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pyard worker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중년여성 근로자의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Middle Age Women Workers)

  • 최준영;전미양;서영미;최소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37-145
    • /
    • 2017
  • 본 연구는 중년 여성 근로자의 뇌심혈관 질환 발병위험도를 평가하고 발병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일개 조선소에 근무하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년 여성 근로자의 1,340명의 건강검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상 혈압을 가진 대상자는 1234명이고 그중 발병인자가 없는 건강군은 1,078명(80.4%), 저위험군 45명(3.4%), 중등도 위험군 150명(11.2), 고위험군 67명(5.0%)으로 나타났다. 건강군과 위험군 간에 연령,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흡연 유무, 뇌졸중 가족력, 심장질환 가족력, 고혈압 가족력, 당뇨 가족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한 뇌심혈관 질환 발병위험 영향요인은 연령,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흡연, 뇌졸중 가족력, 고혈압 가족력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추후 중년 여성의 뇌심혈관 질환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조선업의 도장 작업시 취급하는 도료중 유해물질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sition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Some Korean Shipyards)

  • 신용철;이광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6-172
    • /
    • 1999
  • Potential chemical hazards encountered in painting operation of four shipyards and a ship-repair shop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for 307 paints, 50 thinners and 34 binder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It was shown that various organic solvents such as aromatic hydrocarbons, aliphatic hydrocarbons, ketones, alcohols, glycols, glycol ether acetates and esters were contained in painting materials. Of these solvents, xylene was found in the largest number of painting materials. sixty percent of the thinners contained xylene in the contents of 20-100%. Other most frequently found solvents were 1-methoxypropanol, 1-methoxypropyl acetate, n-butanol, methyl isobutyl ketone, toluene, isopropanol, and n-butyl acetate, etc. Glycol ethers such as 2-methoxyethanol (2-ME), 2-methoxyethyl acetate (2-MEA), 2-ethoxyethanol (2-EE), 2-ethoxyethyl acetate (2-EEA) and 2-butoxyethanol (2-BA) were regard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cause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embryotoxic effect and hematotoxic effects, and were found in some epoxy panting materials. Coal tar pitch was included in some paints(13%) where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s) could be contaminated. Inorganic pigments such as lead chromate and zinc potassium chromate were found in some paints (8%). The epoxy resin based paints, which may contain isocyanates such as toluene diisocyanates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s causing potential sensitization and asthma to upper respiratory organ, were mostly used in the shipyards. The constituents in the MS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detector: minor constituents or impurities were omitted in many MSDS. In conclusion, xylene was the most frequent organic solvent in painting materials, and glycol ethers, including 2-ME, 2-MEA, 2-EE, 2-EEA and 2-BA, were found some products. Also, painting workers may be exposed to PAHs, lead, chromate, isocyanates, organic tin and other various chemicals. The compositions of chemicals in painting materials were variable significantly, and the hazards were changed. These facts should be considered 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hazards.

  • PDF

드릴쉽 건조 중 문풀 구조 수정 작업 및 구조적 안정성 검토 (Repair Procedure and Structural Strength Analysis to Damage of Moon-Pool Structure for Drillship During Construction)

  • 유인상;손상용;백승중;최용락;유해근;윤기정
    • 대한조선학회 특별논문집
    • /
    • 대한조선학회 2011년도 특별논문집
    • /
    • pp.12-16
    • /
    • 2011
  • During the shipbuilding construction, the repair works will be occurred by various reasons such as the natural disaster, mistakes of engineers or workers, defect of material, and so on. The one of the engineer's responsibilities is to design considering every possibility and to prevent the repair works due to the mistakes during construction stages, but actually it is very difficult and impossible to avoid every mistake. However, it is also the responsibility of engineers to find the best solution for the unavoidable mistakes which is to maintain the capacity of vessel and guarantee the safety for the repair work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chedules and economic cost. In this paper, it will be introduced the brief of repair works to the structural damage of the moon-pool structure in drillship which is built in our shipyar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strength, the fatigu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guide of Classification society. Furthermore, the modifications of structure design and welding procedure have been applied to avoid the stress concentration in the moon-pool structure.

