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3초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alternate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constriction protocols followed by facemask therapy

  • Ozbilen, Elvan Onem;Yilmaz, Hanife Nuray;Kucukkeles, Naz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9-58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hanges in the pharyngeal airway (PA), maxillary sinus volume, and skeletal parameters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 (RME) and alternate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constriction (Alt-RAMEC) followed by facemask (FM) therapy. Methods: The records of 40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due to maxillary retrognathism were collected, and the patien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mprised 8 male and 12 female patients (mean age, $10.0{\pm}1.1years$) treated using RME/FM for an average of 10 months. The second group comprised 10 male and 10 female patients (mean age, $9.64{\pm}1.3years$) treated using Alt-RAMEC/FM for an average of 12 month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acquired before (T0) and after treatment (T1) were evaluated. Results: Regarding the skeletal effec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the increase in ANS-HRP (perpendicular distance of ANS to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0.99 mm, p <0.05) in the Alt-RAMEC/FM group and the decrease in PP-SN (palatal plane to Sella-Nasion plane, $0.93^{\circ}$, p < 0.05) in the RME/FM group. Maxillary sinus volum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the groups, and the in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t-RAMEC/FM group. Although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 volumes, both lower ($1,011.19mm^3$) and total ($1,601.21mm^3$), PA volum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t-RAMEC/FM group. Conclusions: The different expansion devices and protocols used with FM therapy do not seem to affec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axilla and PA volumes. In contrast, the increase in maxillary sinus volume was greater in the Alt-RAMEC/FM protocol.

Angle씨 제 3 급 부정교합 환자 치료 전후의 안모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SOFT TISSUE PROFILE CHANGES IN PRE-POST TREATMENT OF ANGLE'S CLASS III MALOCCULUSION)

  • 김재우;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3
    • /
    • 1983
  • The soft tissue covering of the f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facial esthetics, speech and other physiologic functions. Thus, it is recognised by all clinical orthodontists that success of orthodontic treat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soft tissues of the 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bony and soft tissues in prepost treatment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18 males and 37 females, pretreatment age of 9 years to 11 years. For this study 11 landmarks were plotted, 14 linear length, 4 soft tissue thickness and 2 angle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linear measurements of bony and soft tissue changes, A, Is, Ss, Ls and Li were located more anteriorly in both sexes. However Si and B showed more remarkable anterior movement in female. 2. In the comparison of the changes of the soft tissue thickness, Ss and Li in male subjects and Ss in female subjects increased. 3. In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soft tissue profile and changes in the skeletal profile, Is: Ls, Il: Li and B: Si in both sex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However A:Ss had remarkable significant correlation in female.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ange in ${\angle}A$ and change in ${\angle}B$ in all sexes. 5. There were littl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distance difference of Is and Ii and Change in distance difference of Ls and Li in all sexes.

  • PDF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을 병행한 III급 양악 전돌증의 교정치료 증례 (ORTHODONTIC TREATMENT OF CLASS III BIMAXILLARY PROTRUSION COMBINED WITH SUBAPICAL SEGMENTAL OSTEOTOMY)

