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wave velocity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31초

초음파 음속측정에 의한 응력평가에 관한 연구 (Stress Evaluation by Measuring Ultrasonic Velocity)

  • 이범성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2호통권95호
    • /
    • pp.138-144
    • /
    • 1999
  • Longitudinal wave and shear wave velocity changes of PMMA Polymer meterial under the the unidirection load were measured. The Third-order elastic modulus and acousto-elastic modulus of PMMA are obtained. The theoretical and experemental values of the velocity change of each wave by stress are compared each other and the validity of theoretical expression is examinated.

  • PDF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HWAW 방법을 위한 자동화 역산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Inversion Method for HWAW Method Using Genetic Algorithm)

  • 박형춘;황혜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8호
    • /
    • pp.55-63
    • /
    • 2012
  • 깊이에 따른 지반의 전단파 속도(또는 전단탄성계수) 분포는 일반적인 지반 해석 설계 또는 지진해석과 같은 다양한 지반공학분야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물성치이다. 이러한 지반의 전단파속도 주상도는 탄성파 탐사를 통해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탄성파 탐사 방법이 연구개발 되어 있다. 표면파 탐사법은 모든 실험이 지표면에서 이루어지는 탄성파 탐사법들 중의 하나로서 현장 실험, 파장(또는 주파수)에 따른 표면 계측파의 위상속도 곡선인 분산곡선의 결정, 역산을 통한 대상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의 결정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파 실험을 위한 자동화된 역산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을 가장 최근에 개발된 표면파 탐사법들 중 하나인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s) 방법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새로운 오차함수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역산에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수치모의 실험과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현장 적용성 및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 무한 복합체의 Rayleigh 표면파에 대한 이방성비의 영향 (Effect of Anisotropic Ratio for Rayleigh Wave of a Half-Infinite Composite Material)

  • 백운철;황재석;송용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3호
    • /
    • pp.502-509
    • /
    • 2001
  • In this paper, when stress waves are propagated along the reinforced direction of the composite, the characteristic equation of Rayleigh wave is deriv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elocities of stress waves and Rayleigh wave are studied for anisotropic ratios(E(sub)11/E(sub)12 or E(sub)22/E(sub)11). The increments of anisotropic ratios is made by using known material properties and being constant of basic properties. When the anisotropic ratios are increased, Rayleigh wave velocities to the shear wave velocities are almost equal to 1 with any anisotropic ratios. Rayleigh wave velocities to the longitudinal wave velocities and Shear wave velocities ratio to the longitudinal wave velocities are almost identical each other, they are between 0.12 and 0.21. When the anisotropic ration is very high, that is, E(sub)11/E(sub)22=46.88, Rayleigh wave velocities and the shear wave velocities are almost constant with Poissons ratio, longitudinal wave velocities are very slowl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s of Poissons ratios. When E(sub)11(elastic modulus of the reinforced direction)and ν(sub)12 are constant, Rayleigh wave velocities and the shear wave velocities are steeply decreased with the increments of anisotropic ratios and the velocities of longitudinal wave are almost constant with them. When E(sub)22(elastic modulus of the normal direction to the fiber) and ν(sub)12 are constant, Rayeigh wave velocities is slowl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s of anisotropic ratios, the shear wave velocities are almost constant with them, the longitudinal wave velocities are steeply increased with them.

