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초

Clinic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 Wang, Jiangwei;Yang, Yingying;Wang, Yingxue;Zhang, Lu;Ji, Wei;Hong, Zheng;Zhang, Link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13-32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linical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by using a network meta-analysis. Methods: We searched seven databases for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at compared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tooth-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interventions or untreated groups up to May 2021. After literature selection,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we calculated the mean differences, 95% confidence intervals, and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 scores of eleven indica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atistical software with the GeMTC package based on the Bayesian framework. Results: Six interventions and 667 patients were involved in 18 studies. In comparison with the tooth-anchored groups, the bone-ancho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increases in Sella-Nasion-Subspinale (°), Subspinale-Nasion-Supramentale(°) and significantly fewer increases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the labial proclination angle of upper incisor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lla-Nasion-Supramentale(°) decreased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treated groups. IMPA (angle of lower incisors and mandibular plane) decreased in groups with facemasks and increased in other groups. Conclusions: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can promote greater maxillary forward movement and correct the Class III intermaxillary relationship better, in addition to showing less 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and labial proclination of upper incisors. However, strengthening anchorage could not inhibit mandibular growth better and the lingual inclination of lower incisors caused by the treatment is related to the use of a facemask.

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I)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keletal Maturity of the Hand and Wrist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I))

  • 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95
    • /
    • 1999
  • 성장기 환자의 교정치료에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부정교합에 따라 성장 발육시기가 차이를 보인다면 교정치료 시기의 선택에 있어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므로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른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8-10세의 여자 I급 부정교합자 38명, II급 부정교합자 36명, III급 부정교합자 33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간격으로 12-13세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유구골의 구상돌기 (hamular process)는 $9.16{\pm}0.72$세, 두상골(pisiform bone)은 $9.13{\pm}0.71$세, 모지척측 종자골(ulnar sesamoid)은 $10.34{\pm}0.84$세에 관찰되었다. 3.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셋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과 중간 지절에서 각각 $10.96{\pm}0.80$세, $11.27{\pm}0.87$세였으며, 첫째 수지의 근심부 지절에서는 $11.12{\pm}0.86$세, 요골에서는 $11.21{\pm}0.82$세,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에서는 $11.62{\pm}0.85$세였다. 4. 두상골의 출현은 유구골 구상돌기의 출현과(r=0.91), 모지척측 종자골의 출현은 구상돌기의 진행성 화골시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86),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여러 부위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0-0.90). 5.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형태가 가장 변이가 심하였다($20.6\%$).

  • PDF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 후 중안면부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 계측 방사선학적 연구 (THE CEPHALOMETRIC ANALYSIS OF THE SOFT TISSUE CHANGES AT THE MIDDLE FACE IN THE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ITH THE ORTHOGNATHIC 2-JAW SURGERY)

  • 안제영;김지용;주범기;김민철;허종기;김형곤;박광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21-26
    • /
    • 2006
  • Considering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at complains of mandibular prognathism,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f the mandibular change for comparing the changes of pre operative with post operative state. Nowadays it is common to do the orthognathic 2-jaw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the maxillary deficiency, the post operative stability and the esthetics. We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of soft tissue around the nose and the lip with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the amount of maxilla.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axillofacial deformity and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of both jaws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2001 through 2003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ir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nd the post operative change of hard tissue and soft tissue were studied. Upon analyzing the preoperative cephalograms and 6 month post operative cephal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in the vertical change of Labialis superius(Ls) and Stomion(Stm) in soft tissue in relation to the vertical change of skeletal landmarks (Anterior Nasal Spine, Subspinale, Prosthion, Incision Superious).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horizontal movement of the skeletal landmarks among groups. In terms of hard tissue landmarks, group 3(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and advancement surge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 in the vertical movement of Anterior Nasal Spine(ANS), Subspinale(A), Prosthion(Pr), and Incision Superious(Is) compared with other groups. In terms of soft tissue change, group 3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 in the vertical movement of Ls and Stm. This study calculated the changes of the skeletal and soft tissue landmarks in order to act as a guide in planning and performing the surgery and as a reference in predicting the postoperative change of facial appearance.