  • PDF

시나리오 기반 조선 실행계획 평가 향상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패널라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Design and Development of Scenario-Based Simulation System to Improve Shipbuilding Execution Scheduling Assessment -A Case Study on Panel Line-)

  • 백명기;김영민;황인혁;이광국;류철호;신종계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11-223
    • /
    • 2013
  • Today's ever-increasingly competitive shipbuilding market makes it essential for a shipbuilding company to have more efficient production processes and higher productivity as well as better design ability to obtain its competitiveness. A well-established production execution schedule plays an indispensable role to achieve this goal. Most shipbuilding companies carry out an evaluation on their mid-term plan once it is established. However, no evaluation activity exists for a production execution schedule, because practically all the companies depend on the field workers for the production execution scheduling. In this study, a prototype of a ship production execution schedule evaluation system is developed based on the component based design (CBD) methodology. This system enables one to make a production execution schedule that reflects up-to-date shipyard situation and to validate whether the schedule is feasible or not by running a production simula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Users can also make use of the system as a decision supporting tool that compares several different execution schedules and evaluates which one is the best execution schedule.

안벽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of Quay Process Monitoring System)

  • 김호경;고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26-431
    • /
    • 2016
  • 근래 조선소의 해양 프로젝트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 안전 환경과 공정 모니터링에 대한 요구 사항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주요 조선소에서는 IT 기술을 접목하여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작업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조선소의 안벽 공정은 진수 후 안벽에 다수의 선박을 계류하고 선박 내부에서 의장 시스템 등의 마무리 공사 위주로 진행되며, 동시에 1,000여명 이상이 투입되어 진행되므로 인원의 관리와 안전 환경의 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안벽에서의 안전 작업을 위한 작업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공정 진행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초기 투자비와 유지 운영비를 고려하여 6가지 구성 요소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조선소 현장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Wi-Fi와 LoRa 통신을 혼용하였고 현장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기초 실험을 통해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안벽에 계류된 선박의 작업에 투입된 인원 현황, 작업 구역별 안전 현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험 상황 발생 시 단계별 알람을 발생하여 신속한 대피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명 손실 및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용접 작업장 통신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블록매체통신시스템 (Block Media Communic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in Welding Workplaces)

  • 김현식;강석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556-56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선박 용접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에 전력선통신 기술을 접목하고 금속블록을 통신매체로 사용하는 블록매체통신시스템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디지털 피더와 금속블록을 지지하는 핀지그에 유도성 커플러를 설치하고, 피더에 연결된 용접건에서 발생되는 전류에 정보신호를 더하여 금속블록에 인가함으로써 작업이 시작되면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상황실 서버에 실시간 전송한다. 현장시험 결과, 제시된 블록매체통신시스템의 송신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상황실 서버컴퓨터에 정확하게 수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시된 시스템은 기존 용접공정에 대한 변경 없이 구축이 가능하므로 향후 조선소 스마트 팩토리화를 통한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자파 차폐 환경이나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므로 산업재해 예방효과도 클 것으로 사료된다.