  • 정미향;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9-486
    • /
    • 1998
  • 양악 전돌은 흔히 접하는 부정교합 증례로서, 대부분 상하순의 전돌에 의한 안모 심미성의 손상을 주소로 내원한다. 이러한 증례는 제 1소구치를 발거하고 그 공간을 이용하여 전치부를 견인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성인 환자의 경우에는 환자의 협조도 불량으로 인한 악외 고정원 사용의 불량, 치료기간의 장기화, 치조골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등에 있어서의 치근 흡수량의 증가, 구외 장치 사용으로 인한 환자의 사회심리적 부담감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의 해결방안의 하나인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은 고정원의 절대 보존, 치료기간의 단축, 구외 고정원 사용 필요성 제거 및 이를 통한 환자의 협조도 증가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제 1소구치 발거 및 이 부위를 이용한 근첨하 분절 골절단술을 병행하여 치료한 치아치조 전돌의 증례를 치료 전후의 두부 방사선 계측 사진및 연구 모형을 통해 비교분석하여 변화를 살펴보고, 이의 장단점을 고찰해 보도록 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mandibular condyle position in Class III patients after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Osman Kucukcakir;Nilufer Ersan;Yunus Ziya Arslan;Erol Cansiz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47-256
    • /
    • 2024
  • Objective: This retrospective study evaluated the mandibular condyle position before and after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performed with the mandibular condyle positioned manuall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ethods: Overall, 88 mandibular condyles from 44 adult patients (20 female and 24 male) diagnosed with mandibular prognathism due to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ho underwent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and Le Fort I performed using the manual condyle positioning method were includ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obtained 1-2 weeks before (T0) and approximately 6 months after (T1) surgery were analyzed in three planes using 3D Slicer softwar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level. Results: Significant inward rotation of the left mandibular condyle and significant outward rotation of the right mandibular condyle were observed in the axial and coronal planes (P < 0.05). The positions of the right and left condyles in the sagittal plan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st medial points of the condyles in the coronal plan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 > 0.05). Conclusions: While the change in the sagittal plane can be maintained as before surgery with manual positioning during the BSSRO procedure, significant inward and outward rotation was observed in the axial and coronal planes, respectively, even in the absence of concomitant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before or after the operation. Further long-term studies are needed to correlate these findings with possible clinical consequence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술 전 교정치료 전과 후의 수술계획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TO between before and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 이은주;손우성;박수병;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5-186
    • /
    • 2008
  • 본 연구는 술 전 교정치료 전 치아 이동 예측치(initial STO)와 술 전 교정치료 후 실측치에 바탕을 둔 STO (final STO)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하악만 수술한 환자 40명을 선정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라 두 그룹(발치 그룹 20명, 비발치그룹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술 전 교정치료 전의 initial STO, 술 전 교정치료 후의 final STO를 작성하여 각 계측치를 수평, 수직 기준선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발치 그룹의 두 STO 비교 시 수직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상악 제1대구치 협측교두에서,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교두, 하악 중절치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과 근심협측교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발치 그룹의 경우는 수직적으로 하악 중절치 치근단,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STO의 차이와 initial STO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진단 요소와의 상관성 평가 시 상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상악 전치의 수평, 수직 및 제1대구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 두 그룹 모두 하악 전치 치축 각도와 하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하악 전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Initial STO 작성과 술 전 교정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진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줄이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부정교합유형에 따른 하악와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GLENOID FOSSA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IES)

  • 김희곤;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1995
  • 본 연구는 안면골의 수평적 및 수직관계가 위치한 하악와의 위치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기위해 18세 이상 성인 남녀 각 96명, 108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촬영하였다. 이를 ANB각도에 따라 3개의 군($0.5^{\circ}$이하, $0.5^{\circ}-4.0^{\circ}$, $4.0^{\circ}$ 이상), SM-MP각도에 따라 3개의 군($30^{\circ}$이하, $30^{\circ}-38^{\circ}$, $38^{\circ}$ 이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면골의 수평직 부조화관계(ANB)에서 하악와의 수평적위치(X)는 Class II, Class I, Class III 순으로 전방위치 하였다. 2. 하악와의 수평적 위치(X)는 ANB, SNB와 유익성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SNA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3. 안면골의 수직적 부조화(SN-MP)에서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low angle에서 가장 크며 medium, high angle 순이었다. 4.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SN-MP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SN-MP, SN-OP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전두개저의 길이는 III급 부정교합에서 가장 작았다.

  • PDF

성장기 여아에서 첫째 및 셋째 수지 지절 변화와 초경시기 (The relationship between menarche and the ossification stages of the phalanx of the first and third finger)

