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block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8초

볼트이음방식의 블록전단파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Bolted Connection Type on the Block Shear Failure)

  • 이진옥;박경현;문지호;이학은;임남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66-5571
    • /
    • 2012
  • 블록전단파괴는 인장부재의 한계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강구조물의 인장부재 또는 연결부 설계 시 주의를 요한다. 많은 연구 결과와 설계기준에서는 블록전단파괴에 대한 볼트 이음 방식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볼트 이음 방식(지압이음과 마찰이음)이 블록전단파괴의 파괴모드와 파괴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인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의 분석으로부터 설계기준, 지압이음, 마찰이음에 따른 파괴모드의 차이를 제시하였으며 마찰이음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한 블록전단파괴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현장직접전단시험기의 개발 및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In Situ Direct Shear Test Apparatus and Its Field Application)

  • 김용필;이영균;이성국;엄정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3호
    • /
    • pp.181-191
    • /
    • 2011
  • 단층대, 파쇄대 또는 풍화대가 발달한 암반은 실내시험을 위한 시료 성형이 어렵다. 기존에 현장에서 수행된 직접전단시험은 갱도 내벽의 수직반력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현장직접전단시험기는 터널내부 또는 노천의 현장상태 암반에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장직접전단시험기의 주요 구성은 전단하중 반력판 및 하중전달판, 유압실린더 시스템, 로드셀, 다단계 전단상자, 전단상자 고정장치, 수직하중 반력판 및 하중전달판, 마찰저항 감소용 롤러 등이다. 공시체는 각주형의 블록으로 최대 크기는 $400{\times}400{\times}460$ mm이며 현장에서 형성하는 방법 및 절차가 제시되었다. 개발된 시험기의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지질공학적 조사 분석 연구를 통하여 성능시험을 위한 공시체 형성에 적합한 위치가 선정되었다. 현장적용 결과 개발된 현장용 시험기는 암석의 강도 및 변형과 관련하여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f the shear failure process of masonry by means of a meso-scopic mechanical modeling approach

  • Wang, Shuhong;Tang, Chun'an;Jia, Pe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4권2호
    • /
    • pp.181-194
    • /
    • 2006
  • The masonry is a complex heterogeneous material and its shear deformation and fracture is associated with very complicated progressive failures in masonry structure, and is investigated in this paper using a mesoscopic mechanical modelling,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of masonry material, based on the damage mechanics and elastic-brittle theory, the newly developed Material Failure Process Analysis (MFPA) system was brought out to simulate the cracking process of masonry, which was considered as a three-phase composite of the block phase, the mortar phase and the block-mortar interfaces. The crack propagation processes simulated with this model shows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experimental observations by other researcher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shear fracture of masonry observed at the macroscopic level is predominantly caused by tensile damage at the mesoscopic level. Some brittle materials are so weak in tension relative to shear that tensile rather than shear fractures are generated in pure shear loading.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접합부의 모재 블록전단파단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Block Shear Fracture of Base Metal in Ferritic Stainless Steel Welded Connection)

  • 김태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303-312
    • /
    • 2016
  • 최근에 스테인리스강의 우수한 연성과 내식성 등의 재료적 특성으로 건축물의 구조용 강재로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오고 있다. 특히, 니켈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재료비 측면에서 니켈을 함유하고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비해 저렴하고 탄소강에 비해서는 월등한 내식성능과 구조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사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접합부에 있어 용착금속이 아닌 모재 블록전단파단의 구조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해 용접길이와 용접방법(아크, 티그)을 변수로 하여 단순인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용접접합부의 블록전단 거동은 용접에 의한 삼축응력효과 때문에 볼트접합부의 블록전단 거동과 상이하며, 현행설계기준식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티그용접 접합부의 변형능력과 최대내력이 아크용접 접합부보다 높게 나타났고, 현행기준식과 기존연구자에 의해 제시된 내력식에 의한 예측내력과 실험결과 최대내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타설 경계면을 고려한 슬라이딩 궤도 횡방향 지지 콘크리트 블록의 전단 내하력 평가 (Evaluation of Shear Load Carrying Capacity of Lateral Supporting Concrete Block for Sliding Slab Track Considering Construction Joint)

  • 이성철;장승엽;이경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55-61
    • /
    • 2017
  • 최근 콘크리트 궤도 슬래브 하면과 교량 바닥판 사이에 저마찰 슬라이드층을 형성하는 궤도 시스템인 슬라이딩 궤도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라이딩 궤도에서 열차 주행에 따른 횡방향 하중을 저항하기 위해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 콘크리트 블록의 전단 내하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횡방향 지지 콘크리트 블록의 전단 내하력 산정을 위해 타설경계면에서의 콘크리트 마찰 및 철근의 다월 거동을 고려한 산정 기법을 개발하다. 제안된 산정 기법은 기존의 실험에서 측정된 전단 내하력을 13~23% 정도 보수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균열면 골재 맞물림 효과를 무시한 것에 따른 것으로, 현장에서의 타설경계면 상태가 불확실한 것을 고려할 때 횡방향 지지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안전측 설계를 위해 제안된 산정 기법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안된 전단 내하력 산정 기법을 토대로 횡방향 지지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설계 방안을 마련하였다.

