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 butt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9초

In Vitro Digestion에서 팜핵경화유와 시어버터 혼합 비율에 따른 가수분해율 변화 (Change of Hydrolysis Rate on Hydrogenated Palm Kernel Oil and Shea Butter Blendings Using In Vitro Digestion System)

  • 이현화;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05-1215
    • /
    • 2017
  • 본 실험은 가공식품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식용유지인 hydrogenated palm kernel oil(HPKO)과 대칭형 triacylglycerol(TAG)로 주로 구성된 shea butter 및 두 유지의 blends를 대상으로 가수분해율을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가수분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녹는 온도가 서로 유사한 HPKO와 shea butter의 blending 비율을 다르게 할 경우 in vitro digestion에 의한 가수분해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Shea butter의 complete melting point는 $34.5^{\circ}C$였으며, HPKO는 $39.5^{\circ}C$였다. In vitro digestion 실험 결과 shea butter blending 비율이 높아질수록 가수분해율이 낮아졌으며 2:8, 1:9(HPKO : shea butter) blending 유지는 shea butter와 비슷한 가수분해율을 보였다. HPKO에서 유래된 medium chain triacylglycerol(MCT)로 이뤄진 medium-medium-medium(MMM)은 가수분해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shea butter에서 유래하는 long chain fatty acid로 구성된 saturated-unsaturated-saturated(SUS)나 saturated-saturated-unsaturated(SSU)는 유지의 가수분해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또한, HPKO에서 유래된 lauric acid, myristic acid와 palmitic acid는 TAG 내 위치에 상관없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가수분해율이 높아졌으며, shea butter에서 유래되고 비교적 탄소수가 긴 oleic acid의 경우 분포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유지 내 함량이 많을수록 가수분해율이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stearic acid의 경우에는 sn-1, 3에 위치한 함량에 따라 가수분해가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체 내에서의 소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어떤 유지 특성들이 가수분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언할 수 없다. 그런데도 본 실험에서의 결과는 난 소화성 유지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식품 산업에 이용될 때 영양학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어버터가 함유된 헤어트리트먼트가 탈색 모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ir Treatment with Shea Butter on Bleached Hair)

  • 김효리;성영환;최원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12-219
    • /
    • 2021
  • 본 연구는 시어버터를 처방한 헤어트리트먼트가 탈색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모발 보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어버터의 함량을 0%, 1%, 3%, 5%로 다르게 첨가하여 트리트먼트를 제조하고, 트리트먼트 도포 전후의 모발의 굵기, 아미노산 분석, 모발의 표면 색상 변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모발 표면을 분석하였다. 모발의 굵기는 시어버터를 5%로 처방한 모발에서 굵기가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모발의 아미노산 함량도 시어버터를 5% 처방한 트리트먼트 시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모발의 표면 색상을 비교한 결과, 시어버터를 5% 처방한 트리트먼트를 처리했을 시에 L⁎값과 b⁎값은 낮게 측정이 되었으며, a⁎값은 높게 측정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시어버터를 처방한 트리트먼트 모발의 표면이 탈색 모발에 비해 매끄럽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천연 소재인 시어버터가 탈색으로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는 모발 화장품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rofit efficiency and constraints analysis of shea butter industry: northern region of Ghana

  • Tanko, Mohammed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424-439
    • /
    • 201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profit efficiency and its determining factors, the investment opportunity, and the challenges of shea butter producers in the northern region of Ghana. The methods employed in this research were the Stochastic Profit Frontier (SPF) model, gain-cost and investment return analyses, as well as Kendall's W statistic using primary data collected from 120 purposively-selected respondents. Results from the analysis indicated that profit efficiency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x, household siz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transportation cost, store rent, and price of shea nut with a gain in profit efficiency of 58.5%. The investment analysis demonstrated a net gain per person of $8,077 equivalent to GH₵ 28,270 Ghanaian cedi (GH₵) using 2016 exchange rate (GH₵ 3.5 = $1). Among the challenges identified, the poor quality of shea nuts was the most prioritised challenge with 72.8% agreement among the respon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recommended that proper training and education, as well as improvement in shea nut quality,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the profit efficiency of shea butter producers.

