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 degumm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9초

견직물에 대한 화학정련제의 정련효과 비교연구 (Comparative Degumming Effects of Detergents on Silk Twill)

  • 이용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63
    • /
    • 1987
  • 견직물의 정련에 있어서 관행 정련제인 비누와 이태리 견직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3종의 화학정련제를 비교 시험하였다. 정련 견직물의 강신도와 염색성은 비누 정련과 화학정련제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견직유질의 변성과 관련되는 점도 및 아미노기(-NH2) 함량은 비누정련견이 화학정련제 정련견에 비하여 약간 증가 및 감소되었으며 표면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비누 정련견이 비교적 불순물의 잔류가 적었고 3종의 화학정련제 중에서는 정련제 "S"에 의한 정련견에 불순물의 잔류가 가장 적게 보였다.가장 적게 보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salt-tolerant pretense purified from the fermented anchovy sauce

  • Kim, Woo-Jae;Kim, Sang-Moo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91-92
    • /
    • 2001
  • Enzymes have been used as processing aids in the manufacture of food products to improve their quality, solubility and stability for centuries. About 50% of the enzymes used as industrial processing aids are protein hydrolases which have been used in a number of industrial application including laundry detergents, feed, leather treatment, silk degumming, cheese making, chill proofing, meat tenderzing, fermented sauces, and pharmaceuticals. (omitted)

  • PDF

Comparison of sericin produced through laboratory- and plant-scale extraction

  • Ye Eun Kim;Chun Woo Kim;In Chul U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1호
    • /
    • pp.63-71
    • /
    • 2023
  •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ericin recovered from wastewater released from the silk textile industry (Plant sericin) wer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ose of sericin extracted from a silkworm cocoon produced in a laboratory (Lab sericin). To prepare Plant sericin, ethanol was added to wastewater (i.e., a sericin aqueous solution) after the degumming process to remove nonprotein materials, affording a sericin precipitate. To prepare Lab sericin, nonprotein materials were removed from a silkworm cocoon and sericin was subsequently extracted from the cocoon. Lab sericin and Plant sericin exhibited similar solution viscosities, gel strengths, and crystallinity indices, indicative of the similar molecular weights (MWs) of the two sericin samples. In the case of sericin powder, Plant sericin was more crystalline than Lab sericin due to its treatment with ethan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ericin recovered from industrial wastewater can be used equally as its MW is similar to that of sericin obtained through laboratory-scale extraction.

유채유로 만든 견정련비누의 정련 (Studies on the Scouring Effects of Scouring Soap Made from Rapeseed Oil)

  • 배도규;배현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47
    • /
    • 1993
  • 유채유를 이용해서 만든 새로운 정련비누와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련 비누로, 정련염색 및 물성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련율에서는 OC(올레인산으로 만든 비누)를 사용한 것이 가장 좋고 RS(유채유로 만든 비누)를 사용한 것이 다음으로 모두 MS(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누)를 사용한 것보다 우수하였다. 2. 완충력을 측정한 결과 RS와 OS는 비슷하였지만 MS는 크게 떨어졌다. 3. 오염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OS와 RS로 정련한 것이 반점이 없었으나, MS로 정련한 것은 염반이 발생하였다. 4. 강·신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MS로 정련한 것이 OS, RS로 정련한 것보다 다소 낮았다. 5. 정련 후의 방추도 및 백도는 OS, RS, MS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전해수를 이용한 견섬유 정련 및 세리신 회수(II)-분리막에 의한 세리신 농축을 중심으로- (The Degumming and Sericin Recovery of the Silk fabric Using the Electrolytic Water(II))

