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ymarin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4초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rva Extract of Allomyrina dichotoma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최용화;이기열;양경미;정윤미;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49-1355
    • /
    • 2006
  •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마우스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간 손상 지표효소 활성,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대사 효소 활성, 빌리루빈 함량 및 간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청 내 AST 활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임으로써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나 silymarin공급에 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ALT 활성은 사염화탄소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메탄올 추출물을 고농도로 급여한 경우와 silymarin공급에 의해 활성의 증가가 저하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장수풍뎅이 추출물과 silymarin을 공급시킨 군에서도 대조군에 비해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GST 활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은 GST 활성도가 높았으며 장수풍뎅이 추출물이나 silymarin을 투여시킨 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여한 실험군에서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은 크게 감소되었다. 정상 대조군과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을 비교했을 때 사염화탄소 투여군에서 총빌리루빈, 간접빌리루빈, 직접빌리루빈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거나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과 silymarin을 투여한실험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병리조직학적 소견들이 각 실험군마다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사염화탄소는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간정맥을 잇는 다각형태의 고유간소엽 주변대 간세포의 종창현상과 동양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소견을 보였다. 사염화탄소로부터 유도된 간 손상은 silymarin군과 고농도의 추출물 투여 군데서 그 효능은 미약하지만 간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사염화탄소를 투여시킨 군들에서 간 손상이 유발되었으며, 사염화탄소 투여 시 체중 g당 $100{\mu}g$의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을 공급했을 때 사염화탄소 투여 시에 나타나는 생체 내의 변화를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곤충추출물의 투여량의 세분화 등 보다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간독성의 예방을 위한 천연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 자생하는 일부 Cirsium 속 식물들의 분자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 of Some Cirsium Plants of Korea)

  • 배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3-248
    • /
    • 2015
  • 국내에 자생 중인 도깨비엉겅퀴(Cirsium shantarense), 물엉겅퀴(Cirsium nipponicum), 정영엉겅퀴(Cirsium chanroenicum) 각 1개체 및 엉겅퀴(Cirsium japonicum) 8개체를 전국의 여러 지점에서 채집하였다. 채집된 식물들의 genomic DNA를 분리하여서 18S rDNA, ITS1, 5.8S rDNA, ITS2 및 28S rDNA의 일부를 증폭하고, 그 염기서열 및 Genbank에 등록되어 있는 다른 Cirsium 속 식물들의 염기서열을 분자유전학적으로 비교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려엉겅퀴, 정영엉겅퀴, 물엉겅퀴, 큰엉겅퀴 및 엉겅퀴 종의 식물들은 모두 뚜렷이 독립된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깨비엉겅퀴는 비록 두화가 아래를 향하고 있지만 두화가 위를 향하는 엉겅퀴들과 ITS 염기서열은 유사하였다. 또한 정영엉겅퀴와 고려엉겅퀴는 형태학적으로는 구분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유전학적 분석으로는 뚜렷이 다른 그룹임을 확인하였다. 채취된 엉겅퀴 및 도깨비엉겅퀴의 silymarin 생산 여부를 분석해 본 결과, silymarin이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ilymarin 생합성 능력은 Cirsium 속 식물들에서 공통적인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Anti-fibrotic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Crassulaceae) on hepatic stellate cells and thioacetamide-induced fibrosis in rats

  • Koppula, Sushruta;Yum, Mun-Jeong;Kim, Jin-Seoub;Shin, Gwang-Mo;Chae, Yun-Jin;Yoon, Tony;Chun, Chi-Su;Lee, Jae-Dong;Song, MinD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6호
    • /
    • pp.470-478
    • /
    • 2017
  • BACKGROUND/OBJECTIVE: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Crassulaceae)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i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liver disorders.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fibrotic effects of O. japonicus extract (OJE) in cellular and experimental hepatofibrotic rat models were investigated. MATERIALS/METHODS: An in vitro hepatic stellate cells (HSCs) system was used to estimate cell viability, cell cycle and apoptosis by MTT assay, flow cytometry, and Annexin V-FITC/PI staining techniqu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ioacetamide (TAA)-induced liver fibrosis was established in Sprague Dawley rats. Briefly,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 = 8): Control, TAA, OJE 10 (TAA with OJE 10 mg/kg), OJE 100 (TAA with OJE 100 mg/kg) and silymarin (TAA with Silymarin 50 mg/kg). Fibrosis was induced by treatment with TAA (200 mg/kg, i.p.) twice per week for 13 weeks, while OJE and silymarin were administered orally two times per week from week 7 to 13. The fibrotic related gene expression serum biomarkers glutathione and hydroxyproline were estimated by RT-PCR and spectrophotometry, respectively, using commercial kits. RESULTS: OJE (0.5 and 0.1 mg/ mL) and silymarin (0.05 mg/mL) treatment significantly (P < 0.01 and P < 0.001) induced apoptosis (16.95% and 27.48% for OJE and 25.87% for silymarin, respectively) in HSC-T6 cell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9.09%). Further, rat primary HSCs showed changes in morphology in response to OJE 0.1 mg/mL treatment. In in vivo studies, OJE (10 and 100 mg/kg) treatment significantly ameliorated TAA-induced alterations in levels of serum biomarkers, fibrotic related gene expression, glutathione, and hydroxyproline (P < 0.05-P < 0.001) and rescue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CONCLUSIONS: OJE can be developed as a potential ag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ofibrosis.

