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kag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인공월면토를 이용한 달탐사 로버 휠 성능평가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Lunar Rover Wheel's Motion Performance on Korean Lunar Soil Simulant)

  • 왕성찬;한진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1호
    • /
    • pp.97-108
    • /
    • 2016
  • 달 탐사시 탐사 로버는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월면토와 로버 휠의 상호작용에 의한 로버 휠의 성능은 로버의 최적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인공 월면토(KLS-1)에서 달 탐사 로버 휠의 거동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일 휠 성능평가 실험장비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그라우져 유무에 따른 휠 성능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휠 성능은 슬립율에 따른 견인력, 토크, 침하 등으로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 개발된 단일 휠 성능평가 실험장비는 휠 성능을 적절히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형 인공 월면토에서 그라우져가 있는 휠이 그라우져가 없는 휠에 비해 높은 견인 성능을 보여주었다. 향후 본 실험은 한국형 로버의 최적 휠 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재령 철근큰크리트 라멘교의 균열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ack Control of Early-aged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

  • 정희효;이승렬;김우중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5-25
    • /
    • 2006
  • 초기재령 콘크리트 수화과정의 메카니즘과 초기재령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법의 개발은 주로 매시브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와 수치해석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와 같이 비교적 두께가 적은 부재에 대해서는 연구 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 슬래브에 대한 수화열을 현장 실측하여 온도이력과 강도 발현 모텔 및 건조수축 모델에 의한 응력들을 근거로 하여 초기 재령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초기재령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에 발생되는 균열 폭을 계산하여 균열제어를 위한 철근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고, 설계하중 재하 시 배력철근으로만 취급되는 헌치부의 철근이 초기재령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의 온도응력 검토 시에는 주철근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제안한 해석기법은 초기재령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의 온도균열제어를 위한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광산의 지반침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Ground Subsidence in a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 최우석;김은섭;강병천;신동춘;김수로;백승한
    • 지질공학
    • /
    • 제25권4호
    • /
    • pp.511-524
    • /
    • 2015
  •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 위치하는 지하수로 포화된 삼성석회석광산에서 발생한 지반침하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대상 지역의 지반조사 및 지반안정성평가를 바탕으로 침하원인을 규명하고 향후 침하가능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조사 및 안정성평가 결과에 의하면 채굴구역은 강우 유입으로 인한 전단강도 저하로 전반적으로 불안정하게 평가되었으며, 미채굴 구역의 침하발생 주요 원인은 지하수위 하강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침하 가능성과 관련하여, 채굴공동 천단의 암반층 두께가 얇은 구간이나 인장절리 발달이 활발한 구간이 존재하고 채굴공동 주변의 지반상태가 불량하므로 침하가 발생할 경우 침하의 영향은 주변 지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지역 내 석회암 분포지역에서는 석회암층 내자연 용식공동의 함몰이나 양수 등 인위적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지하수위 저하나 강우침투에 의한 공동에서의 유로변화 및 수위변화가 발생할 경우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강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운항조건에서 11,000TEU 컨테이너선의 소요마력 저감을 위한 트림변화 연구 (A Study on Trim Variation to Reduce the Required Power of 11,000TEU Container Ship in Operation Condition)

  • 이준형;천장호;김명수;박범진;유용완;이영연;안해성;김영선;임일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8권3호
    • /
    • pp.198-205
    • /
    • 2021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trim variation on the required power of 11,000TEU container ship was investigated under conditions considering the actual operation speed and draft. For each draft condition, the effective power (PE) and delivered power (PD) trends were investigated with changes in trim and ship speed. 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volume was fixed same as the value of the even trim condition and the both sinkage at the fore and after perpendicular are confirmed. The test ship speeds we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operating speed. Both numer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rim variation. Numerical analysis results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self-propulsion performance was estimated using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model test.

