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tip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5초

Plant Regeneration from Shoot Tip-Derived Embryogenic Callus of Dianthus superbus

  • Lee, Eun-Ae;Kim, Joon-Chul;Kim, Won-Bae;Kim, Byeong-Hyeon;Kim, Jeong-Ka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381-385
    • /
    • 1994
  • The highest degree of callus 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shoot tips of Dianthus superbus when cultured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NAA and 0.5 mg/L BAP. Embryogenic calluses were obtained from the seperated friable calluses on MS medium containing 2.0 mg/L 2,4-D after 7-8 wk of culture. For plant regeneration, embryogenic calluses were selected and cultured on te proliferation medium. After 3 wk, somatic embryos appeared on MSK medium (0.5 mg/L NAA, 2.0 mg/L kinetin) and N6 medium (2.0 mg/L kinetin, 0.1 mg/LNAA, 0.1 mg/L 2,4-D and 2.0 g/L casein hydrolysate). When these somatic embryos were kept under continuous illumination, shoots were successfully regenerated on the both media. The shoots were root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NAA.

  • PDF

무 원종 대량생산을 위한 경정배양 (Shoot-tip culture for massive production of radish foundation seeds)

  • 박한용;김유경;최수빈;모숙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82-88
    • /
    • 2023
  • 순도가 균일한 원종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원원종 종자를 이용하여 조직배양 기술 중 경정배양을 이용하였다. 실험 재료로는 원원종 계통 RA2와 RA4 계통을 사용하였다. BA 호르몬 사용의 경우 RA2 계통의 유묘에서는 BA 1.33 uM 첨가 배지에서 평균 14.67개로, 성묘의 경우 BA 1.78 uM 첨가 배지에서 평균 11.33개로 가장 많은 개수의 multi-shoots이 형성되었으며, RA4 계통 경우 유묘에서는 BA 2.22 uM 첨가 배지에서 평균 11.67개로, 성묘에서는 BA 1.33 uM 첨가 배지에서 평균 13.67개로 가장 많은 multi-shoots이 형성되었지만 BA 농도별로 유의수준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DZ 호르몬 사용의 경우 RA2 계통은 TDZ 농도가 증가할수록 multi-shoots의 수가 증가하여 TDZ 0.45 uM 첨가 배지에서 가장 많은 multi-shoots가 형성되었으나(유묘 7.0개, 성묘 3.0개), TDZ 2.25 uM 부터는 거의 multi-shoots가 형성되지 않았다. RA4 계통은 유묘의 경우 거의 multi-shoots이 생성되지 않았고 성묘의 경우 TDZ 0.23, 0.45 uM 첨가 배지에서 3.7개의 multi-shoots이 생성되었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묘에서와 같이 생성되지 않았다. 생성된 multi-shoots를 계대배양하여 생장한 조직배양묘를 SSR marker를 사용하여 원종계통과 비교분석한 결과 생성된 조직배양묘에서 변이의 양상이 약하게 보인 것이 있었으나 돌연변이체로 나타난 것은 없었다. 또한 뿌리 발근에 있어서는 RA2, RA4 계통 모두 대체적으로 IBA 4.9 uM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율, 뿌리 수, 뿌리발달 정도 등이 가장 좋았다.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조만현;함인기;이규희;이종국;이가순;박상규;김태일;이은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4-4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생강과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 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함량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Cu, Fe, Mn, Zn) 함량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K이었으며, P와 Mg, Na, Ca 순으로 많았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강은 C14 미만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Citral 성분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 보다 생강의 고유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gingerol 함량은 경정배양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항바이러스제 처리와 경정배양에 의한 배(Pyrus pyrifolia L.) '만수'의 Apple stem grooving virus 무병화 (Elimination of Apple stem grooving virus from 'Mansoo' pear (Pyrus pyrifolia L.) by an antiviral agent combined with shoot tip culture)

  • 조강희;신주희;김대현;박서준;김세희;천재안;김미영;한점화;이한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91-396
    • /
    • 2016
  • 본 연구는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에 감염된 배 (Pyrus pyrifolia L.) '만수'의 기내배양 식물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배 바이러스 무병화 기술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체의 경정조직을 잘라 열처리($37^{\circ}C$), 한냉처리($4^{\circ}C$),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을 단독 또는 복합처리하였다. 처리기간은 2, 4, 8주였으며 ribavirin 농도는 20과 $40mg{\cdot}L^{-1}$이었다. 바이러스 제거율은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신초 생존율은 2주간 한냉처리, 항바이러스제 단독처리와 한냉처리와 항바이러스제가 복합처리된 그룹에서 100%로 높았고 열처리에서 33.3%로 가장 낮았다. 단독으로 ribavirin을 처리한 그룹은 처리기간이 길수록 신초 생존율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ASGV 제거율은 2주간 ribavirin $40mg{\cdot}L^{-1}$ 농도로 처리한 그룹과 열처리와 ribavirin을 복합처리한 그룹에서 100%로 높았다. 한냉처리한 그룹의 바이러스 제거율은 16.7%로 가장 낮았으나 한냉처리와 ribavirin을 복합처리한 그룹에서는 43.3%로 향상되었다. 모든 처리에서 처리기간이 길수록 바이러스 제거율은 증가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배 ASGV 제거에는 경정배양과 더불어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을 $20mg{\cdot}L^{-1}$ 농도로 4주간 처리하거나 $40mg{\cdot}L^{-1}$ 농도로 2주간 단독처리만으로도 효과적으로 무병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정배양에 의한 한국 자생 비비추속 식물의 기내증식 (In vitro Multiplication of Hosta Tratt. Species Native to Korea by Shoot-tip Culture)