Effect of Antioxidants on Arsenite Exposed Porcine Embryonic Development

  • Kim, Han-Su;Lee, Yu-Sub;Lee, Sang-Hee;Cheong, Hee-Tae;Park, Choon-Keun;Lee, Seunghyung;Yang, Boo-Ke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29
    • /
    • 201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ntioxidants on development in arsenite exposed porcine embryos. Oocytes were collected from porcine ovary, and then matured for 44 h. Maturated oocytes were incubated with sperm for 6 h, and fertilized oocytes with sperm (embryos) cultured for 48 h. After, embryos were culture with arsenite and/or antioxidants (melatonin, silymarin, curcumin and vitamin) for 120 h. Formation of pre-morulae, morulae and blastosysts rate was measured using microscope. In results, 10, 100 and 100 nM arsenite significantly decreased morulae and blastocysts formation compared to control in pigs (P<0.05). $10{\mu}M$ silymarin and $100{\mu}M$ vitamin E increased blastocyst formation compared to 10 nM arsenite exposed embryo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ly among the treatment, and 1 nM melatonin and $5{\mu}M$ curcumin did not influence blastocysts formation in 10 nM arsenite exposed embryos. In summary, arsenite decreased embryo development, $10{\mu}M$ silymarin, $100{\mu}M$ vitamin E, 1 nM melatonin and $5{\mu}M$ curcumin had no positive effect to blastocyst formation in arsenite exposed porcine embryos. Therefore, we suggest that little arsenite may have negative effect to embryo development, and silymarin, vitamin E, melatonin and curcumin could not rescue embryo development from damage by arsenite in pigs.

인체 자궁암 세포에서 천연 성분이 P-당단백질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Compounds on P-glycoprotein Activity in Human Uterine Sarcoma Cells)

  • 정수연;고은정;김나형;성민경;장정옥;이화정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4호
    • /
    • pp.249-254
    • /
    • 2005
  • Multidrug resistance (MDR) of cancer cells is, at least in part, associated with the overexpression of P-glycoprotein (P-gp).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natural compounds obtained from fruits, vegetables, teas and medicinal plants may modulate P-gp activit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ven natural compounds on the P-gp activity in human uterine sarcoma cell line, MES-SA/DX5. Daunomycin up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biochanin A and silymarin (p<0.0001) whereas it was reduced by morin (p<0.01). The efflux of daunomycin from the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biochanin A, morin, cephalotaxine, berberine (p<0.05) and silymarin (p<0.0001). Biochanin A, berberine and silymarin significantly decreased $IC_{50}$ value of daunomycin (p<0.05) while morin increased it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natural compounds such as biochanin A and silymarin may inhibit P-gp function and can be developed as MDR reversing agents to improve the efficacy of chemotherapeutic drugs when administered concomitantly.

RNA-Seq De Novo Assembly and Differential Transcriptome Analysis of Korean Medicinal Herb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 Roy, Neha Samir;Kim, Jung-A;Choi, Ah-Young;Ban, Yong-Wook;Park, Nam-Il;Park, Kyong-Cheul;Yang, Hee-sun;Choi, Ik-Young;Kim, Soono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6권4호
    • /
    • pp.34.1-34.9
    • /
    • 2018
  • Cirsium japonicum belongs to the Asteraceae or Compositae family and is a medicinal plant in Asia that has a variety of effects, including tumour inhibition, improved immunity with flavones, and antidiabet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Silymarin is synthesized by 4-coumaroyl-CoA via both the flavonoid and phenylpropanoid pathways to produce the immediate precursors taxifolin and coniferyl alcohol. Then, the oxidative radicalization of taxifolin and coniferyl alcohol produces silymarin. We identified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the synthesis of silymarin in C. japonicum in three different tissues, namely, flowers, leaves, and roots, through RNA sequencing. We obtained 51,133 unigenes from transcriptome sequencing by de novo assembly using Trinity v2.1.1, TransDecoder v2.0.1, and CD-HIT v4.6 software.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the flavonoid pathway was higher in the flowers, whereas the phenylpropanoid pathway was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root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global transcriptome dataset for C. japonicum. The data shall not only be useful to focus more deeply on the genes related to product medicinal metabolite including flavolignan but also to study the functional genomics for genetic engineering of C. japonicum.

