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f-life

검색결과 1,527건 처리시간 0.027초

식품첨가제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Food Addi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37-943
    • /
    • 1996
  •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최근 식품 보존제로 주목을 받고있는 chitosan,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를 첨가하여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 중 pH는 숙성 초기에 감소하였다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pH 증가를 억제하였다. 젖산생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젖산 생성을 저해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일에 일정수준유지 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후 증가하여 숙성 15일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sykeeper첨가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VBN 및 TMA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 명란젓의 생성량이 제일 낮았으며 그 다음이 glucono $\delta-lactone이었다.$ Sykeeper 는 숙성 초기 단계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미생물의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 첨가는 저염명란젓의 shelf-life를 각각 2일 및 5일 정도 연장하였다.

  • PDF

다임 추출물로 마리네이드한 염장고등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Marinade Mackerel with Thyme Extract)

  • 김일호;김지응;강재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53-761
    • /
    • 2012
  • Although the mackerel is an excellent food, there are disadvantages of its own smell and its shelf-life. S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quality assessment, shelf-life and acceptability of mackerel marina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thyme extract through the salinity, pH, texture, change of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for reducing the smell of it and improving the shelf-life and acceptability of it with the thyme of various physiologic activities. The salinity of mackerel marina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thyme was a lower 2% than that of the existing salted mackerel, 5%, when producing the salted mackerel in the experimental method of this study, reducing the intake of salt. The shelf life of the existing salted mackerel was up to 4 weeks, while that of the salted mackerel marinated with thyme extract was up to 5 weeks. The change in pH during storage showed that the salted mackerel marinated with thyme extract after 5 weeks were within the initial decomposition of dark-fleshed fishes, pH 6.2-6.4, which the shelf life was extended due to the preservative effect of antioxidant content. The acceptability test showed that T 1 marinated with 1% thyme extract was ideal in all flavor, taste and general acceptability.

플라스틱 필름 포장 김의 품질 변화 simulation과 shelf-life 예측 (Simulation of Quality Changes and Prediction of Shelf-life in Dried Laver Packaged with Plastic Films)

  • 고하영;박형우;강통삼;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63-470
    • /
    • 1987
  • 건조 식품의 적절한 포장 기법을 확립하고 포장된 제품의 품질 변화를 신속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건조 김을 모델 식품으로 하여 저장 온 습도 조건 및 포장재별로 수분활성도 및 품질 지표 물질로서 chlorophyll a의 변화를 simulation하고 shelf-life를 예측하였다. 수분활성도와 chlorophyll a의 반응 상수 사이의 수학적인 변화 모델을 $10^{\circ}C,\;25^{\circ}C$$40^{\circ}C$에서 설정하였다. 수분 함량. 저장 온 습도 및 포장재와 같은 저장 조건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품의 수분활성도 및 품질 지표 물질인 chlorophyll a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컴퓨터 simulation 방법이 개발되었다. simulation에 의해 예측된 품질 변화는 실측치와 잘 일치하였다. 수분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호도 및 chlorophyll a는 감소하였으며, 기호도와 chlorophyll a와의 상관관계도 매우 높아 상관계수는 0.991이었다. 관능검사에 의해 측정된 저장 임계 수분활성도는 약 0.55이었다. 여러 저장 조건에서 플라스틱 필름 포장된 건조 김의 shelf-life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어묵의 유통기한 예측모델의 개발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the Shelf-life of Fish Cake)

  • 강지훈;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32-836
    • /
    • 2013
  • 어묵의 유통기한을 예측하기 위해서 어묵을 30, 35, $40^{\circ}C$에서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총 호기성균 수를 측정하였다.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구하였고, 각 parameter의 온도 의존성에 대한 식을 통해 유통기한에 관한 예측모델 식을 얻었다. 예측모델 식으로부터 계산된 유통기한은 0, 4, $10^{\circ}C$에서 각각 6.9, 5.5, 3.8일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예측모델 식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A_f$$B_f$ 값을 산출한 결과, 각각 1.008, 1.003으로 나타나 예측모델식의 적합성이 뛰어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얻어진 유통기한예측 모델 식은 어묵의 유통기한 설정의 기초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 study on shelf life of prepackaged retail-ready Korean native black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slices during refrigerated display

  • Hoa, Van-Ba;Seol, Kuk-Hwan;Kang, Sun-Moon;Kim, Yun-Seok;Cho, Soo-Hyu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2012-2022
    • /
    • 2021
  • Objective: In most retail centers, primal pork cuts for sale are usually prepared into retail-ready slices and overwrapped with air-permeable plastic film. Also, meat of Korean native black pig (KNP) is reputed for its superior quality, however, its shelf life during retail display has not been studi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lf life of prepackaged retail-ready KNP belly and shoulder butt slices during refrigerated display. Methods: Bellies and shoulder butt obtained at 24 h post-mortem from finishing KNP were used. Each belly or shoulder butt was manually cut into 1.5 cm-thick slices. The slices in each cut type were randomly taken and placed on white foam tray (2 slices/tray) overwrapped with polyvinyl chloride film. The retail-ready packages were then placed in a retail display cabinet at 4℃. Shelf life and sensory quality of the samples were evaluated on day 1, 3, 6, 9, 12, and 15 of display. Results: The shoulder butt reached the upper limit (20 mg/100 g) of volatile basic nitrogen for fresh meat after 9 days while, the belly remained within this limit throughout the display time (15 days). Both the cuts reached a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 of above 0.5 mg malondialdehyde/kg after 9 days. The a* (redness) values remained unchanged during first 9 days in both cuts (p>0.05). After 9 days, off-flavor was not found in either cut, but higher off-flavor intensity was found in shoulder butt after 12 days. The shoulder butt was unacceptable for overall eating quality after 12 days while, belly still was acceptable after 12 days. Conclusion: The belly showed a longer shelf life compared to the shoulder butt, and a shelf life of 9 and 12 days is recommended for the prepackaged retail-ready KNP shoulder butt and belly slices, respectively.

