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ehavior of Sand Compaction Piles in Soft Ground

연약지반에 적용된 모래다짐말뚝의 거동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이정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정성래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07.13
  • Published : 2011.08.01

Abstract

Presently, domestic SCP method with low replacement ratio is required as alternativ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fitability of the sand resource because of the deficiency phenomenon of the sand resource by the actual condition design and construction is made by SCP method with low replacement ratio more than 70% for the port construction in the safe side. Sand compaction pile(SCP) method has been mainly use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soft clay or loose sandy ground. In design of SCP at soft clay ground,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o of composite ground relevant to the area replacement ratio. In this study, 2-dimensional FEM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o of composite ground depending upon the area replacement ratio. When the interpretation result replacement ratio was 30%, the stress assigned rate showed and as the replacement ratio was high, the stress assigned rate according to the sinkage showed the low stress assigned rate.

현재 국내에서는 항만공사 등에서 안전측으로 70% 이상의 고치환율의 모래다짐말뚝(SCP)공법으로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모래자원의 부족현상으로 인한 모래자원의 경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저치환율 모래다짐말뚝공법으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모래다짐말뚝공법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이나 사질토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점성토 지반의 SCP 설계 시에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는 치환율에 따른 모래와 점토의 응력분담비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다짐말뚝과 점성토로 이루어진 복합지반에서 치환율에 따라 응력분담비, 침하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치환율이 30%일때 응력분담비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침하량에 따른 응력분담비는 치환율이 높을수록 낮은 응력분담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일, 박용원, 윤길림, 조성환(2000), 모래다집말뚝 (SCP)으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유한요소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4, No. 4-C, pp. 357-366.
  2. 김재권, 홍의준, 김수일, 정상섬(2002), 연약지반에 타입된 모래다짐말뚝의 하중-침하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2, No. 4-C, pp. 423-432.
  3. 이정훈(2007), 수치해석을 이용한 초연약지반의 복토공법 비교 연구,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pp. 4-15.
  4. 홍의준, 김재권, 정상섬, 김수일(2003), 연성하중을 받는 모래다짐말뚝(SCP)의 거동분석,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19, No. 4, pp. 223-233.
  5. 中山二郞, 上田皮(1967), 複合地盤における應力分擔比の測定結果について, 土木學會年次學術講演會, 第22回, 第III部門, pp. 97-1-97-4.
  6. 日本土質工學會(1988), 軟弱地盤對策工法, 調査設計ガら施工まで, pp. 127-128.
  7. 村山朔郞(1957), Sand Compaction Pile による軟弱地盤の改良, 大阪建設業協會講演會資料, pp. 1-17.
  8. 村山朔郞(1962), 粘性土に對するバイブロコンポ-ザ-工法の考察, 日本建設機械化協會, Vol. 150, pp. 10-15.
  9. 村山朔郞, 大崎順彦(1978), 基H礎工學 HandBook, pp. 750-760.
  10. 藤田圭一(1995), 軟弱地盤對策工法聰記述, 同和記述, pp. 701-717.
  11. Aboshi, H., E. Ichimoto, M. EnoKi, and K. Harada(1979), The Compozer Method to Improve Characteristics of Soft Clays by Inclusion of Larhe Diameter Sand Column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Reinforcement: Reinforce Earth and Other Techniques, Paris, Vol. 37, No. 2, pp. 211-216.
  12. Roscoe, K.H., Burland, J.B.(1968), Engineering Plasti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535-609.
  13. Mastuo, M., Kuga, S. and Maekawa, Y.(1967), Properties of Clay Installed Sand Pile,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No. 141, pp. 42-55.
  14. Shin, E.C., Shin, B.W., and Das, B.M. (1991), Sand Compaction Piles for the Construction of a Steel Mill Complex, GEOCOAST91, pp. 381-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