돼지정자의 운동성, 원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성 및 원형질막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arsenite 및 항산화제의 영향 (Effects of Arsenite and Antioxidants on Sperm Motility, Plasma Membrane Integrity, Mitochondrial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Pigs)

  • 김한수;이유섭;이상희;정희태;박춘근;이승형;양부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17-523
    • /
    • 2017
  • 본 실험은 항산화제인 melatonin, silymarin, curcumin 및 vitamin E가 aresenite에 의해 손상된 돼지의 정자성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이다. 돼지정자는 채취 후 희석하여 실험에 이용하였으며, $100{\mu}M$ arsenite는 인위적으로 정자를 손상시키는데 사용하였다. 또한 100 nM melatonin, $2{\mu}M$ silymarin, $10{\mu}M$ curcumin 및 $500{\mu}M$ Vitamin E를 희석된 돼지정자에 첨가하여 3, 6 및 9시간 동안 배양 후 정자의 운동성, 원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성 및 원형질막 지질과산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정자의 운동성 및 원형질막 온전성은 $100{\mu}M$ arsenit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항산화제 단독처리구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arsenite에 의해 손상된 처리구는 항산화제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정자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성은 $100{\mu}M$ arsenit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정자의 원형질막 지질과산화는 $100{\mu}M$ arsenit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arsenite의해 감소된 돼지정자의 운동성과 원형질막은 melatonin, silymarin, curcumin 및 vitamin E와 같은 항산화제에 의하여 예방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arsenite에 의해 감소된 정자의 수정능력은 항산화제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HPLC 분석을 통한 한국산 밀크씨슬 중 실리마린과 실리빈의 정량 (Determination of Silymarin and Silybin Diastereomers in Korean Milk Thistle using HPLC/UV Analysis)

  • 김주리;레오 아드리안 바헤;최중원;이학동;심재석;심지형;폴 존 헤랄디노;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97-301
    • /
    • 2020
  • Silymarin (SM) and silybin diastereomers (SD) in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were determin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quantified using a reverse-phase column in a gradient elution system. UV detection was performed at 288 nm. The content of SM and SD in milk thistle was 3.236 and 0.553 mg/g DW, respectively. Determining the presence and quantifying the content of SM and SD in milk thistle are vital for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o identify optimal sources for developing health supplements or therapeutics.

국내에 자생하는 큰엉겅퀴와 고려엉겅퀴의 분자유전학적 및 화학적 분석 (Phylogenetic and Chemical Analyses of Cirsium pendulum and Cirsium setidens Inhabiting Korea)

  • 유선균;배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120-1125
    • /
    • 2012
  • 국내에 자생 중인 큰엉겅퀴(Cirsium pendulum)를 강원도의 홍천, 원주, 평창, 양양 및 경기도 가평과 충청북도의 충주에서 채취하고,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를 강원도의 태백 및 경상북도의 봉화에서 채취하였다. 채취된 식물들의 genomic DNA를 분리하여서 18S rDNA, ITS1, 5.8S rDNA, ITS2 및 28S rDNA의 일부를 증폭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염기서열을 GenBank에 등록하고, 서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큰엉겅퀴는 6개체 모두에서 18S rDNA 및 5.8S rDNA의 염기서열은 서로 완전히 일치하고 있으나, ITS1과 ITS2의 염기서열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고려엉겅퀴의 경우에는 18S rDNA, ITS1 및 ITS2에서 2개체가 서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일본의 홋카이도에서 채취된 큰엉겅퀴와 중국의 안휘성에서 채취된 엉겅퀴(Cirsium japonicum)를 포함하여서 ITS1과 ITS2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엉겅퀴, 큰엉겅퀴, 고려엉겅퀴는 확연하게 서로 다른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취된 큰엉겅퀴 및 고려엉겅퀴들의 silymarin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모두에서 그 함량이 2 mg/ml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엉겅퀴뿐만 아니라 큰엉겅퀴나 고려엉겅퀴도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보고된 silymarin을 상당히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