한국 아동의 측모두부 수평 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Children)

  • 김경호;최광철;이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1-265
    • /
    • 1999
  •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 수립 및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수평 기준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재현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도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수평 기준선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성인 환자와는 다르게 성장기 아동에서는 발육단계에 따라 수평 기준선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평 기준선의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아동의 골성숙도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Sella-Nasion (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평면이 이루는 각도와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성장기 남녀 아동 540명을 대상으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SMA(Skeletal Maturity Assessment)를 이용하여 골성숙도에 따라 SMI 1-4를 A군, SMI 5-7을 B군, SMI 8-11을 C군으로 분류하고, 측모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계측결과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의 세 군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골성숙도와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남자는 $8.27^{\circ}{\pm}2.31^{\circ}$, 여자는 $8.59^{\circ}{\pm}2.24^{\circ}$, 전체에서는 $8.42^{\circ}{\pm}2.28^{\circ}$였다. 3. FH 평면과 구개평면이 이루는 각은 골성숙도,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1.09^{\circ}{\pm}3.21^{\circ}$).

  • PDF

항암치료 후 악골 및 치아의 발육 장애: 증례보고 (Disturbances of maxillofacial and dental development after cancer therapy: Case reports)

  • 김효정;김종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115
    • /
    • 2010
  • 화학치료와 방사선 치료는 보존적이고 효과적인 항암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악골 및 치아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성장기 아동의 경우에는 발육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환자 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양악 수술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홍주;최홍란;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284-2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oft tissue changes using twent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ho treated with bimaxillary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dentofacial deformiti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impaction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1), the other was downward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2).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ne year cephalometric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s to UI, Li to LI, sPog to Pog were 1:0.60, 1:0.79, 1:0.47, 1:0.63 in group 1 respectively, and 1:0.59, 1:0.48, 1:0.83, 1:1.09 in group 2 respectively. Soft tissue changes were highly predictable at the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area. 2. The ratio of vertic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i to LI were 1:0.72, 1:0.06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s to hard tissue movements at LI(h) was 1:-0.82 in group 1 and at UI(h), LI(h) were 1:0.48, 1:0.01 in group 2. These ratios of group 1 were greater than those of group 2. 4. The direction of horizontal change of Li was the same as that of hard tissue change.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i to LI was 1:0.47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changes of upper lip thickness and length were -1.6mm, -1.4mm in group 1, and -1mm, -2.7mm in group 2. 6. The ratios of thickness of upper lip to ANS, UI, LI were 1:-0.83, 1:-0.37, 1:0.11 in group 1. There was similar trend in group 2,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ction of changes in soft tissue of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were 79%, 47%, and 63% in group 1, and 48%, 83%, and 109% in group 2. There was a tendency to decrease in thickness and increase in length of the upper lip.

  • PDF

Positional change in mandibular condyle in facial asymmetric patients after orthognathic surger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Choi, Byung-Joon;Kim, Byung-Soo;Lim, Ji-Min;Jung, Junho;Lee, Jung-Woo;Ohe, Joo-Yo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13.1-13.8
    • /
    • 2018
  • Background: We evaluated change in the mandibular condyle after orthognathic surger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andibular prognathism or facial asymmetr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MD) from the facial midline on anteroposterior (AP) cephalogram: group A (asymmetry, MD ≥ 4 mm; n = 15) and group B (symmetry, MD < 4 mm; n = 15). Position and angle of condylar heads on the axial, sagittal, and coronal views were measured within 1 month preoperatively (T0) and postoperatively (T1) and 6 months (T2) postoperatively. Results: On axial view, both groups showed inward rotation of condylar heads at T1, but at T2, the change was gradually removed and the condylar hea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1, both groups showed no AP condylar head changes on sagittal view, although downward movement of the condylar heads occurred. Then, at T2, the condylar heads tend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two condylar heads showed that they had moved outward in both groups, causing an increase in the width between the two heads postoperatively. Analysis of all three-dimensional changes of the condylar head position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ree different CBCT views in group B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group A.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dylar head position. Becaus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can be perform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cases, it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to stabilize the condylar head positio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andibular prognathism or facial asymmetry.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성장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PREDICTION AND SIZE OF THE FRONTAL SINUS)

