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lighting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19초

소규모 사무공간의 조명에너지 절감율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Lighting Energy Saving Rate in a Small Office Space)

  • 김한용;윤경;김강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50-5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ighting dimming rates with various parameters of the building skin in a small office. We compared to simulated workplane illuminance and measured workplane illuminance for the base model. After that, the five veriables(the presence of vertical wall in double skin facade, the presence of windowsill, window to wall ratio(WWR), window visible transmittance, the width of double skin facade) were applied to base model, and we analyzed the simulated lighting energy saving rates. The results are listed as below. The simulated workplane illuminance results are similar to the measurement. Simulated illuminance was smaller than measured illuminance by 16.5%(60 lx).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building skin parameters, lighting energy saving rat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Lighting energy saving rate of case1(windowsill height 0.7m) is higher than that of base case(windowsill and vertical wall) by 7.3% and the lighting energy saving rate of case2(no vertical wall) is higher than that of base case by 7.6% and the lighting energy saving rate of case3(no windowsill and vertical wall) is higher than that of base case by 12.4%. The lighting energy saving rate is increased by 2.3%, when window visible transmittance is increased from 70% to 86%. The lighting energy saving rate is increased by 4.6%, when we changed the WWR 70% to 90%. lighting energy savings rate is increased by 6.5%, when the width of double skin facade is reduced from 1m to 0.3m.

이중외피 창호특성에 따른 계절별 실내 주광환경 평가 (Evaluation of Seasonal Dayligh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Window Compositions of Double Skin Facades)

  • 임태섭;강승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1-98
    • /
    • 2015
  • Double skin façade is known that several features affected the building energy and daylighting performance. That is why the envelope is able to consist of all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glass, aluminum, wood and insulation for vision of residents and workers in buildings. Its specifications is very diverse according to the building designers and building owners. In recent times, visual environment became a major focus and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cutting edge engineering of diverse glazing systems and shading devices by growing interests of friendly environment. Thus this research has evaluated the fluctuations of interior lighting and atmospheric conditions based on double skin facade systems. Especially in terms of daylighting environment as dependent on solar variations, this research provides quantitative analysis of interior lighting conditions and how it affects the living conditions as well as improve the design of interior spaces.

소규모 사무실 공간에서 간접조명에 대한 조광제어 시스템효율 (Control Efficiency of a Daylight Dimming System for Indirect Lighting in a Small Office)

  • 김수영;정용호;손장열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3-43
    • /
    • 2006
  • Daylight dimming control system was analyzed for an indirect lighting system in a small office space with a double skin envelope system. Computer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photosensors with three shielding conditions. The photosensors were placed on the center of ceiling, and backwall. Three sky conditions defined by CIE were considered. Overall, control performance was not very excellent for all conditions. Fully-shielded photosensor achieved good control performance for some cases, but partially-shielded and unshielded photosensors failed to achieve target illuminance. The variation in desktop illuminance due to daylight was examined for a variety of daylight conditions. Linear correlation between desktop illuminance and photosensor illuminance was analyzed using ANOVA.

자연 영상에서 얼굴영역 검출 알고리즘 (Face region detection algorithm of natural-image)

  • 이주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5-6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자연 영상에서 피부색 색상과 채도를 기초로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얼굴의 특징요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조명보정과 얼굴 검출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조명 보정 과정에서는 조명변화에 대한 보정기능을 수행한다. 얼굴 검출 과정은 20개의 피부색 표본 영상에서 색상과 채도를 특징벡터로 사용, 입력영상과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구하여 피부색 영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얼굴 후보영역을 CMY칼라 모델에서 C요소로 눈을 검출하였고, YIQ 칼라 공간에서 Q요소로 입을 검출하였다. 추출된 얼굴 후보영역에서 일반적인 얼굴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였다. 입력받은 10장의 자연 영상으로 실험한 결과 100%의 얼굴 검출율을 보였다.

다양한 조명 환경에 강인한 실시간 얼굴확인 기법 (Robust Real-time Face Detection Scheme on Various illumination Conditions)

  • 김수현;한영준;차형태;한헌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21-829
    • /
    • 2004
  • 얼굴인식기술이 인증 및 보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지만 입력영상의 상태, 즉 조명환경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제약적일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과 후면조명 등의 불규칙한 조명환경에서 획득한 입력영상에서 얼굴의 특징을 구분하여 얼굴영상임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에지차영상을 얼굴특징이 두드러지도록 전처리한 후, X와 Y축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예측하고 영역 내의 밝기분포를 이용하여 눈, 코, 입 등의 얼굴특징이 놓일 수 있는 수평영역을 분리한다. 수평영역들은 눈, 코, 입을 포함할 수 있는 영역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 그룹에서 코와 입, 그리고 눈의 순서로 특징들을 검출한다. 얼굴여부는 검출된 특징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여 확인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배경색상이나 조명의 방향과 색상 등으로 인해 얼굴의 형태와 특징이 결여된 입력영상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적용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LED를 사용한 무대 표현 기술 확장을 위한 디지털 의상 플랫폼 (Digital Costume Platform for the Expansion of Stage Representation Technology using LEDs)