무선 통신 기반 조선소 내 HSE 및 생산정보 관리 향상을 위한 작업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or Improving HSE and Prod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Within a Shipyar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 심천식;염재선;김강호;정다슬;김환석;김동건;이동현;조예린;김병화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0권5호
    • /
    • pp.367-374
    • /
    • 2023
  •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ing, countries worldwide are developing technologies to digitize and automate various industrial sectors. Building smart factories not only reduces costs through improved process productivity but also allows for preemptive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risk factors through the practice of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HSE) management, thereby reducing industrial accident risks. In this study, we visualized pressure, temperature, power, and wind speed data measured in real-time via a monitoring GUI, enabling field managers and workers to easily access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duct economic analysis on per-unit basis, based on the digitization of production management elements and the tracking of required resources. By implementing HSE in shipyards, potential risk factors can be improved, and gas and electrical leaks can be identified, which are expected to reduce production cost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법을 이용한 업무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설문지 개발 (Developmen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Questionnaire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 권호장;주영수;조수헌;강대희;성주헌;최성우;최재욱;김재영;김돈규;김재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3호
    • /
    • pp.361-373
    • /
    • 1999
  • ROC곡선의 AUC는 측전도구의 기준 타당도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화된 지표다. 본 연구는 ROC분석법을 이용하여 현행의 근로자건강진단에서 업무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고위험군을 변별하는 표준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하는 선박 설계업 종사자 89명, 전화번호 안내원 113명, 일반 직업 여성 79명, 주부 89명 등 총 370명의 일차 연구대상군에 대한 재활의 학과 전문의의 최종 진단결과를 기준으로 1996년에 개발된 '근로자의 신체 증상에 관한 설문지'의 응답결과를 비교하였다.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이 높은 문항조합을 선정하고 문항별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해 로짓회귀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문항조합 및 가중치 산출방법이 서로 다른 4가지 설문모형에 따른 AUC를 비교 하였다. 또한, 국내 모 자동차조립공장 근로자 225명의 설문결과와 산업의학 전문의의 진단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4가지 설문모형의 AUC 재현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으나 문항수를 줄여도 문항별 응답수준별 가중치를 부여하면 AUC가 일관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증상문항 4개와 신체부위문항 7개를 통합한 11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모형이 변별력, 재현도, 편의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기준으로 새로운 업무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설문지를 설계할 수 있었다. 문항수가 적으면서도 타당도는 높은 설문지를 개발하고, 상대적인 비교평가에 쓰일 수 있는 정량적 가중치를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주요성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의 사이의 진단기준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점, 다양한 인구집단에 적용할만한 절대적인 참고치를 제시하지 못한 점 등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측정 도구의 정량적 타당도 검증을 통한 질병 감시용 도구 개발'이라는 본 연구의 기본 취지 및 접근방법은 향후 조직적인 질병 예방활동에 활용될 여지가 있을 것이다.

  • PDF

도장 부서 남성 근로자들의 피부 질환 (Skin diseases of male workers in painting workplace)

  • 박재범;이경종;장재연;정호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830-839
    • /
    • 1997
  • 직업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작업 공정의 하나인 도장작업자들의 피부 질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 조선업체 도장 부서의 남자 근로자 379명을 폭로군으로, 같은 회사 비도장부서에서 근무하고 유기용제를 취급한 경력이 없는 근로자 151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부과적 진찰 결과 도장부서 근로자들이 이환되어 있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은 족부 백선으로 폭로군의 유병률은 48.0%였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이환될 비차비가 3.18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접촉성 피부염과 한포진의 유병률도 각각 11.9%, 11.9%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질병에 이환될 비차비가 4.95, 6.64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외에도 비특이적 습진, 자극성 피부염, 모낭염, 두드러기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이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접촉 피부염 소견을 보이는 폭로군 중 71.1%가 피부 증상이 휴일이나 휴가시에 호전된다고 응답하였고, 68.9%가 옷이나 보호구에 가려지지 않는 노출부위에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고 응답하여 접촉 피부염이 작업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근로자들의 보호구 착용률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지만 보호구 착용과 피부질환과는 연관성이 없어서 보호구 착용이 피부질환의 예방에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접촉 피부염, 한포진, 족부 백선의 유병률을 수행직무별로 스프레이군, 터치업군, 혼합군, 전처리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피부 질환의 위험도는 수행직무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도장 부서 근무 년수에 따른 비교에서도 근무 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이지 않았는데 근무 기간에 길어질수록 피부 저항이 증가되며, 피부반응이 둔해지며, 숙련된 작업으로 접촉물질에 대한 노출이 감소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조선업체 도장부서 근로자들에게서 접촉 피부염, 한포진, 족부 백선 등 작업과 연관된 질병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도장 부서 근로자들의 피부 병변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