OpenFOAM을 이용한 주형체 활주선의 저항 및 항주자세 추정 (Prediction of Resistance and Planing Attitude for Prismatic Planing Hull using OpenFOAM)

  • 쉬샹위;장양;염덕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3-321
    • /
    • 2019
  • The prediction of the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 planing hull vessel is an important and challenging topic f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applications to naval hydrodynamics. In this paper, the resistance and planing attitude analysis for a Fridsma hull, which is a prismatic planing hull, in still water are numerically studied using OpenFOAM. OpenFOAM is an open source code package based on C++ libraries and the finite volume method (FVM) for the discretization of the RANS equation. The volume of fluid method (VOF) is used to capture the water-air interface and the SST ${\kappa}-{\omega}$ model is used for the turbulence simulation. The overset mesh method is used to capture the large motion of the hull at higher speeds. Before the extensive analysis, uncertainty analyses using various time steps and grid sizes were performed for one ship speed case of Fn = 1.19.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compared with those of a model test, other CFD research, and Savitsky's empirical formul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following the trend of other CFD results, slightly over predict the resistance and under predict the sinkage and, more significantly, the trim.

CFD 기반 소형 선박의 EEDI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for EEDI of the Small Vessel using CFD)

  • 박동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7-633
    • /
    • 2019
  • 본 논문의 주 관심사항은 전산유체역학과 기존 모형시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어진 선박의 저항 및 추진성능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에너지효율설계지표(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EEDI)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상선박의 모형선 크기에서의 전 저항을 계산하기 위해 점성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유동계산은 STAR-CCM+를 사용하였으며 자유표면, 트림과 싱키지를 고려하였다. 점성 유동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선박의 유효동력을 산정하였다. 준 추진효율 계수는 기 보유한 모형시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추정식 및 유사선박의 시험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EEDI 산정식에 대하여 유체동역학적 결과, 선박의 정보, 사용하는 연료에 대한 $CO_2$의 환산계수, 연료소모량 등을 바탕으로 일반화된 계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연약지반에 적용된 모래다짐말뚝의 거동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Sand Compaction Piles in Soft Ground)

  • 이정상;정성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33-38
    • /
    • 2011
  • 현재 국내에서는 항만공사 등에서 안전측으로 70% 이상의 고치환율의 모래다짐말뚝(SCP)공법으로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모래자원의 부족현상으로 인한 모래자원의 경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저치환율 모래다짐말뚝공법으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모래다짐말뚝공법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이나 사질토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점성토 지반의 SCP 설계 시에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는 치환율에 따른 모래와 점토의 응력분담비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다짐말뚝과 점성토로 이루어진 복합지반에서 치환율에 따라 응력분담비, 침하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치환율이 30%일때 응력분담비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침하량에 따른 응력분담비는 치환율이 높을수록 낮은 응력분담비를 보였다.

지반 이완구간 추정을 위한 지하투과레이더의 적용 (Applic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Estimation of Loose Layer)

  • 홍원택;강성훈;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1호
    • /
    • pp.41-48
    • /
    • 2015
  • 대규모 지반침하 및 지반함몰로 인한 재산,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지반의 공동 및 이완구간에 대한 조사는 필수적이다. 최근, 지하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침하 및 지반함몰 구간 예측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지하투과레이더 탐사에서는 전기적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층간 경계면 심도만을 산정하므로 조밀한 지반과 느슨한 지반을 서로 반대로 예측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투과레이더로부터 획득된 전자기파의 반사파 특성을 이용하여 이완구간 심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완구간에 따른 신호획득을 위하여 과거 침하이력이 있었던 현장을 대상으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가 수행되었으며, 결과의 상호비교 및 검증을 위하여 동적 콘 관입시험이 수행되었다. 전자기파의 반사특성 분석 결과, 지하투과레이더 안테나에서 처음 측정된 신호와 조밀한 지반에서 반사되어 측정된 전자기파는 동일한 위상을 보이며, 느슨한 지반에서 반사되는 경우 안테나에서 처음 측정된 신호와 반대 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획득된 지하투과레이더 신호로부터 대상지반의 이완구간 심도 산정 및 동적 콘 관입지수와 상호비교 결과, 지하투과레이더 신호 분석으로부터 산정된 이완구간 또는 조밀한 구간의 심도는 높은 신뢰도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지하투과레이더 신호획득 및 분석과정은 지반 불연속층의 심도산정뿐만 아니라 이완구간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 써레질한 후의 경과일수 및 담수심이 수도이앙기의 작업성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Optimum Field Preparation Procedures for the Proper Working Performances of Rice Transplanters)