  • 배기서;이태상;노덕길;홍영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18
    • /
    • 2004
  • In this work, Aqueous sericin solution was prepared by degumming process with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Then, the microfiltration and ultrafiltration systems were applied to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ericin solu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among the different pressure. The permeate flux and rejection ratio were observed with time, pressure, flow rate and concentration. and, the wastewater and permeated water quality values such as pH, BOD, COD, and NH levels were measured. In order to see the influence of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the flux of pure water and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by PVDF22(MF) and PS100(UF) membrane was measured. In microfiltration system, the relative flux reduction decreased rapidly to 0.02 in the 30min, as the concentration polarization and gel layer formation were increased. and then the sericin concentration rejection ratio was 40%. In ultrafiltration system, the permeate flux decreased with time and concentration, and increased with the operating pressure and flow rate. Optimal condition in PS100 membrane system for sericin concentration was operating pressure 1.464kgf/$cm^24, operating flow rate $7\ell/min at\; 40^{\circ}C$. At that time, sericin concentration rejection ratio was 83% respectably. The sericin solution was concentrated from 0.1wt% solution to 0.2 wt % solution during about 2 hrs by the UF filteration membrane system.

세리신잠견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the Silkworm Sericin Cocoon)

  • 김수연;손해룡;배도규;김정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17
    • /
    • 2003
  • 최근에 기능성 양잠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Nd-s잠, N$d^{H}$잠의 이화학적 특성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처리온도 증가에 따른 용해성에서 Nd-s잠과 N$d^{H}$잠의 경우 용해도가 증가하였지만 백옥잠은 용해도 정도가 미미하였다. 특히, Nd-s잠의 경우 9$0^{\circ}C$에서의 용해성은 낮았으나 10$0^{\circ}C$경우는 높았다 13$0^{\circ}C$이상에서 연감률은 Hd-s잠과 NdH잠은 100%였고, 백옥잠은 24%였다. 효소처리에 의한 연감률이 Nd-s잠과 N$d^{H}$잠의 경우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감률이 증가하였고, 백옥잠은 3% 이하였다. 2. 아미노산조성에서 Nd-s잠은 글리신 29.l mol%로 가장 높았고, N$d^{H}$잠은 세린 32.6 mol%로 가장 높았다. 정련 전 백옥잠은 글리신 40.3mol%, 정련 후 백옥잠은 글리신 46.3 mol%였다. 3 시차 주사 열량 분석은 Nd-s잠, N$d^{H}$잠, 정련 전$.$후 백옥잠에서 10$0^{\circ}C$이하 peak는 수분증발에 의한 흡열 peak로 보여지고, Nd-s잠, N$d^{H}$잠 및 정련 전 백옥잠은 216$^{\circ}C$∼218$^{\circ}C$에서 열변성 peak로 보여지며, 314$^{\circ}C$∼32$0^{\circ}C$부근에서 peak는 열분해 peak로 보였다. 4. 적외선 분광 분석에서 Nd-s 잠은 결정화도가 44.3%, N$d^{H}$잠은 43.7%, 정련 전 백옥잠은 59.9%, 정련 후 백옥잠은 61.8%로서 Nd-s잠과 N$d^{H}$ 잠은 백옥잠보다 결정화도가 낮았다. 5. X-선 결정화도는 정련 전 Nd-s잠은 35.9, 정련 전 N$d^{H}$ 잠은 33.5%, 백옥잠정련 전이 47.2%, 정련 후 백옥잠은 49.8가 나타났다. 6. N$d^{H}$ 잠의 고치를 12$0^{\circ}C$에서 여과하여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수용성만 이용하여 분자량 측정은 1시간 처리의 수평균분자량은 9,417로 분자량이 제일 크고 골고루 넓은 범위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2시간처리시는 3,744, 4시간처리시는 4,944, 6시간처리시는 3,910으로 평균분자량이 처리시간에 따라 저분자화 되는 경향이었으며, N$d^{H}$ 잠의 수평균분자량은 3,744∼9,417범위로 나타났다.은 3,744∼9,417범위로 나타났다.