  • 경승현;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73-479
    • /
    • 1997
  • 성장기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시 치아 이동만으로 치료를 할 것인지, 악 정형 치료를 동반할 것인지, 아니면 성장후 수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악골의 성장을 예측하는 과정을 치료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전두동은 조기에 성장이 완료되고 하악골은 20세까지 성장을 지속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크기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228명을 골격선 제I급, 제II급, 제III급 부정교합의 3군으로 분류하고 하악골의 장경과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3가지 지수(ANB, APDI, Wits)를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동의 크기와 ANB(-0.3633), APDI(0.296), Wits(-0.2380), 하악골 장경(0.2704)은 높은 상관성을 (p<0.001) 보였다. 2.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가 골격성 제 I 급 부정교합군이나 II 급 부정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상악전방견인장치와 이모장치 및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를 받은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효과에 대한 종단적 비교 (Comparison of longitudinal treatment effects with facemask and chincup therapy followed by fixed orthodontic treatment on Class III malocclusion)

  • 이남기;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62-371
    • /
    • 2009
  • 본 연구는 상악전방견인장치 또는 이모장치 치료 후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 받은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효과에 대한 종단적 비교를 위해 시행되었다. 상악전방견인 치료 또는 이모장치 치료 전의 골격 및 치아 유형이 유사하며 고정식 교정치료 후 좋은 유지결과(I급 구치/견치 관계 및 양의 수직/수평피개)를 보이는 21명의 환자(1군, 상악전방견인장치, 11명; 2군, 이모장치, 10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악전방견인 치료 또는 이모장치 치료 전(T0)과 후(T1), 고정식 교정치료 후 유지기간(T2)에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골격 및 치아에 대한 계측치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비모수 검정법(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을 이용하였다. 악정형 치료 시기(T0-T1)에, 1군에서는 상악골의 전방 이동 (point A, p < 0.05), 상악 전치의 순측경사 (p < 0.01) 및 수평피개의 증가 (p < 0.01)가 보였다. 하악골은 1군과 2군 모두에서 후방 위치를 보였다 (SNB, Pog-N perp, ANB, p < 0.01). 1군에서는 수직고경의 증가 (SN-GoGn, ANS-Me/N-Me, Bjork sum, p < 0.01)가 나타난 반면에, 2군에서는 articular angle의 증가 (p < 0.05)와 gonial angle의 감소 (p < 0.01)가 보였다. 고정식 교정치료 및 유지기간(T1-T2)에, 1군과 2군 모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 (point A, p < 0.05)을 보였다. 한편 1군은 하악골의 전방성장 (Pog-N perp, p < 0.01) 및 반시계방향 회전 (SN- GoGn, Bjork sum, p < 0.05)과 하악 전치의 순측경사 (IMPA, p < 0.05)를 나타냈으며, 2군은 ANS-Me/N-Me의 증가 (p < 0.01)와 수직피개의 감소 (p < 0.05)를 보였다. 비록 상악전방견인 치료와 이모장치 치료의 골격 및 치성적 효과가 서로 차이가 있을지라도, 이 두 치료법으로 인한 결과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 하악골의 회전 및 성장에 맞추어 상악골의 지속적인 전방성장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악교정 수술 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운동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MOVEMENT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남동석;서정훈;양원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3-282
    • /
    • 1997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 전후의 하악운동 양상을 관찰하여 수술에 의한 하악운동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교정치료를 받은 후, 동 병원 악안면구강외과에서 악교정 수술을 시행한 20명(남;9명, 여;11명)을 대상으로 수술 직전과 수술 2-7개월 후에 Sirognathograph와 BioPak EGN을 이용하여 최대 개폐구 운동과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에서의 하악한계운동을 기록하고 21개의 항목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 후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인 항목은 시상면상 전방 운동각도로서, 수술 전 $17.4^{\circ}$ 에서 수술 후 $38.8^{\circ}$ 로 증가하였다. 또한 전치 유도가 형성됨에 따라 전방운동 궤적도 일직선에서 상악 절치의 형태에 따른 곡선으로 변하였다. 2. 수술 전후를 비교할 때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항목들은 최대 개폐구 운동시 최대 개구량과 최대 전후방 운동량, 시상면상 최대 개구량, 전두면상 좌측방 운동각도의 4항목이었다. 3. 수술 전후를 비교할 때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항목들은 전두면상 최대 좌우 운동폭, 수평면상 최대 우측방 운동거리, 최대 좌측방 운동각의 3항목이었다. 4. 최대 개폐구 운동시 최대 개구량과 최대 전후방 운동량은 수술 후 측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즉, 2, 3개월군에서보다 5, 6, 7개월군에서 더 많은 운동량 회복을 나타내었다. 5. 수술 전 불규칙하던 개폐구시 운동 궤적은 수술 후 개구로와 폐구로가 일치하며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에 의해 교합장애가 제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