  • 홍종호;차균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3-91
    • /
    • 1979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performance of rice transplanter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rans-planting days after pudding and the water depth flooding the paddy field at the time of transplanting : and thus to select the optimum paddy field preparation procedures for an efficient utilization of rice transplanters. The performance factors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rice transplanters were measured during the first 6 consecutive days after puddling and with 3 different levels of water depth flooding the paddy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follows : 1. Wheel sinkage decreased very rapidly from 0 to 2 days after puddling and slowly from 3 to 5 days after puddling. 2. The depth of the test cone penetration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first few days after puddling. It was 17.8cm just after puddling, and decreased to 13.4cm one day after puddling. After 2 days, the rate of decrease was dampened, and after 5 days it kept constant value of 9.2cm. 3. Two days after puddling, the hill interval was 15.8cm (98.75% of the preset value) for broadcasted seedling rice transplanter with 3cm flooding depth : This value was the closest to the pre-adjusted value of 16cm. The general performance of broadcasted-seedling type rice transplanter was better than that of strip-seedling type rice transplanter. 4. Usually the working performance of a rice transplanter is evaluated with uniformity and adjustability of the hill intervals. The hill interval was the most uniform and closest to the pre-set value of 16cm when planted two days after puddling with 3cm of water depth. When it was inavoidable to plant 4 days after puddling with stripseedling type rice transplanter, it is advisable to let the water flooded somewhat deeper. 5. The percentage of missing hills including floating and burried seedlings was the highest just after puddling and ie decreased substancially until 3 days after puddling and then it increased again. Hence, the optimal time transplanting is to be between 2 and 3 days after puddling. 6. Better postures of planted seedlings were found when planter 2 days after puddling than 3 days after puddling. Six cm of flooding water depth always gave the best results with respect to the postures of planted seedlings. Broadcasted-seedling rice transplanter, in general, showed better posture of planted seedlings than did strip-seedling type rice transplanter. 7.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optimal conditions will be 3cm of flooding depth and transplanting between 2 and 3 days after puddling.

  • PDF

문무대왕 수증릉에 대한 지질공학적 연구 (ENGINEERING GEOLOGICAL STUDIES ON THE SUBMERGED TOMB OF KING MUNMU, SHILLA DYNASTY, KOREA)

  • 손호웅;김성범
    • 지구물리
    • /
    • 제6권3호
    • /
    • pp.139-153
    • /
    • 2003
  • 고고학적 발굴에 있어 지하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지하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구물리학적 탐사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양북면 대본리 앞 바다에 위치한 문무대왕 수중릉에서 측량을 비롯한 각종 지구물리탐사 및 지질공학적 조사결과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탐사방법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분야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왕암은 크게 개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東西 35.0m, 南北 약 36.0m이며, 높이는 최대 약 5.30m이다. 대왕암 내부의 공동에는 巨石이 하나 있으며, 최대 수심 약 1.5m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며, 물에 잠겨 있다. 거석은 東西 최대 2.47m, 南北, 최대 3.75m, 높이는 최대 약 1.35m의 크리를 갖는 타원체형이며, 무게는 약 20ton이다. 바위섬 내부의 공동은 암반에 자연적으로 발달 형성된 절리 및 틈새를 인위적으로 정 등을 사용하여 이미 어느 정도 있던 공간을 확장한 것으로 판단되며 절리 및 측량결과로 볼 때 거석은 대왕암에 발달한 절리에 의한 암반블록을 다듬은 것으로 판단된다. GPR 탐사결과 거석하부의 암반에는 주변의 대왕암과 같이 절리가 잘 발달하여 있고 인공구조물 혹은 석 함 등을 묻기 위한 공동을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전자유도 탐사결과도 구조물 특히 철제 유구 등에 의한 반응을 찾을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은 관찰 및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왕암과 거석은 바위섬의 자연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巨石하부에서 장골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더. 巨石은 뼈를 바다에 뿌린 제단과 같은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