  • 김경호;최광철;정길용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5-274
    • /
    • 2002
  • 성장기 환자의 발육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지표 중 수완부 골성숙도와 초경시기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수완부 골성숙도에서는 첫째와 셋째 수지의 변화가 비교적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와 초경 및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성장기 여아 중 I급 부정교합자 29명, II급 부정교합자 27명, III급 부정교합자 27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간격으로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 전부터 수지 지절의 융합이 거의 이루어지는 시기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초경시기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부정교합에 따른 초경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며, 초경의 평균 연령은 $12.30\pm0.98$세였다. 3.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은 $10.35\pm1.01$세, 첫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에서 Capping단계는 $11.26\pm1.04$세, 융합시기는 $13.12\pm1.06$세이고 셋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capping은 $11.57\pm1.02$세, 융합은 $13.72\pm1.04$세에 일어났다. 4.초경은 첫째 수지 원심부 지절의 융합이 진행되는 시기와(P<0.001, r=0.82),셋째 수지 중간 지절의 융합이 시작되는 시기와(p<0.001, r=0.78) 비슷한 시기에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첫째 또는 셋째 수지 지절 변화만으로 성장기 여아에서의 발육상태를 평가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된 III급 부정교합자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 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itial lateral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mandibular setback surgery only versus mandibular setback surgery with advancement genioplasty)

  • 김재식;김정일;강승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1-51
    • /
    • 2008
  • III급 부정교합의 악교정수술을 통한 치료 시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악 후퇴술에 전진 이부성형술이 추가로 시행되는 경우에 있어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특성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올담치 과병원 구강외과에서 III급 부정교합을 하악후퇴술을 통하여 치료한 3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한 21명과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을 시행한 12명으로 나누어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B군에서 N-Me, ANS-Me이 더 길었으며 교합평면의 각도가 더 컸다. 구개평면에서 상악중절치까지의 거리, 하악평면에서 하악 절치 및 제1대구치까지의 거리가 B군에서 더 길었으며, 상악 중절치는 더 설측경사를 보였다. B군에서 Sn-Stms는 더 길고 연조직 Pog은 덜 돌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후퇴술과 더불어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될지 여부를 예측하는데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위 계측항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전 발치교정을 시행한 경우가 있다는 것과 외과의의 심미안, 해부학적 구조등이 이부성형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생각된다.

하악상행지 시상분할골절단술 시 하악후퇴량의 방사선학적 예측 (Prediction of Amount of Mandibular Set Back with 3 Plain Radiographs in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노량석;김진욱;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323-330
    • /
    • 2011
  •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producibility of an operation plan by comparing the jaw position of STO with the postoperative mandibular set back measurement in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class III dental and skeletal malocclusion and who were treated with BSSRO were reviewed. Three plain radiographs such as the panoramic view, the lateral cephalogram and the submentovertex view were taken before and after operation. Also, paper surgery for STO and model surgery were used to evaluate the amount of mandibular set back. Results: On the panoramic view, the amount of mandibular set back in STO was similar to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model surgery, but the amount of mandibular set back on the lateral cephalogram was smaller than the postoperative result of model surgery and then the amount of set back on submentovertex view was similar to the postoperative result of model surgery. Conclusion: Precise tracing and paper surgery should be performed for a combined expected STO in order to predict the exact amount of preoperative mandibular set back.

측두근막 이식을 이용한 비근증대술 (RADIX AUGMENTATION USING TEMPORALIS FASCIA GRAFT)

  • 유선열;류재영;김현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67-173
    • /
    • 2007
  • 측두근막은 비변형의 교정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융비술에 단일 또는 복합 이식재로 사용될 수 있다. 측두근막 이식은 공여부가 눈에 띄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코를 적절히 피개하고 외형을 좋게 하며 크기를 증대시켜 준다. 한편 비근부의 증대를 통해 코를 높이는 것은 물론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넓은 내안각 사이의 외형을 개선해 줄 수 있다. 우리는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악교정수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2예의 남자 환자에서 계획된 악교정수술과 더불어 함몰된 비근부에 대하여 측두근막을 이용한 비근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치열안면변형의 해소는 물론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개선된 안모를 관찰할 수 있었다. 환자의 측모도 더욱 개선되어 비근부가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코의 길이가 길어진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수술 후 비근부에서 주목할 만한 흡수 또는 변위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함몰된 비근부에 대한 측두근막 이식을 이용한 비근증대술은 술식이 간단하면서도 비근부가 증대되고 코의 길이가 증가되는 적절한 수술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