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yline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7초

유동식 가선집재시스템 Live Skyline의 역학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Live Skyline Cable Logging Mechanics)

  • 정주상;정우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57-364
    • /
    • 1994
  • 이 논문에서는 유동식 가선을 지니는 집재시스템의 특성을 설치방법에 따른 구조해석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유동식 가선집재시스템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 속하는 live skyline의 cable 역학분석을 위한 전산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산모델은 live skyline 작업을 지면으로부터의 가선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true live skyline' 방식과 가선을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는 'live skyline with lift' 방식의 두 가정에 기초하여 각각 만들어졌다. live skyline의 역학적 효율성과 작업특성을 제시할 목적으로 이 전산모델들을 가상적인 지형자료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standing skyline의 허용반송량과의 비교에 의해 live skyline의 역학적 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둘째 견인중인 벌도목의 기하학적 구조가 허용반송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true live skyline'과 'live skyline with lift'의 개념상의 특성을 허용반송량 계산에 의한 사례분석에 의해 비교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Representative Skyline Using Connected Component Clustering

  • Choi, Jong-Hyeok;Nasridinov, Aziz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19
  • Skyline queries ar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to make optimal decisions. However, as the volume of data and the dimension of the data increase, the number of skyline points increases with the amount of time it takes to discover them. Mainly, because the number of skylines is essential in many real-life applications, various studies have been proposed. However, previous researches have used the k-parameter methods such as top-k and k-means to discover representative skyline points (RSPs) from entire skyline point set, resulting in high query response time and reduced representativeness due to k dependency.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Connected Component Clustering based Representative Skyline Query (3CRS) that can discover RSP quickly even in high-dimensional data through connected component clustering. 3CRS performs fast discovery and clustering of skylines through hash indexes and connected components and selects RSPs from each cluster. This paper prove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it with representative skyline queries using k-means and DBSCAN with the real-world dataset.

An Efficient Grid Method for Continuous Skyline Computation over Dynamic Data Set

  • Li, He;Jang, Su-Min;Yoo, Kwan-Hee;Yoo, Jae-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1호
    • /
    • pp.47-52
    • /
    • 2010
  • Skyline queries are an important new search capability for multi-dimensional databases. Most of the previous works have focused on processing skyline queries over static data set. However, most of the real applications deal with the dynamic data set. Since dynamic data set constantly changes as time passes, the continuous skyline computation over dynamic data set becomes ever more complic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ple layer grids method for continuous skyline computation (MLGCS) that maintains multiple layer grids to manage the dynamic data set. The proposed method divides the work space into multiple layer grids and creates the skyline influence region in the grid of each layer. In the continuous environment, the continuous skyline queries are only handled when the updating data points are in the skyline influence region of each layer grid. Experiments based on various data distribution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existing methods.

Spatial Skyline을 계산하는 기하 알고리즘 (Computing The Spatial Skyline)

  • 손완빈;안희갑;황승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588-591
    • /
    • 2008
  • 본 논문은 Data mining에서 선호도 분석 등에 사용되는 Skyline Query[2] 중 자료의 속성에 spatial한 성질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Spatial Skyline Query[3] 문제에 대해 연구한다. 우선 Spatial Skyline 집합을 추출하기 위한 기존의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보다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전체 Spatial Skyline 집합이 아닌 그 중 더 의미 있을 수 있는 부분 집합을 좀 더 빠른 시간 복잡도에 구하는 방법 또한 제시한다.

  • PDF

분기한정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Efficient Reverse Skyline Processing using Branch-and-Bound)

  • 한아;박영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1호
    • /
    • pp.12-21
    • /
    • 2010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정보 중심의 서비스"는 정보(정보 제공자)가 질의의 주체가 되어 정보 스스로 자신이 필요할 것 같은 고객을 찾아 제공되는 새로운 서비스 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정보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특정한 고객들에게만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보 중심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리버스 스카이라인기법을 제안한다. 리버스 스카이라인 기법 중 RSSA(Reverse Skyline using Skyline Approximations) 기법은 가장 정형화되고 성능이 증명된 방법이다. 그러나 메모리의 낭비와 실행시간의 낭비가 서로 상충작용을 하여 반복적인 한계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버스 스카이라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한 ERSL(Efficient Reverse Skyline)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ERSL 알고리즘은 BBS(Branch and Bound Skyline) 알고리즘을 발전시킨 새로운 기법으로 메모리와 실행시간의 낭비를 최소화 하고, 객체의 변화에 유연하여 추가적인 처리과정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ERSL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객체의 수의 변화와 차원의 변화에 따른 실행시간을 측정하는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RSL기법은 데이터양과 차원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성능을 유지하여 가장 효율적인 기법으로 증명되었다.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of Riverfront Skyline Through the Feature of Height and Spatial Arrangement of Tall Building