Investigation on Ultimate Strength of STS304L Stainless Steel Welded Connection with Base Metal Fractur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Lee, HooChang;Kim, TaeSoo;Hwang, BoKyung;Cho, TaeJun
    • 국제강구조저널
    • /
    • 제18권4호
    • /
    • pp.1139-1152
    • /
    • 2018
  • Many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tainless steels as structural materials in buildings and infra-structures have been performed thanks to superior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resistance, fire resistance and aesthetic appe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to estimate the ultimate strength and fracture mode of the fillet-welded connections of cold-form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S304L) with better intergranula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at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S304 commonly used has carried out by authors. Specimens were fabricated to fail by base metal fracture not weld metal fracture with main variables of weld lengths according to loading direction. All specimens showed a block shear fracture mode.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ultimate behaviors of welded connection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est results. Since the block shear behavior of welded connection due to stress triaxiality and shear-lag effects is different from that of bolted connection, stress and strain distributions in the critical path of tensile and shear fracture section were investigated. Test and analysis strengths were compared with those by current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ISC, EC3 and existing researcher's proposed equations. In addition, through parametric analysis with extended variables, the conditions of end distance and longitudinal weld length for block shear fracture and tensile fracture were suggested.

차체 구조용 에폭시 접착제의 접합강도에 미치는 나노 기능성 블록공중합체 첨가의 영향 (The Effect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Addition on the Joint Strength of Structural Epoxy Adhesive for Car Body Assembly)

  • 이혜림;이소정;임창용;서종덕;김목순;김준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3권4호
    • /
    • pp.44-49
    • /
    • 2015
  • The structural epoxy adhesive used in car body assembly needs the highest level of joint mechanical strength under lap shear, T-peel and impact peel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addition on the impact peel strength of epoxy adhesive was investigated. DSC analysi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did not affect the curing reaction of epoxy adhesive. From single lap shear test, it was found out that the addition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slightly decreased the cohesive strength of cured adhesive layer. The addition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showed beneficial effect on T-peel strength by changing the adhesive failure mode to the mixed mode. However, the addition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just decreased the room temperature impact peel strength. It was considered that the addition of nano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 could have effect on disturbing the crack propagation only for the case of slow strain rate.

Evaluation of Bonding Strength of Larch Cross-Laminated Timber

  • Song, Yo-Jin;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607-615
    • /
    • 2016
  • The delamination along the annual ring on the cross-section of laminae and the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tangential angle between laminae were evaluated for the production of 3-ply cross-laminated timber (CLT) using domestic larch. Since there is no standard for CLT in Korea, the production and test of specimens for bonding strength followed the standard procedure of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KS F 3021). The standard specifies to exclude any measurement from the cracks of timbers resulted from drying or knots during delamination test of the glued laminated timbers. However, the failure of cross-sectional tissues along the annual rings was observed near the glue-line of all specimens during the delamination test. Because this phenomenon can generate defects in the CLT that may be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ies after the actual construction, the delamination percentage was measured by including this wood failure. As a result, the delamination percentage of the CLT which had been combined in such a way that the annual rings of outer lamina were directed inward was the lowest, which was around 13%, regardless of the annual ring direction of the middle lamina. On the other hand, the delamination percentage of the CLT which had been combined in such a way that the annual rings of outer lamina were directed outward was the highest, which was around 26%. Furthermore, end-split occurred in the outer lamina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boiling delamination test, which affected the delamination percentage. Therefore, the soaking delamination test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delamination strength of CLT. The block shear strength of larch CLT was $3.9{\pm}0.9$ MPa on average, which was 46% lower than the block shear strength requirement (7.1 MPa) of the standard, but satisfied the criteria of the block shear strength (3.5 MPa) of the European Standard (prEN 16351: 2013).

Ply-Lam CLT의 층재 구성 및 접착제 종류에 따른 블록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ck Shear Strength according to the Layer Composition of and Adhesive Type of Ply-Lam CLT)

  • CHOI, Gyu Woong;YANG, Seung Min;LEE, Hyun Jae;KIM, Jun Ho;CHOI, Kwang Hyeon;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791-8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학목재로 목구조건축에 주로 사용되는 집성재 및 CLT 그리고 Ply-lam CLT의 블록전단시험을 실시하여 강도 및 파괴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Ply-lam CLT의 라미나 및 합판의 수종, 접착제의 종류 및 Layer구성 등 최적생산을 위한 제조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블록전단시험을 통해 집성재, Ply-lam CLT, CLT 순으로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특히, 낙엽송 합판과 낙엽송 라미나의 복합구조로 제조되는 Ply-lam CLT의 전단강도는 집성재 전단강도 기준인 7.1 N/㎟을 통과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집성재, CLT, Ply-lam 접착에 사용된 접착제 종류에 따른 전단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ly-lam CLT의 경우에는 라미나와 합판의 수종에 따라 Ply-lam CLT의 전단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그 결과는 낙엽송 > 남양재 ≒ 육송 합판 순으로 높은 강도를 나타났다. Ply-lam CLT의 최적 구성은 낙엽송 합판과 낙엽송 라미나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접착제는 용도에 따라 PRF, PUR을 선정하여 사용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질재료 유형에 따른 전단강도 파괴 양상 결과 분석을 통하여 집성재는 shear parallel-to-grain, CLT는 rolling shear, Ply-lam CLT는 shear parallel-to-grain과 rolling shear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단강도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rolling shear로 인하여 CLT보다 Ply-lam CLT에서 더 높은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