  • 최한;양종철;류선희;윤새미;김상용;이승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62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비비추속 식물 6종(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다도해비비추, 좀비비추, 한라비비추, 흑산도비비추)의 정단을 이용하여 대량증식과 품종개발 등을 위한 기내증식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정단은 0.5, 1.0, 2.0, 4.0 mg/L BA와 0.1, 0.5, 1.0, 2.0 mg/L TDZ를 0.1 mg/L NAA와 각각 혼용한 조건과 PGRs을 무첨가한 조건(control)의 MS배지에 배양하였다. 배양 8주 후에 embryogenic callus, somatic embryo, crown bud, 그리고 신초와 뿌리의 분화 및 생육, 생체중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6종의 비비추 식물 모두에서 control에 비하여 PGRs 처리구의 embryogenic callus와 somatic embryo 형성율, 다신초 분화율이 높았다. 분화된 신초의 개수는 일월비비추는 2.0 mg/L TDZ에서 5.4개, 주걱비비추와 다도해비비추는 1.0 mg/L TDZ에서 각각 3.3개, 5.8개, 좀비비추는 0.5mg/L BA에서 11.1개, 흑산도비비추는 0.5 mg/L TDZ에서 9.8개, 한라비비추는 1.0 mg/L BA, 0.1 mg/L TDZ에서 8.1개로 가장 많았다. Somatic embryo 형성에서는 다도해비비추와 흑산도비비추가 처리한 PGRs에 대해 효과적이었고, 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좀비비추, 한라비비추에서는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었다. 4종의 자생 비비추(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다도해비비추, 흑산도비비추)에서 조사된 crown bud도 control에 비하여 PGRs 처리구에서 더많이 형성되었다. 주걱비비추는 cytokinin의 종류 및 농도와 상관없이 callus와 신초 분화에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crown bud의 형성에는 TDZ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경정배양에 의한 Zantedeschia spp.의 기내번식 (In Vitro Propagation of Zantedeschia spp. through Shoot Tip Culture)

  • 한봉회;조해룡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59-63
    • /
    • 2003
  • 본 실험은 경정에서 다아체 형성을 통하여 Zantedeschia의 기내 대량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Z. 'Best Gold'의 경정에서 다아체 형성률은 BA 2.0∼5.0 mg/L 및 TDZ 0.1∼l.0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63% 이상으로 높았으며, BA 2.0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75%로 가장 높았다. BA와 NAA의 혼용첨가는 BA 단용첨가배지와 비교하여 Z. 'Best Gold'의 신초경정에서 다아체의 형성 및 신초분화를 촉진하지 않았다. Z. 'Best Gold'의 형성된 다아체 절편체 (0.7∼1.0 cm)에서 다아체의 증식은 BA 2.0mg/L를 첨가한 배지가 효과적이었다. 형성된 다아체 절편체 (0.7∼l.0 cm)에서 신초의 생육 및 발근은 IBA 1.0∼2.0 mg/L가 첨가된 배지가 적합하였다. Z. 'Childsiana'는 TDZ 0.5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Z. 'Golden Affair'는 BA 3.0 mg/L 첨가배지가, Z. 'Pacific Pink'는 BA 5.0∼10.0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증식이 양호하였다.

숙근 안개초 신초배양에 의한 건전묘의 증식효율 향상 (Improvement of Efficiency for Multiplication of Vigorous Seedling by Shoot Cultured In Vitro in Gypsophila paniculata L.)

  • 이승우;배진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68-769
    • /
    • 1999
  • 숙근 안개초의 정단부를 이용한 기내증식은 'Bristol Fairy'에서 BA $0.2mg{\cdot} L^{-1}$, NAA $0.2mg{\cdot}L^{-1}$혼합처리로 생체중, 신초수를 증가시켰고, 'Red Sea'에서는 BA $0.2mg{\cdot}L^{-1}$, NAA $0.1mg{\cdot}L^{-1}$ 혼합처리시 부정아의 수와 길이가 증가되었다. 'Bristol Fairy'에서 투명화 발생은 $7cm{\times}13cm$(지름${\times}$높이)의 배양용기 사용으로 억제되었다. 마개의 aeration처리와 agar의 농도는 투명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신초의 신장을 촉진하였다. 한편 한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부정아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 PDF