絹織物 Wash and Wear 加工硏究 (Studies on Silk Textile Wash and Wear Finishing)

  • 최병희;이양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5
    • /
    • 1981
  • 絹織物加工을 實需要者의 利用度를 增加시키기 爲해 多年間 여러 사람에 의하여 硏究되어 왔으나 天然織維이기 때문에 加工方式으로 性質을 變化시키기는 어려워서 滿足스러운 精度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實情에 있다. 絹織物加工은 勿論 그 缺點을 補强하는 同時에 商品的價値도 向上시키는데 目的이 있는데 때로는 有名商標가 品質以上으로 販賣를 左右하는 例도 많다. 特히 絹制品은 歡迎을 받지 못하고 있는 實情에 있다. 이러한 問題點을 解決하기 爲해 筆者는 多年間 硏究를 持績하여 왔든바 一般絹織物의 浸潤後 乾燥時間보다 半減된 時間에 乾燥되는 所謂 Wash and Wear絹加工方法의 開發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 加工費用이 極히 經濟性인 탓으로 아무런 부담감 없이 加工處理할 수 있는 特徵을 갖이고 있었다. 1. 繭絲는 吐絲營繭曲線이 S字型으로 되어 있어 浸潤時에는 原狀復舊의 性質이 있어 屈曲狀態를 이룩하게 되어 本加工絹織物이 Wash and Wear이기는 하나 가벼운 다림질이 必要하였다. 2. 이러한 加工은 絹絲蛋白質의 變性을 加工過程에서 1% D.I.S.溶液에 3時間 處理하여 變性誘發시킴으로서 可能하였다. 3. 加工絹의 防皺度, 剛乾度를 洗濯回數를 反復하면서 調査하여 본 結果 未處理絹보다 惡化되지 않았다. 4. 未加工絹도 水洗, 乾燥를 反復하게되면 스스로 變性되는 事實을 알았다. 5. 處理絹과 未處理絹의 强力伸度面의 差異가 없었다.

  • PDF

한국산 잠견에서 분리된 미생물에 관한 연구(제 II보)(잠견에서 분리된 Bacteria의 Enzyme activity). (The studies on microbe isolated from the cocoon in Korea)

  • 이상원;이철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0권
    • /
    • pp.73-75
    • /
    • 1969
  • There are two fold aims in this experimental study. The aim is to investigate the bacteria which produce the high activity enzyme or the cocoon for utilization to the textile and the industry. The ether is to protect against the bacteria that damage silk protein during storag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s: 1. Among the isolated bacteria from the cocoon, No 4 strain had the high activity of the $\alpha$-amylase. But this strain had not been identified. The results of experiment is shown in the table II. 2. Among the isolated bacteria from the cocoon, No II strain had the high activity of the protease on substance of the case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s shown in the table II. 3. The bacteria which had the high activity of the degumming effect of the sericin, the part of the operation for 7 days was higher part of the operation for 3 day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indicated in Fig I and Fig II.

  • PDF

실크 생지직물의 정련발염날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gumming-Discharging Printing of Raw Silk Fabrics)

  • 박건용;박창혁;서기성;김재현;김동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33-235
    • /
    • 2001
  • 실크 생지직물에 대해 정련날염호로 무늬를 인날하고 증열 처리함으로써 무의 부분만 정련이 되도록 하는 정련날염 기술을 개발하여 모시 섬유와 같이 뻣뻣하면서 시원한 질감이 나는 정련되지 않은 생직물 부분과 정련에 의해 유연하고 매끄러우면서 광택이 나는 비단 부분이 동시에 한 직물에 공존하면서 입체적인 무의 표현이 가능한 독특하고 새로운 실크 직물을 개발하였다. 또한 산성염료 둥의 합성염료로 염색된 실크 생지직물과 천연염료로 염색된 실크 생지직물에 대해서 정련날염과 동시에 무의 부분의 바탕색을 빼내고 착색을 고착시키는 발염의 특수날염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색상에 의한 무늬 표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실크직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