  • Puspitasari, Ayu Wandira;Kwon, Jongwook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91-98
    • /
    • 2019
  • In modern times, numerous cities are competing to create the unique skyline adjacent to the water. Tall buildings located across the river hav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kyline of a riverfront city and can be a precious asset for the city. Moreover, in several cities, tall buildings and their impact on the urban skyline are a matter that should be considered and regulated in urban design. Therefore, as a prominent element in a larger visual setting of the city, tall buildings should improve the visual quality of the skyline rather than diminish that quality.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an objective method to analyze the visual quality of the skyline made by a group of tall buildings through their feature of heights and spatial arrangement from riverfront views. The analysis is determined by the design variables of building heights variation, heights transition, density, and spacing of a group of tall buildings.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all buildings in Yeouido and Lujiazui was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a simple way in the quantitative approach to quantify the visual quality of the skyline. In conclusion, Yeuido's skyline is not quite interesting from the riverfront view in terms of height variation and continuity of the skyline view because they are dispersed. Conversely, Lujiazui's skyline from the riverfront vantage points has a good quality in all aspects of the feature of height and spatial arrangements of tall buildings cluster. These factors can be used for the urban designer on how proposed tall buildings within the cluster should appropriately respond to adding image on the skyline.

경관계획 및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 건축물 높이와 산림스카이라인의 조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riteria of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 Focusing on the Harmony of Building-Heights and Mountain-Skyline -)

  • 최형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51
    • /
    • 2008
  • These days, one of the issues well discussed is the obstruction or screen of sight to mountain-skyline by buildings. So question is to which heights buildings should be constructed over mountain-skyline and then harmony can be realized between mountain-skyline and building-outline.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proper projection- level of buildings over background mountain-skyline when considering the types of mountain-skyline, building-outline and building-lay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proper projection-ratio of buildings over background mountain-skyline can be 0.1 because assessment values on harmony-level are more than 3.0 in almost cases, second, the building-outline influences on the assessment values of harmony-level when the types of mountain-skyline are formed left-high & right-low and right-high & left-low, third, building-layout doesn't influence on the assessment va lues of harmony-level, finally, statistically difference doesn't exist between expert group and non-expert group in the assessment values of harmony-level.

거리공간에서의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in Metric Spaces)

  • 임종태;박용훈;서동민;이진주;장수민;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7호
    • /
    • pp.809-813
    • /
    • 2010
  • 최근의 기업중심의 서비스를 위해서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리버스 스카이라인에 대한 연구는 모두 다이나믹 스카이라인을 기반으로 한 리버스 다이나믹 스카이라인이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거리공간에서의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스카이라인에 적용 가능하고 거리공간을 고려한 리버스 스카이라인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공간 색인을 활용하여 거리공간에서 리버스 스카이라인을 처리하며, 객체의 단색적인 환경과 양색적인 환경을 모두 고려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제안하는 기법과 기본적인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과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의 기법보다 약 5000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불완전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 Top-k(g) 스카이라인 그룹 질의 처리 기법 (An Efficient Processing Method of Top-k(g) Skyline Group Queries for Incomplete Data)

  • 박미라;민준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7D권1호
    • /
    • pp.17-24
    • /
    • 2010
  • 최근에 스카이라인 질의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스카이라인 질의에 대한 연구는 데이터들이 널 값을 가지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가 웹이나 다른 도구로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입력할 때는 널 값을 가지는 불완전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불완전한 데이터를 위한 다양한 스카이라인 처리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불완전한 데이터를 위한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은 불완전한 데이터만을 고려함으로써 완전한 데이터와 불완전한 데이터가 공존하는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완전한 데이터를 위한 스카이라인 질의와 불완전한 데이터를 위한 스카이라인 질의를 모두 처리 하는 스카이라인 그룹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정의에 의한 차원의 선호도에 따라서 g개의 스카이라인 그룹을 검색하는 top-k(g) 스카이라인 그룹 질의를 도입하고, 이를 질의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의 성능을 보인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거리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연속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 (An Efficient Continuous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Method in Metric Spaces for Location-based Services)

  • 임종태;박용훈;서동민;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5호
    • /
    • pp.250-257
    • /
    • 2010
  • 스카이라인을 응용한 다양한 질의처리기법 중에 하나로 리버스 스카이라인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리버스 스카이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리버스 다이나믹 스카이라인만으로는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한계가 있으며, 질의처리를 위한 비용도 크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공간의 객체정보를 대상으로 질의처리가 가능한 효과적인 연속 리버스 스카이라인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서 제안하는 기법과 기존에 연구된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처리기법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의 기법보다 제안하는 기법이 연속질의를 처리하는데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