기존 댐 코어죤의 전단파속도 산정기법 비교 연구 (Study on Comparison of Methods for Estim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Core Zone of Existing Dam)

  • 하익수;오병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33-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Y댐에 대하여 댐 축조재료 중 코어죤의 최대전단탄성계수 산정을 위한 합리적인 전단파속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시추공을 이용한 크로스홀시험과 다운홀시험을 수행하였고, 지표탐사인 MASW(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 다중수의 수진기를 이용한 주파수영역 표면파해석)와 반사법 탄성파탐사를 수행하였다. 현장시험으로부터 코어죤의 심도별 전단파속도를 산정하고 그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시험 결과와 Sawada의 경험적 제안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댐 코어죤의 심도별 전단파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수행된 4종류의 현장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시험결과와 경험적 제안식을 비교하여 경험식의 적정성을 판단하고, 기존댐 코어죤의 심도별 전단파속도를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시험결과, 측정심도 내(18m 이내)에서 다운홀시험, MASW, 반사법탐사에 의한 코어죤의 심도별 전단파속도 산출 결과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MASW와 반사법탐사의 경우에는 심도 30m까지 그 산출 결과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댐 로어죤의 심도별 전단파속도를 산출하고자 할 때 운영 중인 댐 코어죤에 시추공을 형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사안임을 감안한다면 MASW나 반사법탄성파탐사와 같은 지표탐사에 의한 전단파속도 산정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일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조사가 여의치 않거나 예비조사의 경우에는 기존의 방법과 같이 Sawada의 경험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경험식을 이용할 경우 Sawada의 제안식 중 하한값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공발파진동실험을 이용한 흙댐 축조재료의 전단파속도 산정 (Estimation of Shear Wave Velocity of Earth Dam Materials Using Artificial Blasting Vibration Test)

  • 하익수;김남룡;임정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619-62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 발파진동실험을 이용하여 흙댐 축조재료의 전단파속도를 추정하고 산정 방법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운영 중인 성덕댐에 대하여 국내 최초로 실대규모 근접 발파진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장약량과 발파 시추공심도를 4가지 유형으로 달리한 발파진동을 유발시키고, 각 유형별 발파 시에 폭원에 인접한 기반암노두와 댐 정상부에서 가속도를 각각 계측하였다. 발파진동실험으로부터 댐 정상부에서 얻어진 계측기록을 주파수 분석하여 대상댐의 고유진동수를 산정하고, 계측된 가속도기록으로 산정한 고유진동수와 기반암에서 계측한 발파파 가속도를 입력하중으로 한 반복적인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계산한 고유진동수를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흙댐 성토재료의 심도별 전단파속도를 추정하였다. 산정된 대상댐 성토재료의 전단파속도는 발파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산정함을 확인하였고, 기존의 경험적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그 실효성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지진계가 설치되지 않아 실지진 계측기록을 이용할 수 없는 중소규모 댐의 경우, 인접발파에 따른 발파진동계측기록에 대한 분석으로도 댐 축조재료의 전단파속도를 실효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WAW방법을 이용한 기존 건물 내진 보강을 위한 건물 하부지반 전단파 속도 주상도 결정 (Determination of Shear Wave Velocity Profile under Existing Building for Site Response Analysis Using HWAW Method)

  • 박형춘;황혜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5-23
    • /
    • 2017
  • 기존 구조물의 내진 보강을 위해서는 구조물이 경험하게 될 지진 하중의 결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지진 하중의 크기는 구조물 하부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기존 건물 하부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 시험이 가능하며, 배경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하부지반 물성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시험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HWAW방법을 구조물 하부지반 전단파 속도 주상도 평가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수치 모의 실험과 현장 적용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 신항 점토의 전단파 특성 연구: 전단파 속도 계수 추정 사례 (Characterization of Shear Waves in Busan New Port Clay: Estimation of the Coefficients of Shear Wave Velocity)

  • 이종섭;김영석;홍승서;윤형구
    • 지질공학
    • /
    • 제23권4호
    • /
    • pp.503-510
    • /
    • 2013
  • 전단파 속도는 그 자체로 지층의 구조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관관계 식들을 활용하면 타 공학적인 지표로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파 속도의 활용성에 발맞춰 부산 점토의 전단파 속도 관련 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실내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내 실험은 10 m, 12 m, 15 m, 20 m, 22 m, 25 m, 30 m 그리고 31 m에서 채취한 시료를 활용하였으며 압밀실험으로 유효응력과 전단파 속도 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그 관계는 선행적으로 제시된 연구와 유사하게 비선형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전단파 속도에 활용 가능한 계수 값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상수 값은 일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상수 간의 관계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계수 값들은 부산 점토의 참고 값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전단파 속도를 이용하여 공학적인 지표 전환시 다양하게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표준관입시험을 이용한 업홀시험에서 전단파 속도 주상도의 도출 (Evaluation of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by Performing Uphole Test Using SPT)

