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record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전갱이과(Carangidae) 어류 1미기록종, Pseudocaranx dentex (New Record of the White Trevally, Pseudocaranx dentex (Carang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0-344
    • /
    • 2014
  •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Pseudocaranx dentex 1개체가 2014년 7월 14일 제주도 성산해역의 정치망에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체측에 1개의 노랑줄무늬가 있는 점, 양턱에는 송곳니가 일렬로 줄지어 있는 점, 주새개골 위부분에는 1개의 선명한 검은색 반점을 가지는 점 그리고 주둥이는 눈지름보다 길게 돌출되는 점이 특징이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종명은 각각 "흑점줄전갱이속"과 "흑점줄전갱이"로 제안한다.

On the influence of strong-ground motion duration on residual displacement demands

  • Ruiz-Garcia, Jorge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권4호
    • /
    • pp.327-344
    • /
    • 2010
  • This paper summarizes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tical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trong ground motion duration on residual displacement demands of single-degree-of-freedom (SDOF) and multi-degree-of-freedom (MDOF) systems. For that purpose, two sets of 20 earthquake ground motions representative of short-duration and long-duration records were considered in this investigation. While the influence of strong ground motion duration was evaluated through constant-strength residual displacement ratios, $C_r$, computed from the nonlinear response of elastoplastic SDOF systems, its effect on the amplitude and height-wise distribution of residual drift demands in MDOF systems was studied from the response of three one-bay two-dimensional generic frame models. In this investigation, an inelastic ground motion intensity measure was employed to scale each record, which allowed reducing the record-to-record variability in the estimation of residual drift demands.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ong strong-motion duration records might trigger larger median $C_r$ ratios for SDOF systems having short-to-medium period of vibration than short strong-motion duration records. However, taking into account the large record-to-record variability of $C_r$, it was found that strong motion duration might not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ost of the combinations of period of vibration and levels of lateral strength considered in this study. In addition, strong motion dur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mplitude of peak residual drift demands in MDOF systems, but records having long strong-motion duration tend to increase residual drift demands in the upper stories of long-period generic frames.

디리슈레 혼합모형을 이용한 함정 전투체계 부품의 고장시간 분포 추정 (An Application of Dirichlet Mixture Model for Failure Time Density Estimation to Components of Naval Combat System)

  • 이진환;김정훈;정봉주;김경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94-202
    • /
    • 2019
  • Reliability analysis of the components frequently starts with the data that manufacturer provides. If enough failur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field operations, the reliability should be recomputed and updated on the basis of the field failure data. However, when the failure time record for a component contains only a few observations, all statistical methodologies are limited. In this case, where the failure records for multiple number of identical components are available, a valid alternative is combining all the data from each component into one data set with enough sample size and utilizing the useful information in the censored data. The ROK Navy has been operating multiple Patrol Killer Guided missiles (PKGs) for several years. The Korea Multi-Function Control Console (KMFCC) is one of key components in PKG combat system. The maintenance record for the KMFCC contains less than ten failure observations and a censored datum. This paper proposes a Bayesian approach with a Dirichlet mixture model to estimate failure time density for KMFCC. Trends test for each component record indicated that null hypothesis, that failure occurrence is renewal process, is not rejected. Since the KMFCCs have been functioning under different operating environment, the failure time distribution may be a composition of a number of unknown distributions, i.e. a mixture distribution, rather than a single distribution. The Dirichlet mixture model was coded as probabilistic programming in Python using PyMC3. Then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sampling technique employed in PyMC3 probabilistically estimated the parameters' posterior distribution through the Dirichlet mixture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mixture models provide superior fits to the combined data set over single models.

한국산 바다뱀과 어류 1미기록종 Muraenichthys gymnopte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Myrophinae) (New Record of a Worm Eel Muraenichthys gymnopteru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Myrophinae) from Korea)

  • 김병기;정충훈;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8-323
    • /
    • 2008
  • 인천 연안에서 뱀장어목 바다뱀과 어류 1개체(전장 254.6 mm)가 채집되었다. 한국에서는 미기록 종인 Muraenichthys gymnopterus로 동정되었고, 본종이 포함되는 속(Muraenichthys), 아과(Myrophinae) 역시 한국 미기록으로 확인되었다. 본 종은 아가미구멍이 수축되었고, 체측면의 중앙에 열려있으며, 등지느러미 기부는 항문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아가미구멍보다는 항문에 더 가깝다. 모든 이빨은 끝이 뭉툭하며, 하악치는 띠를 형성하고, 상악치, 하악치, 서골치의 치열은 다열형이다. 세번째 preopercular pore (전새개골공)가 있으며, 전비공과 후 비공 사이에 하나의 infraorbital pore (안하골공)가 있다. 체색은 갈색을 띠고, 아가미구멍에서의 체고에 대한 전장은 43.2배, 체폭에 대하여는 33.7~65.3배, 두장은 눈 지름의 15.0~31.0배이다. 척추골수는 154~161개이다. Subfamily Myrophinae는 "갯물뱀아과", genus Muraenichthys는 "갯물뱀속", M. gymnpopterus는 "갯물뱀"으로 각각 국명을 신칭한다.

