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dimens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GB-색인: 고차원 데이타의 복합 유사 질의 및 적합성 피드백을 위한 색인 기법 (GB-Index: An Indexing Method for High Dimensional Complex Similarity Queries with Relevance Feedback)

  • 차광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4호
    • /
    • pp.362-371
    • /
    • 2005
  •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와 같은 고차원 응용에서 유사 색인과 검색은 어려운 문제이며, 특히, 다수의 특성을 함께 색인하는 경우에는 더욱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이미지 데이타베이스에서 복합 유사 질의 및 적합성 피드백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색인 기법인 GB-색인을 제시한다. GB-색인은 각 특성 차원을 독립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다수의 특성과 다수의 질의 객체를 유연하게 제어한다. 아울러, 비트맵 색인을 통해 데이타베이스에 있는 모든 객체를 비트맵의 집합으로 표현하여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GB-색인의 기술적인 주된 공헌은 다음과 같다: (1) 고차원 데이타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2) 효율적인 복합 유사 질의 처리, (3) 적합성 피드백을 위한 분리형 질의의 효과적 처리. 실험 결과에 따르면 GB-색인은 순차 탐색 및 VA-파일에 비해 큰 성능 향상을 보였다.

공간 차원에 관한 시각적 패턴 연구 - 황금비, 피보나치 수열, 프랙털 이론을 중심으로 - (Study on Visual Patterns about Spatial Dimensions - Centered on the Golden Ratio, Fibonacci Sequence, and Fractal Theory -)

  • 김민석;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8-95
    • /
    • 2014
  • This study intended arousal of other viewpoints that deal with and understand spaces and shapes, by describing the concept of 'dimensions' into visual patterns. Above all, the core concept of spatial dimensions was defined as 'expandability'. Then, first, the 'golden ratio', 'Fibonacci sequence', and 'fractal theory' were defined as elements of each dimension by stage. Second, a 'unit cell' of one dimension as 'minimum unit particles' was set. Next, Fibonacci sequence was set as an extended concept into two dimensions. Expansion into three dimensions was applied to the concept of 'self-similarity repetition' of 'Fractal'. In 'fractal dimension', the concept of 'regularity of irregularity' was set as a core attribute. Plus, Platonic solids were applied as a background concept of the setting of the 'unit cell' from the viewpoint of 'minimum unit particles'. Third, while 'characteristic patterns' which are shown in the courses of 'expansion' of each dimension were embodied for the visual expression forms of dimensions, expansion forms of dimensions are based on the premise of volume, directional nature, and concept of axes. Expressed shapes of each dimension are shown into visually diverse patterns and unexpected formative aspects, along with the expression of relative blank spaces originated from dualism.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unit cell' that is set as a concept of theoretical factor can be defined as a minimum factor of a basic algorism caused by other purpose. In here, by applying diverse pattern types, the fact that meaning spaces, shapes, and dimensions can be extracted was suggested.

