할은 계통연계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운전과 계통 사고 시 중요 부하에 대한 연속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독립운전에 있다. 각 모드 전환시의 출력전압의 변동성과 과도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다중 루프 및 간접 전류 제어 방식이 계통연계 인버터에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어 방식은 캐패시터 전압 및 인버터 전류의 측정이 요구되어 시스템의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시간 상태공간에서의 전상태 관측기를 설계하여 무순단 절체 동작 시 제어기가 요구하는 변수를 추정하고 이를 궤환신호로 사용하여 시스템의 설계 비용 및 복잡성을 줄인다. 또한 계통연계 시 계통유입 고조파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공진형 제어기의 과도 응답을 개선하기 위해 이산시간에서 슬라이딩 모드와 공진제어기가 결합된 새로운 제어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된다.

  • PDF

Optimal Multidimensional Variable Structure Controller for Multi-Interconnected Power Systems (다수 연결된 전력계통에 대한 최적 다가변 구조 제어기)

  • Lee, Ju-Ja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38 no.9
    • /
    • pp.671-683
    • /
    • 1989
  • A controller of interconnected power systems is investigated using an optimal multidimensional variable structure control. The switching hyperplane of the variable structure stabilizer is obtained by minimizing a quadratic performance index in continuous-time. A special feature of the optimal multidimensional variable structure stabilizer is that, when it is operated in the so-called sliding mode, the system response becomes insensitive to changes in the plant parameters. A digital simulation is performed by a digital computer using the Advanced Continuous Simulation Language (ACSL) package, which shows that the dynamic performance of the power system in response to mechanical torque changes is improved when optimal multidimensional variable sturcture stabilizers are employ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