Transferrable single-crystal silicon nanomembranes and their application to flexible microwave systems

  • Seo, Jung-Hun;Yuan, Hao-Chih;Sun, Lei;Zhou, Weidong;Ma, Zhenqiang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2권2호
    • /
    • pp.109-113
    • /
    • 2011
  • This paper summarizes the recent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flexible high-speed radio frequency (RF) transistors, PIN-diode single-pole single-throw switches, as well as flexible inductors and capacitors, based on single-crystalline Si nanomembranes transferred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rates. Flexible thin-film transistors (TFTs) on plastic substrates have reached RF operation speed with a record cut-off/maximum oscillation frequency ($f_T/f_{max}$) values of 3.8/12 GHz. PIN diode switches exhibit excellent ON/OFF behaviors at high RF frequencies. Flexible inductors and capacitors compatible with high-speed TFT fabrication show resonance frequencies ($f_{res}$) up to 9.1 and 13.5 GHz, respectively. Robust mechan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demonstrated with these high-frequency passives components.

우리나라 거제도 연안에서 채집된 망둑어과 첫기록종, Clariger chionomaculatus (First Record of the Gobiid fish, Clariger chionomaculatus (Perciformes: Gobiidae) from off Geojedo Island, Korea)

  • 조현근;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0-114
    • /
    • 2020
  • 우리나라 거제도 연안 수심 4 m 진흙바닥에서 Clariger chionomaculatus 1개체(체장 40.5 mm)를 채집하였다. 본 종의 특징은 가늘고 긴 체형에 비늘이 없고, 눈 아래에 수염이 있으며, 제2등지느러미 기조수가 I, 12~15, 뒷지느러미 기조수는 I, 12~14, 가슴지느러미 상부에 1개의 유리연조, 등 쪽에 다수의 흰색 반점들이 있는 채색패턴을 갖는 점이다. 본 종은 지금까지 일본에서만 보고된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거제도 연안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본종의 신한국명으로 '흰점왜망둑'을 제안한다.

한국산 학치과(농어목) 어류 1미기록종, Lepadichthys frenatus (First Record of a Clingfish, Lepadichthys frenatus (Perciformes: Gobiesocidae), from Korea)

  • 김병직;고유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5-257
    • /
    • 2005
  • 제주도 북부 연안에서 농어목 학치과에 속하는 어류 1개체 (표준체장, 59.3 mm)가 채집되었다. 본 종은 아직 국내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는 한국미기록종인 Lepadichthys frenatus로 동정되었다. 본 종은 체색이 적갈색으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후단이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조수가 각각 17개, 13개인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은 '큰입학치'라 명명하였다.

한국산 농어목(Perciformes) 홍갈치과(Cepolidae) 어류 1 미기록종, Acanthocepola indica (First Record of a Bandfish, Acanthocepola indica (Cepo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박정호;유정화;이준모;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0-223
    • /
    • 2008
  • 농어목 홍갈치과에 속하는 Acanthocepola indica 1개체(체장 220.4 mm)가 경남 거제도 남부 매물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본종은 전새개골 후단에 거치 모양의 가시가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에 1개의 검은 반점을 가진다. 또한, 체고가 다소 높고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88개, 뒷지느러미 연조수가 101개인 점에서 이미 알려진 먹점홍갈치(A. limbata)와 점줄홍갈치(A. krusensternii)와 잘 구분된다. 본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으로서, 신한국명을 "남방홍갈치"로 제안한다.

한국산 둥글넙치과 1미기록종, Kamoharaia megastoma (New Record of a Bothid, Kamoharaia megastoma (Pleuronectiformes), in Southern Jejudo Island, Korea)

  • 장서하;김진구;허유심;유효재;박정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5-180
    • /
    • 2018
  • 가자미목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1개체(표준체장 113.9 mm)가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저층트롤로 채집되었다. 매우 큰 입을 가지는 본 종은 주상악골의 후단이 눈보다 후방에 위치, 아래턱 전단에는 돌출된 3쌍의 날카로운 송곳니, 구강으로 돌출된 서골 말단부, 검은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무안측에 측선이 없는 특징들로 Kamoharaia megastoma와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이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국명은 "큰입둥글넙치"로 제안한다.

한국산 붕장어과 어류 1 미기록종, Ariosoma meeki (New Record of Ariosoma meeki (Anguilliformes: Congridae) from Korea)

  • 여수은;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4
    • /
    • 2016
  • 뱀장어목 붕장어과에 속하는 Ariosoma meeki 1개체 (전장 485.2 mm)가 2015년 6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몸 전체에 비늘이 없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으며, 후비공이 피판으로 덮여 있고, 60개의 항문 전 측선공 및 15개의 가슴지느러미 연조를 가지며, 두부에 감각공이 없고, 눈 뒤쪽에 2개의 검은 점을 가진다. 한국에서 새롭게 보고되는 A. meeki의 국명으로 "눈테붕장어"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