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de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71초

부산직할시 승학산 단일암괴 사태사고의 환경지질학적 고찰 (Geological Discussion of Monolithic Rock Slide on the Slope of Mt. Seunghag, Dangridong, Busan)

  • 김항묵
    • 기술사
    • /
    • 제17권3호
    • /
    • pp.6-21
    • /
    • 1984
  • A rock slide in amount of 100 tons in weight happened at 7: 10 a.m., 4th October 1982, on the southwestern ridge of Mt. Seunghag, Busan City. The original rock mass of the rock slide is located 850m west from the Dangri Crushed Stone Quarry. The geology of the area consists of agglomerate, andesite, andesitic tuff, and shale hornfels of the Cretaceous Yucheon Group. The rock blocks were first shifted along the steep joint plane on an andesite outcrop at the site and then to the eastern foot of the mountain slope where some private houses are placed. The mountain slope is covered with thick superficial soil. A slided monolithic-block with 83 tons in weight from the rock slide met with an accident of striking against a house with a tremendous force, to which much damage was done as much as its half was destroyed. The rock-slided block pierced the board-floored room only posited at the center and by the bedroom of the house making a pass like a bullet hole, and hence cut a big pine tree with 24 centimeters in diameter at a distance of 26 meters down the house. However nobody was killed or injured in the stricken house, though seven family members were stayed therein at the very time of accident. They really met a rare opportunity in an unhappy disaster. Measurements of the rock slide were made in the course of the field survey. The monolithic mass was transported by way of saltation, rolling, and sliding to a distance of 300 meters down along the slope dipping 30$^{\circ}$ east. It took about 16 seconds front tile outcrop to the terminal.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monolithic rock slide is 2.35m/sec$^2$.

  • PDF

개인화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데브 기반의 협업시스템 (A WebDAV-based Collaborative System Supporting Individualized Services)

  • 이홍창;이명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43-154
    • /
    • 2008
  •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여러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들 간의 인터넷을 통한 협업과 정보 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최근 사용자중심의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개인화 된 인터넷 서비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웹 기반의 협업 수행을 지원하는 다양한 협업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협업시스템들은 개인화 된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사용자를 고려한 효과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CoSlide 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협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협업지원 포틀릿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협업지원 포틀릿은 CoSlide 협업시스템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가상공간을 지원하며, 각 가상공간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는 여러 기능들을 제공한다. 개발된 포틀릿은 포탈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로 포함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포틀릿을 제공하는 포탈을 통하여 자신의 작업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점박이응애의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결정방법(水準決定方法) 비교(比較)와 Benzomate, Cyhexatin 및 Dicofol 저항성(抵抗性) 조사(調査) 연구(硏究) (Method Comparison of Chemical-Resistance Level Determination and Field Resistance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to Benzomate, Cyhexatin, and Dicofol)

  • 이승찬;김운영;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3-138
    • /
    • 1986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對)한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水準)의 결정방법(決定方法) 개선(改善)을 위한 시험(試驗)과 benzomate, dicofol 및 cyhexatin 에 대(對)한 과수원(果樹園) 계통별(系統別) 응애에 대(對)한 관용약제(慣用藥劑)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 1. 점박이응애계통(系統)을 $LC_{50}$치(植)로 비교(比較)할 때 benzomate 에 대(對)하여 금천계통(系統)이 광주감수성계통(光州感受性系統)에 비(比)하여 slide dip법(法)으로는 75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69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는 38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35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으며, 이 두 방법간(方法間)에는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2. Dicofol에 대(對)하여는 금천계통(系統)이 slide dip법(法)으로 71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74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 24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 는 23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보여 두 방법간(方法間) 역시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두 방법(方法) 중 slide dip법(法)이 더 정확(正確)하고 시험오차(試驗誤差)가 더 적으므로 응애류(類)의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결정(水準快定)에는 이 방법(方法)의 이용(利用)이 바람직스럽다. 3. Cyhexatin에 대(對)한 비아, 금천 및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에 의하여 각각(各各) 19, 18 및 9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다.

  • PDF

우리나라 산사태의 형태분류에 따른 사례 (Case study of landslide types in Korea)