과학의 본성 관련 문헌들의 단어수준 워드임베딩 모델 적용 가능성 탐색 -정성적 성능 평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Possibility of Applying Word-Level Word Embedding Model of Literature Related to NOS -Focus on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 김형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1호
    • /
    • pp.17-2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NOS 관련 주제를 대상으로 컴퓨터가 얼마나 효율적이고 타당하게 학습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정성적으로 탐색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NOS와 관련되는 문헌(논문초록 920편)을 중심으로 말뭉치를 구성하였으며, 최적화된 Word2Vec (CBOW, Skip-gram)모델의 인자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NOS의 4가지 영역(Inquiry, Thinking, Knowledge, STS)에 따라 단어수준 워드임베딩 모델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연구와 사전 성능 평가에 따라 CBOW 모델은 차원 200, 스레드 수 5, 최소빈도수 10, 반복횟수 100, 맥락범위 1로 결정되었으며, Skip-gram 모델은 차원수 200, 스레드 수 5, 최소빈도수 10, 반복횟수 200, 맥락범위 3으로 결정되었다. NOS의 4가지 영역에 적용하여 확인한 모델별 유사도가 높은 단어의 종류는 Skip-gram 모델이 Inquiry 영역에서 성능이 좋았다. Thinking 및 Knowledge 영역에서는 두 모델별 임베딩 성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모델별 유사도가 높은 단어의 경우 상호 영역 명을 공유하고 있어 제대로 된 학습을 하기 위해 다른 모델의 추가 적용이 필요해 보였다. STS 영역에서도 지나치게 문제 해결과 관련된 단어를 나열하면서 포괄적인 STS 요소를 탐색하기에 부족한 임베딩 성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NOS 관련 주제를 컴퓨터에게 학습시켜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과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상 유사성 분석을 이용한 연령별 얼굴 정서 차원 비교 (Comparison Between Core Affect Dimensional Structures of Different Ages using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 김종완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33-42
    • /
    • 2023
  • 기존의 연령별 얼굴정서 인식 비교 연구에서는 정서별로 연령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혔다. 이에 Kim(2021) 연구에서는 개별 정서가 아닌 정서공간에서 표상된 정서를 연령 간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기술적(descriptive) 비교만 시행하였을 뿐, 통계적 유의미 검증을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상 유사성 분석(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방법을 통해 연령간 실제 데이터 및 정서 모델 유사성행렬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개인차 다차원척도법(individual differences multidimensional scaling)을 통해 연령간 정서 차원에 대한 비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제 데이터 비교에서 노년 집단은 청년 및 중년 집단과 가장 유사하지 않았으며, 쾌불쾌 차원이 포함된 정서 모델과의 유사성 비교에서도 가장 유사하지 않았다. 또한 노년 집단은 각성 차원에 대한 비중이 청년 및 중년 집단과 유사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 정서 모델, 그리고 정서 차원 비중이라는 세 가지 측정치에 대해 노년 집단과 청년 및 중년 집단과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수산물 도매시장의 유통조직별 문화의 차이 (Cultural Differences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 Wholesale Seafood Markets)

  • 김진백
    • 수산경영론집
    • /
    • 제40권3호
    • /
    • pp.107-125
    • /
    • 2009
  • Research on culture has been widespread across social science researches. But there has not been any cultural research in the fisheries industr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whether the culture of the fishery organization had a convergent or divergent characteristic. To do so,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who affiliated with their professional associations or wholesale seafood markets, were surveyed across supplying and consuming areas(Busan and Seoul). If fishery organizations have always been culture-bound, rather than culture free, then their members show the divergent characteristic of culture. Despite a similarity in tasks, size and market segments, if this fact is proved,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in different areas will differ in many of their managerial practices such as marketing policies, communication patterns, motivation techniques, etc. And it is expected that national and industrial cultures are major determinants of their behavior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had a divergent characteristic. So, it was concluded that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of wholesale seafood markets in supplying area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consuming area. It was found that this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masculinity/femininity dimensions. In individualism/collectivism dimension,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of consuming area were stronger than those of supplying area. That is,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of consuming area were more collective than those of supplying area. But in masculinity/femininity dimension, fishery distributors and wholesalers of supplying area were stronger than those of consuming area. And the divergent characteristic was moderated by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 level, career). Especially, masculinity/femininity dimension was more moderated by demographic variables than individualism/ collectivism dimension.

  • PDF

3D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의 감성어휘 (Sensibility Vocabulary for 3D Stereoscopic Image Ride Film)

  • 송승근;채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20-12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3D 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에서 발현되는 사용자 감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표감성어휘를 도출하고 이들 간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성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3D 입체영상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206개 기초감성 어휘가 수집되었으며 이에 대하여 62명의 일반 사용자와 4명의 전문가에 의한 적절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77개의 감성어휘 후보를 선발 하였으며 단어 유사성을 배재하여 26개의 대표감성 어휘 후보를 선발하였다. 이를 기초로 자유연상 기법을 활용해 최종 15개의 대표감성어휘를 도출하고 감성어휘 간의 구조를 파악 할 수 있었다. 기존 감성에 대한 연구가 정지된 대상이라면 본 연구는 움직임에 대한 감성으로서 감각, 감정을 포함한 감성연구를 제안하며 향후 3D입체영상의 감성공간과 감성효과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3D 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을 제작할 때 기초가 되는 디자인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성장거동에 관한 프랙탈 해석 (Crack Growth Behavior of Cement Composites by Fractal Analysis)