가속노화시험을 이용한 단기추진제의 저장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lf-life Prediction of the Single Base Propellants Using Accelerated Aging Test)

  • 이종찬;윤근식;김용화;조기홍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5-52
    • /
    • 2007
  • The danger of self-ignition of single base propellants will increase with time. Therefore, a good prediction of the safe storage tim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maining shelf-life of the propellants, the content of stabilizer is determined. The propellants stored under normal storage conditions about 10 to 18 years were investigated and accelerated aging test was carried out by storing propellant sample at higher temperature. Finally, we analyzed the results by various methods in order to show the best way to predict the realistic shelf-life. The safe storage life of the propellants will be 24 years, at least 15 years. In case of applying Arrhenius's law, using the reaction rate constant at 28$^{\circ}C$ to 30$^{\circ}C$ to predict the shelf-life by accelerated aging test is reasonable for a good prediction.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즉석 우럭(Sebastes schlegeli) 미역국 동결건조 블록의 품질 특성 변화 및 유통기한 추정 (Effects of Different Storing Temperature and Period on Quality and Shelf-life of Freeze Dried-block Type of Convenience Food fo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Seaweed Soup)

  • 정성목;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25-430
    • /
    • 202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shelf-life of a freeze dried-block type of convenience food fo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seaweed soup product stored at different storing temperatures (25, 35, and 45℃) for 5 months. The polyunsaturated:saturated fatty acid ratio of the product stored at 25℃ was higher than that of products stored at 35℃ and 45℃ for 5 months. The colorimetric assessment indicated a noticeable decrease in the brightness of product color after 5months of storage at 35℃ and 45℃. Increased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negatively affected the product color. The products stored at 35℃ and/or 45℃ for more than 3 months tended to be more yellowish-red in color than those stored at 25℃ for shorter periods. No disease-causing microorganisms, including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posing health hazards to the human, were detected on food safety evaluation, regardless of storage conditions. Based on food visual shelf life simulator the shelf life of the rockfish seaweed soup was estimated approximately 22 months, considering the data from yellowness the safety factor of 0.7.

식품회사를 위한 선반수명분석 소프트웨어 (A Shelf Life Analysis Software for Food Industry)

  • 장경;이진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26
    • /
    • 2002
  • In this paper a software program is given for food product life (shelf life) estimation. There are many modules of related opera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food industry so that users can easily use and understand the software, and we make the related data referenced In data base. In food industry acceleration tests depend on food deterioration differential equations. Based on such equations, etc, this paper suggests a shelf life estimation software program.

Sulfite 염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Sulfite Salt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Soused Roe of Alaska Pollack))

  • 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40-946
    • /
    • 1996
  • 저염 명란젓에 sulfite 염을 첨가하여 숙성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여 저염 젓갈의 shelf-life에 미치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isulfite 및 metasulfite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pH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가 그 후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젖산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아미노태 질소량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etasulfite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Bisulfite와 metasulfite의 첨가는 숙성 후기의 VBN 및 T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숙성 초기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다. Bisulfite 및 metasulfite는 fungi를 포함한 미생물의 성장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Sulfite 염 첨가시의 추정되는 shelf-life는 대조군, sulfate, bisulfite및 metasulfite인 경우 각각 16, 14, 20 및 24일이었다.

  • PDF

냉장 닭고기의 저장성 연장에 관한 연구 III. 포장방법이 닭고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Extending the Shelf-life of Refrigerated Chicken III . Effects of packaging method on shelf-life of refrigerated chicken)

  • 유익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209
    • /
    • 1990
  • 닭고기를 $4^{\circ}C$에서 냉장 보관할 경우 포장방법이 닭고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닭고기의 저장성은 저장 중 닭고기의 표면 미생물 및 이화학적 품질을 조사함으로서 결정하였으며 사용된 닭고기는 포장하기 전에 7.5% potassium sorbate용액에 미리 침지한 후 일반포장, 진공포장, 혼합가스포장 등의 포장을 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포장 닭고기의 저장성은 일반포장육의 경우에는 $19\pm3$일간, 진공포장육의 경우에는 $30\pm5$일간, 10% $CO_2$가스와 90% $N_2$가스 조성의 혼합가스 포장육의 경우에는 $26\pm4$일간, 20% $CO_2$ 가스와 80% $N_2$가스 조성의 혼합가스 포장육의 경우에는 $30\pm5$일간으로 나타나 진공포장육과 20% $CO_2$가스와 80% $N_2$ 가스 조성의 혼합가스 포장육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진공포장의 경우에는 진공시의 압력차로 육즙이 침출 되어 포장지 내부에 고여 있는 등 혼합가스 포장에 비해 관능적으로 나빠 20% $CO_2$가스와 80% $N_2$ 가스 조성의 혼합가스 포장이 기호성과 저장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한 포장방법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