  • 김원영;김경수;채병곤;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18-35
    • /
    • 2000
  •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산사태는 쇄설성유동(debris flow)이며 이는 집중호우 시기인 6월-8월 사이에 대부분 발생한다. 조사통계에 의하면 2일간의 강우량이 200mm 이상일 때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산사면의 노두 발달이 양호한 지역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면 노두가 없는 지역에서만 발생한다. 초기에는 전이형슬라이드(translational slide)로 시작되며 파괴물질이 산사면의 계곡으로 유동되면서 쇄설성유동으로 전이된다. 쇄설성유동의 원인이 되고있는 전이형 슬라이드의 발생인자는 강우와 인위적 조건을 제외하면 암석의 종류, 지형고도, 사면경사, 입도분표, 투수계수, 건조밀도, 공극율 등이다. 이들 발생인자들의 통계처리, 특히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여 인자들의 정량적 가중치를 구하여 산사태 발생 확률을 정량화 하였다. 암반포행(rock mass creep)은 대부분 경상계 퇴적암지역에서 발생되면 직접원인은 거의 사면 하단 부의 절토 때문이다. 전단전이는 적은 편으로 1m 내외이나 포행암반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칠곡, 부산 황룡산 터널입구, 사천 산사태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포행의 원인이 되는 상부 전단대는 대부분 주변에 발달되어있는 단층이나 대규모 전달절리와 연과되어 있어 사면설계 조사시 지질구조에 주의를 요한다. 회전형 슬라이드(rotational slide)는 토양층이 두껍거나 기반암이 심히 풍화된 연약층에서 발생하여 이들도 흔히 사면 하단부의 절토와 연관되어있다. 이 산사태는 원호 또는 반원호형으? 진행되는 특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 3기 응회암 지역이 취약하다. 이는 화산재와 화산쇄설 물질이 흔재된 제3기 응회암의 절리가 매우 잘 발달되어있어 팽윤과 흡수율이 높고 이로 인하여 심부까지 풍화에 취약하기 때문으로 경주 산사태와 포함-구릉포간 국도면의 산사태가 이 종류의 산사태에 속한다.

  • PDF

Cell Yield of Cerebrospinal Fluid Cell Count Using Cytocentrifuges

  • Koo, Bon-Kyung;Shim, Hyun-Seol;Oh, Jung-A;Lee, Yong-Tag;Choi, Dae-Yong;Lee, Beom-Se;Kim, Eun-Jee;Lee, Seung-Tae;Kim, Sun-He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7-42
    • /
    • 2013
  • The cells are concentrated approximately 20-fold by cytocentrifug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nucleated cell number for cells recovered on slide by using Cytospin-3 (Thermo Shandon Ltd. UK) and Cytopro-7620 (Wescor Inc., USA) cytocentrifuges to hematocytometer cell count of $0{\sim}5WBCs/{\mu}L$ of hematocytometer in the cerebrospinal fluid cell count. One hundred forty eight samples of $0{\sim}5WBCs/{\mu}L$ on hematocytometer, were cytocentrifuged by Cytospin-3 and Cytopro-7620 instruments. The nucleated cell number for cells recovered on slide was counted after Wright stain. The nucleated cell number for cells recovered on slide was 0~40 cells in the 44 samples of $0WBC/{\mu}L$, and 3~95 cells in the 31 samples of $1WBC/{\mu}L$. It was observed that the nucleated cell number for cells recovered on slide was 13~100 cells in the 44 samples of $2WBCs/{\mu}L$, and more than 100 cells in the 29 samples of $3{\sim}5WBCs/{\mu}L$, respectively. In addition, extremely normal lymphocyte, monocyte and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were observed in the 143 samples of $0{\sim}5WBCs/{\mu}L$. Macrophage and eosinophil were also rarely observed. The nucleated cell number for cells recovered on slide was 20 cells, which were regarded as $1WBC/{\mu}L$ in body fluid cell count. However, in this study, we made alterations to report nucleated cell percentage as 0% without preparing the cytocentrifuged slide at $0WBC/{\mu}L$ by using the cell yield in a comparison between the value of $0{\sim}5WBCs/{\mu}L$ and nucleated cell number for cells recovered on slide.

  • PDF

SDU 장치를 이용한 Slip/Slide 제어방안 (Using SDU Slip/Slide Control)

  • 박주연;강덕원;이종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83
    • /
    • 2011
  • The paper is to perceive accurately speed of the train through redundant processor operation. When Slip/slide is occurred at the axle, the train is applied brake force using the Tachometer and the Doppler sensor which assistance equipment. One of the main features of railway signaling system is that rolling stock is made stop to avoid collision with the rolling stock ahead when the rolling stock exceeds its maximum operating speed in li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olling stock with automatic train operation, it carries out activities such as braking and propulsion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its actual speed and target speed at the point. To perform these functions, it is essential to calculate the exact speed of the rolling stock in signaling equipment on vehicles. Train speed detection unit are composed of the Tachometer and the Doppler sensor, and speed information is sent to the SDU unit. The processor of SDU unit calculates the speed of the train using compare logic the received speed information. Even if there are Slip/Slide, signaling system is available to apply exact braking, to improve stop on position and to guarantee the safety of trains.

  • PDF

산사태 억지벽체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zing Method against Landslide using Slide Suppressor Wall)

  • 김홍택;강인규;염경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4년도 학술발표집 신소재, 신기술에 의한 사면안정이론과 시공사례
    • /
    • pp.94-110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Wright 등이 제안한 산사태 억지벽체공법에, nailing system을 추가한 새로운 형태의 사면보강공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nail로 보강된 콘크리트판넬에 작용하는 토압산정법의 제시 및 억지말뚝 해석법의 정립 등이 이루어 졌다 또한 제시된 토압산정법을 토대로 nail의 효율적인 배치형태 및 설치각도 등에 대한 분석과, 콘크리트 판넬 및 억지말뚝 등으로 구성된 억지벽체의 최적설치위치에 관한 FLAC 프로그램 분석 등이 수행되었다. 이외에도 본 공법의 시공개요를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설계예를 통한 Wright 등의 제안방법과의 비교, 억지말뚝 상호간섭작용의 영향검토 등이 포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