  • 김동수;방은석;서원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35-1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획득하기 위한 현장 시험법으로 표준관입시험 샘플러를 가진원으로 이용한 업홀 시험기법을 연구하였다. 제안된 업홀 시험은 지표면에 여러 개의 속도계를 시추 장비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한 줄로 배치를 하고 표준관입시험의 시료 채취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원의 신호를 계측하여 지반의 전단파속도 주상도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여러 선행 실험을 통하여 확립된 업홀 시험 방법 및 결과 분석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진동원과 감지기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지반에서 진행되는 전단파의 진행 경로는 지반의 강성 변화에 근거한 굴절 경로를 적용하였다. 국내 3개 시힘 부지에서 수행한 업홀 시힘결과를 동일 부지에서 행한 다운홀, SASW시험 및 SPT-N치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제안된 업홀 시험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SH파 초동주시 역산과 표면파 분산곡선 역산으로부터 구한 횡파속도 단면 비교 (Comparison of Shear-wave Velocity Sections from Inverting SH-wave Traveltimes of First Arrivals and Surface Wave Dispersion Curves)

  • 이창민;김기영
    • 지구물리
    • /
    • 제8권2호
    • /
    • pp.67-74
    • /
    • 2005
  • SH파 굴절법 토모그래피와 표면파 분산자료 역산을 통하여 2차원 S파 속도단면을 각각 구하였고, 비교 목적으로 P파 속도단면도 함께 구하였다. P파와 표면파는 지표에 수직하게 타격하여 발생시켰으며, 100 Hz와 4.5 Hz 수직지오폰 24개로 각각 수신하였다. SH파는 50 kg 나무원목의 좌우를 타격하여 발생시켰고, 8 Hz 수평 지오폰으로 수신하였으며, 좌측타격에서 우측타격을 빼주어 SH파 신호를 강화하였다. 초동주시 토모그램과 표면파 분산곡선으로부터 역산과정을 거쳐서 구한 S파 속도단면을 비교한 결과, 두 단면의 전체적인 양상은 서로 비슷하지만, 표면파 역산으로 구한 S파 속도단면이 전반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잡음에 취약한 SH파는 P파 및 PS 변환파 도달 이후에 기록되어 초동선택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균질한 수평모델을 가정하는 표면파의 분산곡선 역산은 측방 변화가 심한 곳에서 지하구조를 정확히 밝히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인다.

  • PDF

자유단 공시체에 있어서 압축파, 전단파, 휨파의 공진특성 (Resonances of Unconstrained Compressive, Shear and Flexural Waves in Free-Free Cylinder Specimens)

  • 박병선;조성호;이상헌;강태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82-589
    • /
    • 2006
  • Shear wane velocity is important property for grasp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material. It is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non-destructive testings of structures, seismic analysis of geotechnical structures and maintenance of concrete structure, and etc. Usually, shear wave velocities of rock cores and concrete cylinders are determined by free-free resonance tests, Shear wave measurement in free-free resonance tests is not straightforward, as compared with rod wave and flexural wane measurements. In This study, a new technique using resonance features of flexural and shear waves were proposed in which the nodal points for the fundamental mode of flexural waves were employed to generate and measure the shear waves with the flexural waves minimized. The real measurements for aluminum cylinders prov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n addition to the proposed algorithm, the effects of material properties on elastic-wave velocities in resonance measurements were also studied. In summary, a new framework of the resonance measurements for shear-wave velocity determina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h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