  • 원종필;김성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46-152
    • /
    • 2001
  • 프랙탈 기하는 재료의 파괴거동과 같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불규칙한 현상을 비정수의 프랙탈 차원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이런. 프랙탈 차원에 기초하면 프랙탈 도형은 도형의 일부를 확대하면 전체와 같아지는 자기상사성 특성을 지닌다. 프랙탈적 해석방법을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시의 균열성장거동에 적용하여 복합체의 미세구조와 파괴거동과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시 소산되는 에너지와 균열의 프랙탈 차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실험을 실시하여 파괴에너지를 측정한 후, 파괴시 형성된 균열형상의 프랙탈 차원을 박스계수법을 통해 산정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프랙탈 차원과 파괴에너지의 관계는 비례관계를 나타냈으며 파괴에너지에 대한 프랙탈 차원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수량화 문제의 최적화 응용기법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Approach for the Quantification Analysis Problem Using Neural Networks)

  • 이동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06-211
    • /
    • 2006
  • 수량화 문제는 n개의 성질을 갖는 m개의 개체들을 각 개체들의 유사도(similarity)를 가장 잘 반영하도록 p차원의 공간 상에 대응시키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학에서의 열평형 상태(thermal equilibrium state)에서 분자시스템의 해석적 근사 움직임에 대한 이론인 평균장 이론(mean field theory)에 의한 분자의 평균 변화량 계산과 어닐링(annealing) 방법에 의한 평균장 신경회로망(mean field neural network)을 수량화 문제(quantification analysis problem)의 해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최적화 응용기법 이 기존의 고유치 분석방법(eigen value analysis)에 비해 비용측면에서 좀 더 최적에 가까운 해답을 찾아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roduct-Story Congruence and Actor Attractiveness in Product Placements in Television Drama

  • Cheon, Minhye;Ahn, Yena;Mo, Ju Hee;Park, Jee-Sun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3호
    • /
    • pp.104-118
    • /
    • 2016
  • As more consumers avoid ads aided by advanced technologies that conveniently block ads, traditional advertising is becoming less effective than ever before. Product placements are increasingly executed to unobtrusively expose products and brands to consumers while they watch media programs.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attitude towards the brands placed in TV drama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ttractiveness of actors and the congruency between the products placed and the story of the TV drama influence consumer attitudes towards the TV drama and the brand. A total of 211 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vealed that the product-story congru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attitude towards the TV drama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the brand. Actor attractiveness (in terms of similarity and lik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nsumer attitude towards the brand. Only the perceived likability dimension of actor attra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consumer attitude towards the TV drama.

한국어 단모음의 지각적 모음공간과 심적 표상 (Perceptual Vowel Space and Mental Representation of Korean Monophthongs)

  • 최양규
    •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287-3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ame vowel sounds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two local dialect speakers, Seoul dialect speakers (SDS) and Kyungnam dialect speakers (KDS), whose vowel systems differ each other. In the first experiment SDS and KDS heard vowels synthesized in vowel space with F1 by F2 and categorized them into one of 10 Korean monophthongs. The results showed that SDS and KDS perceived the synthesized vowels differently. For example, /$\varepsilon$ versus /e/ contrast, ${\o}$/, and /y/ are differentiated by SDS, whereas they are perceptually confused by KDS. We also observed that /i/ could not be perceived unless the vowel synthesis included F3 or higher formants. In the second experiment SDS and KDS performed the similarity rating task of 10 synthesized Korean monophthongs. Two-dimensional MDS solution based on the similarity rating scores was obtained for each dialect group. The first dimension can be named 'vowel advancement' and the second 'vowel height'. The comparison of the two MDS solutions showed that the overall psychological distances among the vowels are shorter in KDS than SDS and that especially the distance between /$\Lambda$/ and /i/ is shorter in KDS than SDS. The result suggested that perception or mental representation of vowels depends on the vowel system of the listener's dialect or language. Further research problems were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