Anti-inflammatory Effect of Shea Butter Extracts in Canine Keratinocytes

  • Lim, Dahye;Bae, Seulgi;Oh, Tae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7-31
    • /
    • 2021
  • Shea butter (Vitellaria paradoxa) is a fat extracted from shea tree nuts and contains relatively high levels of non-glycerides. Triterpenes, the main non-glyceride component, exhibit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tumor,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Shea butter extract (SBE)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skin problems such as burns, eczema, and rash in human medicine,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activity of SBE on canine skin. This study evaluated the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BE in canine keratinocytes. Cytotoxicity of lipopolysaccharide (LPS, 5-50 ng/mL) and SBE (50-200 ㎍/mL) was evaluated using the CCK-8 assay. Non-cytotoxic concentrations of LPS and SBE were administered to canine cell cultures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BE, the levels of IL-1β, IL-8, IL-12, and TNF-α were measured using ELISA kits. The concentration of each cytokine was quantified in control, LPS-treated, LPS + SBE-treated groups. Increased levels of IL-1β, IL-8, and IL-12 were found in LPS-treated groups relative to control groups. LPS + SBE-treated groups showed a lower level of IL-1β, IL-8, and IL-12 than LPS-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E may have application as a topical agent for canine inflammatory skin diseases. However, further in vivo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SBE in dogs.

천연 식물고체지와 팜스테아린 분별유 혼합물의 Solid Fat Index 및 Triacylglycerol 조성 비교 (Comparison of Solid Fat Index and Triacylglycerol Composition of the Blends from Natural Vegetable Fats and Palm Stearin Fraction)

  • 성민혜;홍순택;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38-1446
    • /
    • 2011
  • 팜 스테아린을 아세톤을 이용한 분별을 하여 POO와 POP가 많이 함유된 분별유지(PSL)를 얻었다. 분별을 위한 조건으로는 분별온도 $29.3^{\circ}C$, 아세톤과의 비율 1:5.7(w/v), 분별시간은 24시간이었다. 이후 천연 식물고체지들(sal fat, illipe fat, kokum fat, shea stearin fat, shea butter)과 PSL을 다양한 비율(50:50, 60:40, 65:35, 70:30)로 혼합하여 상용화되고 있는 CBE와 SFI를 비교하였으며, 총 지방산 조성 및 위치별 지방산 조성 분석과 TAG 분자들의 조성과 함량을 알아보았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PSL의 경우 palmitic, oleic 그리고 linole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천연 식물고체지의 경우 대부분 stearic, oleic 그리고 palmitic acid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sal fat, illipe fat 및 kokum fat의 경우 sn-2 위치에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가 90% 이상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G 분자들의 PN값은 46~54 사이에 존재하였다. PSL의 경우 PN 48에서 86.53 are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천연 식물고체지들의 경우 대부분 PN 50과 52에서 주로 TAG 분자들이 존재하였다. 천연 식물고체지와 PSL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대부분의 경우 PSL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SFI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sal fat과 혼합하였을 때, CBE와 유사한 SFI를 나타내었다. Sal fat과 PSL의 blending 혼합물의 경우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PSL의 함량이 낮아질수록 palmi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stearic acid는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자외선차단 크림의 제조: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mulsification of Natural Sunscreen with Green Tea Extract : Optimization Using CCD-RSM)

  • 이승범;줘청량;쉬양;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1권5호
    • /
    • pp.532-5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shea butter, 올리브 유화왁스, 녹차추출물 등을 원료로 유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유화과정의 최적화는 CCD-RS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평균액적크기(MDS), 유화안정도지수(ESI),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등을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녹차추출물의 첨가량 및 유화시간을 설정하였다. CCD-RSM에 의해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자외선 차단크림 O/W 유화공정의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3.70 wt.%), 녹차추출물의 첨가량(2.47 wt.%) 및 유화시간(15.4 min)이었으며, 이때 예측된 반응치는 7 days 경과 후 유화액의 MDS (1173.8 nm), ESI (99.56%), 그리고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2.4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3.0 ± 1.5%로 낮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CCD-RSM 최적화 과정이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코팅프로세스를 사용한 5,6-디하이드록시인돌의 산화 및 광에 대한 안정화 연구 (Study of Stabilizing 5,6-dihydroxyindole with Coating Process Against Oxidation and Light)

  • 한상근;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8-527
    • /
    • 2013
  • 5,6-dihydroxyindole was easily oxidation with air and light Conditions. Availability of 5,6-dihydroxyindole was studied for hair dye as a precursor of melanin. This study used wet and dry coating process to stabilize 5,6-dihydroxyindole. In wet process used dimethicone and cyclometicone, the 5,6-dihydroxyindole had darkened through the drying process at $58^{\circ}C$. Wet coating process was inappropriate to stabilize the coating. In dry coating process, shea butter coating was stable until 3 days. Dextrin palmitate was most efficient ingredient to prevent oxidation by sun light and air until 7days. Oxidation test with 1.0% and 1.5% of dextrin palmitate was not different under conditions of sun light and air and was not dependent on contents. Vitamin E acetate under conditions of sun light and ai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in preventing ox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