  • 오승원;한민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2-59
    • /
    • 2012
  • 최근 LED는 조명, 광고판,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공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대 의상에 LED 기술을 융합시키는 방법을 다룬다. 우리는 공연 환경의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 임베디드 시스템, 컨트롤 재킷, 디지털 스킨, 패턴저작도구로 구성된 디지털 의상 플랫폼을 제안하며, 이것은 LED 조명 효과를 가진 디지털 의상을 만드는데 활용된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LED 빛의 색 변화를 제어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끼 형태의 컨트롤 재킷은 임베디드 시스템과 LED를 연결하는 커넥터 역할을 하고, LED가 디자인된 외피 개념의 디지털 스킨은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의상에 디자인된 LED에 의해 그 자체로 발광체가 된다. 패턴저작도구는 타임라인 기반으로 LED 빛의 색이 변화하는 다양한 패턴들을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디지털 의상은 새로운 형식의 움직이는 조명으로 활용되며 무대 표현 기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는 디지털 의상 플랫폼을 적용한 디지털 의상을 제작하여 실제 공연에서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의상 플랫폼의 안정적인 사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다층 신경망과 피부색 모델을 이용한 피부 영역 검출 (Skin Region Extraction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 and Skin-Color Model)

  • 박성욱;박종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1-38
    • /
    • 2011
  • 피부색은 자동화된 얼굴 인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정보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신경망(Multi-Layer Perceptron)을 이용한 피부 영역 검출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적응적 조명 보정 기법을 통해 피부색 영역의 검출 성능을 개선하였고, 전처리 필터를 적용하여 피부색이 아닌 영역을 먼저 제거시킴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켰다. 제안된 방법의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검출 결과를 나타냈으며, 처리 속도 또한 약 31~49% 향상시킬 수 있었다.

알고리듬 변화에 따른 직/간접 조명시스템에 대한 디밍제어 효과분석 (Analysis on Dimming Control Effect by Algorithm Variation for Direct/Indirect Lighting in a Small Office)

  • 김수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36-48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control algorithms on dimming performance to determine appropriate control setting when direct/indirect lighting is controlled by a daylight dimming system. Computer simulation were performed for a small office with double skin envelope under various daylight conditions. A retractable fabric shading and Venetian blind were applied for internal and external envelopes under three CIE standard sky conditions. Unshielded and partially-shielded photosensors were used, and three control algorithms were applied for the sensors. In general, dimming level was too excessive due to the direct impact of light from lighting fixture to the photosensor. Providing insufficient lighting output, the unshielded photosensor completely failed to secure required illuminance under any daylight condition. When a partially-shielded photosensor was applied under clear sky, three setting points functioned effectively. Less sensitivity for the partially-shielded photosensor was effective to control the dimming system optimally with reasonable energy saving. However, the daylight dimming control system for direct/indirect lighting does not appear to be energy effective when photosensors without enough shielded area is installed on ceiling where light from fixtures reaches directly.

동영상 데이터에서 조명 보정을 사용한 관심 영역의 획득 (Acquisition of Region of Interest through Illumination Correction in Dynamic Image Data)

  • 장석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39-445
    • /
    • 2021
  • 영상 센서 및 소형 디스플레이의 발달로 가능해진 저가의 고속 카메라는 영상처리 및 패턴인식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고속의 영상으로부터 불규칙적인 조명을 보정한 다음, 조명이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관심 영역인 노출된 피부 색상 영역을 획득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받아들인 고속의 영상으로부터 비 균일하게 발생된 조명적인 효과를 프레임 블렌딩 기법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그런 다음, 사전에 반복적인 학습으로 생성된 타원형의 피부 색상 분포 모델을 적용하여 입력된 고속의 컬러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역을 강인하게 획득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접근 방법이 입력되는 컬러 영상으로부터 조명을 보정한 다음 관심 영역을 정확하게 획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얼굴 인식 및 추적, 조명 보정 및 제거, 동영상 색인 및 검색 등과 같은 영상 인식과 연관된 다양한 종류의 실제적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추측된다.

Skin Segmentation Using YUV and RGB Color Spaces

  • Al-Tairi, Zaher Hamid;Rahmat, Rahmita Wirza;Saripan, M. Iqbal;Sulaiman, Puteri Suhaiz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0권2호
    • /
    • pp.283-299
    • /
    • 2014
  • Skin detection is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face recognition, hand tracking,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re are many skin color detection algorithms that are used to extract human skin color regions that are based on the thresholding technique since it is simple and fast for computation. The efficiency of each color space depends on its robustness to the change in lighting and the ability to distinguish skin color pixels in images that have a complex background. For more accurate skin detection, we are proposing a new threshold based on RGB and YUV color spaces. The proposed approach starts by converting the RGB color space to the YUV color model. Then it separates the Y channel, which represents the intensity of the color model from the U and V channels to eliminate the effects of luminance. After that the threshold values are selected based on the testing of the boundary of skin colors with the help of the color histogram. Finally, the threshold was applied to the input image to extract skin parts. The detected skin regions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to the actual skin parts in the input images to measure the accuracy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our threshold to the results of other's thresholds to prove the efficiency of our approac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proposed threshold is more robust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complex background and light conditions than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