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nkage estim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2초

On simple estimation technique for the reliability of exponential lifetime model

  • Al-Hemyari, Z.A.;Al-Saidy, Obaid M.;Al-Ali, A.R.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14권2호
    • /
    • pp.79-96
    • /
    • 2013
  • Exponential distribution plays a key role in engineering reliability and its applications. The exponential failure model has been studied for years. This article introduces two new preliminary test estimators for the reliability function (R(t)) in complete and censored samples from the exponential model with the use of a prior estimation (${\theta}_0$) of the mean (${\theta}$). The proposed preliminary test estimators are studied and compared numerically with the existing estimators. Computer-intensive calculations for bias and relative efficiency show that for, different values of levels of significance and for varying constants involved in the proposed estimators, the proposed estimators are far better than classical and existing estimators.

  • PDF

SMOOTH SINGULAR VALUE THRESHOLDING ALGORITHM FOR LOW-RANK MATRIX COMPLETION PROBLEM

  • Geunseop Lee
    • 대한수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27-444
    • /
    • 2024
  • The matrix completion problem is to predict missing entries of a data matrix using the low-rank approximation of the observed entries. Typical approaches to matrix completion problem often rely on thresholding the singular values of the data matrix. However, these approaches have some limitations. In particular, a discontinuity is present near the thresholding value, and the thresholding value must be manually select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e propose a shrinkage and thresholding function that smoothly thresholds the singular values to obtain more accurate and robust estimation of the data matrix. Furthermore, the proposed function is differentiable so that the thresholding values can be adaptively calculated during the iterations using Stein unbiased risk estimate.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yields a more accurate estimation with a faster execution than other matrix completion algorithms in image inpainting problems.

LASSO를 사용한 시간 지연 추정 알고리즘 (Time Delay Estimation Using LASSO (Least Absolute Selection and Shrinkage Operator))

  • 임준석;편용국;최석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0호
    • /
    • pp.715-721
    • /
    • 2014
  • 두 개 센서에 도래하는 신호 간의 시간 지연을 추정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 채널 추정 기법을 기반으로 한 방법의 경우는 두 센서에 입력되는 서로 다른 신호간의 상대적인 지연을 채널의 임펄스 응답처럼 추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특성이 희박 채널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방법들은 채널의 희박성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의 희박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희박신호 최적화 방법의 하나인 LASSO 최적화를 사용한 시간 지연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백색 가우시안 신호원에서는 약 10dB 이상의 성능 개선 결과를 보이고, 유색 신호원에서도 갑자기 추정성능이 열하되는 현상이 없음을 보인다.

강합성 콘크리트 박스구조물(트랜스퍼 거더)의 건조수축 균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hrinkage Crack of Steel Composite Concrete Box Structure (Transfer Girder))

  • 최정열;김대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685-691
    • /
    • 2022
  • 본 연구의 대상구조물은 지하철 본선 직상부에 시공된 초고층 빌딩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한 전이구조체인 강합성 콘크리트 박스구조물(트랜스퍼 거더)로서 연구의 목적은 대상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조사결과와 수치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강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원인이 건조수축균열임을 해석적으로 입증하였다. 연구결과,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철골의 형상 및 수직보강재의 위치와 폐합 단면의 면적에 따라 외기온도에 따른 콘크리트와 강재간의 내부 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보강재의 간격이 좁은 경우 넓은 단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부 온도의 집중도가 상승하여 외기와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도 및 온도에 따른 변형율이 크게 발생되는 위치와 현장균열조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조물 중앙부의 점검통로와 철골에 형성된 수직보강재 유무 및 간격에 따라 내부 온도 집중부가 형성되고 해당위치에서 강재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신축거동이 구속되어 건조수축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강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 및 점검 시 건조수축에 의한 비구조적인 균열과 구조적인 균열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차원 데이터에서 공분산행렬의 추정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variance Matrix Estimators in High-Dimensional Data)

  • 이동혁;이재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5호
    • /
    • pp.747-758
    • /
    • 2013
  • 공분산 행렬은 다변량 통계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다변량 분석의 경우 표본 공분산 행렬이 참공분산 행렬의 추정량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변수의 수가 표본의 크기보다 훨씬 큰 고차원 데이터와 같은 경우에는 표본 공분산 행렬은 비정칙행렬이 되어 기존의 다변량 기법을 사용하는 데 적절하지 않을 수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축소추정, 경계추정, 수정 콜레스키 분해 추정 등의 새로운 공분산 행렬의 추정량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추정량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현실적인 상황들을 가정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참공분산 행렬의 추정량들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래프 LASSO에서 모형선택기준의 비교 (Comparison of model selection criteria in graphical LASSO)