Cryopreservation of in vitro-cultured Axillary Shoot Tips of Japanese Bead Tree (Melia azedarach) using Vitrification Technique

  • Yang Byeong-Hoon;Kim Hyun-Tae;Park Ju-Yong;Park Young-G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5-391
    • /
    • 2006
  • In vitro-grown axillary buds of Melia aredarach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by vitrification.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BA 1 mg/L, multiple shoots were developed within $4{\sim}5$ weeks. Plantlets of Melia azedarach were cold-hardened at $10^{\circ}C$ for a 16-hr photo-period for 6 weeks. Excised axillary shoot-tips from hardened plantlets were precultured on a solidified Murashige & Skoog agar medium (MS) supplemented with 0.7 M sucrose for 1 day at $25^{\circ}C$. Axillary shoot-tip meristems wert dehydrated using a highly concentrated vitrification solution (PVS2) for 60 min at $0^{\circ}C$ prior to a direct plunge into liquid nitrogen (LN). The PVS2 vitrification solution consisted of 30% glycerol (w/v), 15% ethylene glycol (w/v), 15% DMSO (w/v) in MS medium containing 0.4M sucrose. After short-term warming in a water bath at $40^{\circ}C$, the meristems were transferred into 2 ml of MS medium containing 1.2M sucrose for 15 min and then planted on solidified MS culture medium. Successfully vitrified and warmed meristems resumed growth within 2 weeks and directly developed shoots without intermediary callus formation. The survival rate of cold-hardened plantlets for 3 and 4 weeks was 90%. We did not find any difference in PCR-band patterns between control and cryopreserved plants. This method appears to be a promising technique for cryopreserving axillary shoot-tips from in vitro-grown plantlets of Medicinal plants.

패모의 줄기, 마디, 정단 및 자구인편 배양에 의한 기내 증식 (Micropropagation through Stem, Node-bud Shoot Tip and Bulblet Scale Culture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백기엽;유광진;성낙술;최인식;조진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4-161
    • /
    • 1994
  • 폐모(Fritillaria thunbergii)의 자구인편, 줄기, 및 마디조직 및 정단을 구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구형성수는 자구인편조직에 비해 마디나 줄기조직에서, BA처리구보다 kinetin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줄기조직은 생장이 3cm이하일 때 채취하여 kinetin이 $1.0{\sim}3.0mg\;/L$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 마디조직은 3cm이상 생장한 조직을 kinet이 5.0mg /L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자구형성수가 증가하였다. 기내에서 생장한 마디의 액아에서 자구가 직접 형성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는데 최고 15개의 자구가 마디에서 형성되었다. 2. 신초가 l0cm 이상 생장한 후 줄기조직을 채취하여 배양하였을 때는 어린 줄기조직보다 자구 형성능력이 감소하였으며 생장조절제의 첨가가 자구형성에 필수적이었고 적정농도는 kinetin 1.0 mg /L였다. 3. 지하에서 생장중인 패모에서는 줄기조직이나 정단이나 자구조직에 비해 구형성율이 높았으며 자구 형성에 적합한 당의 농도는 $5{\sim}7%$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패모의 기내 배양재료로는 자구 인편조직에 비해 3cm정도 생장한 줄기나 마디조직을 이용하는 것이 대량중식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줄기나 마디조직은 구형성수가 최고 20배 이상 달하여 중식율이 상당히 높았다. 생장조절제 요구도는 배양재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Kinetin $1.0{\sim}5.0mg\;/L$가 적합하였다.

  • PDF

Improvement in Clonal Propagation of Hemidesmus indicus R. Br. through Adenine Sulphate

  • Misra Neeta;Misra Pratibha;Datta S.K.;Mehrotra Shant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39-244
    • /
    • 2003
  • A protocol has been developed for rapid large scale clonal propagation of an aromatic endangered medicinal plant, Hemidesmus indicus R. Br. with the elimination of the problems such as premature leaf fall and callus formation during caulogenesis and rhizogenesis.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from shoot tip and nodal explants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Benzylaminopurine (BAP) and 0.5 mg/L Napthaleneaceticacid (NAA). Addition of 15 mg/L adenine sulphate to the above medium checked leaf abscission completely, reduced the time required for caulogenesis and restored morphogenetic potential after several subcultures. The in vitro grown propagules were rooted in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 mg/L Indolebutyric acid (IBA) +1 mg/L NAA and sucrose 0.7% (w/v). Addition of charcoal at 100 mg/L to the rooting medium quickened root initiation with a complete check on callus formation. The effect of sucrose concentration on both caulogenesis and rhizogenesis was also studied. The resultant plantlets were acclimatized and grown in fields where ninety eight percent of the rooted shoots survived and grew normally. The estimation of the secondary metabolite content in the shoots of the regenerated plant and the mother plant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three secondary metabolites lupeol, vanillin and rutin was simi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