  • 안형석;박창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881-891
    • /
    • 2014
  • 그래프모형(graphical model)은 확률 변수들간의 조건부 독립성(conditional independence)을 시각적인 네트워크형태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학 (bioinformatics)이나 사회관계망 (social network) 등 수많은 변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확률 시스템에 대한 직관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래프 LASSO (graphical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는 고차원의 자료에 대한 가우스 그래프 모형 (Gaussian graphical model)의 추정에서 과대적합 (overfitting)을 방지하는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LASSO 추정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인 모형선택에 대하여 고려한다. 특히 여러가지 모형선택기준을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며 실제 금융 자료를 분석한다.

주강품 압탕 설계에 체적 수축을 고려한 응고해석의 적용 (Application of Solidification Analysis considering Volumetric Contraction to Riser Design of Steel Castings)

  • 김지준;김기영;최정길;홍준표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94-506
    • /
    • 1995
  • Test castings in plate, disc, and cubic shaped castings for 0.2wt.% carbon and stainless steel have been pou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iser dimensions including riser neck on the casting soundness. Three empirical methods were chosen in risering of steel castings. A computer program of solidification analysis considering liquid and solidification contraction was developed to apply for riserdesign calculated by using their methods in plate, disc, and cubic shaped castings, and to calculate the position and dimension of shrinkage cavity in complex shaped casting. The potential of present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demonstrated by comparing predicted cavity shapes with those obtained in a series of experimental castings. Three empirical methods can be used in a practical way to make a rapid estimation of tie minimum riser diameter, but they can not provide a criterion of casting soundness with shape and material on all occasions. The shape and position of shrinkage cavity can be successfully predicted both using the present method and using risering calculated by their methods regardless of the shape and cast material.

  • PDF

공명주기식 동탄성계수를 이용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 예측 (Estim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in Early Age by Resonance Frequency Test)

  • 김진근;김훈;노재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164-171
    • /
    • 1995
  • 재령 초기에 발생하는 부등건조수축과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한 수화열은 초기재령 콘크리트 균열의 주요 원인이다. 다라서 재령 초기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화열과 부등건조수축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력의 계산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초기 재령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동탄성계수와 압축강도, 정탄성계수와 같은 역학적 성질들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공명주기법을 이용한 비파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실험결과를 기존 예측식과 비교하였다. 또한 기존의 실험치와 이 연구의 실험치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식들을 제안하였다.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 컬링제어를 위한 연구 (Study for Curling Control of Plain Concrete in Underground Parking Lot)

  • 서태석;최훈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축구조물의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의 컬링제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의 경우,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섬유보강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수축균열과 컬링변형 제어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수축균열과 컬링 변형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수축저감제 (Shrinkage Reducing Agent: 글리콜 기반의 수축저감제, 이하 SRA)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컬링제어를 위하여 무근콘크리트를 켄티레버 보로 가정하여 처짐이론을 적용한 간이예측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실측값과 비교하여 컬링변형 예측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SRA 1.0% 콘크리트가 SRA 0.0% 콘크리트보다 컬링 변형이 30% 정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켄틸레버 보의 처짐이론으로 무근 콘크리트의 컬링변형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계기준강도 60~80MPa급 고강도콘크리트의 재료 특성 및 크리프 예측모델식 제안 (Suggestion of the Prediction Model for Material Properties and Creep of 60~80MPa Grade High Strength Concrete)

  • 문형재;구경모;김홍섭;석원균;이병구;김규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17-525
    • /
    • 2018
  • 초고층 RC구조물 건설은 콘크리트 크리프에 대한 반영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한다. Fck60~80MPa를 적용하는 국내 초고층 건축물에 대하여 각종 역학적 특성과 양생조건(Dried/Sealed)별 크리프에 대해 검토하였다. Sealed 조건에서의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는 Unsealed 조건에 비해 약 5%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크리프 계수의 경우 Unsealed 조건에서 Sealed 조건 대비 2~3배 높게 평가되었고, ACI 209 모델을 보완한 수정 예측 모델의 경우 수직부재(코어월 및 메가칼럼)에서의 장기재령 예측식으로 적용하였다. 향후 실제 부재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 크리프 모델에 대해 보완 및 제안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