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pe of screen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Investigation of viewing zone parameters for full color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screens

  • Bahn, Ji-eun;Shin, Sang-Hun;Choi, Yong-Jin;Bobrinev, V.I.;Son, Jung-You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4권1호
    • /
    • pp.58-61
    • /
    • 2000
  • Viewing zone shape and size perform a key role in creating viewing comfort for the viewe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of viewing zones, formed by a full color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screen with a stereoscopic image projection are investigated. The screens have been recorded as holograms of a narrow stripe shaped object with different width; to extend the vertical size of the viewing zone the holograms were exposed two times with the hologram shifting between exposures. The viewing zone parameters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stripe width of the object and of the exit pupil size of projection optics for several holographic screens having the size of the 30 $\times$ 40 $\textrm{cm}^2$.

공력 저항 측정기를 이용한 방풍펜스 방진막의 공기 투과 저항력 측정 (Measurement of Aerodynamic Properties of Screens for Windbreak Fence using the Apparatus for Testing Screens)

  • 김락우;이인복;홍세운;황현섭;손영환;김태완;김민영;송인홍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145-154
    • /
    • 2013
  • Recently, damage occurrence by wind erosion has been increasing in society. In times past, such problems only took place in desert area ; however, in recent years, the wind erosion problem is spreading out to agricultural land. Wind erosion in agricultural land can cause loss of loam soils, the disturbance of the photosynthesis of the crop fields and serious economic losses. To overcome the mentioned problems, installation of windbreak fence can be recommended which function as disturbing strong wind and wind erosion. However, there is still no proper guideline to install the windbreak fence and the installation used to rely on the intuition of the workers due to the lack of related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the aerodynamic resistance of screens of the windbreak fence using the apparatus for testing screens. The apparatus for testing screens was designed to measure pressure loss around the screen. Measured pressure loss by wall friction compensated for pressure loss to calculate the aerodynamic resistance of screens. The result of pressure loss by regression analysis derived the aerodynamic coefficient of Darcy-Forchheimer equation and power law equation. The aerodynamic resistance was constant regardless of the overlapped shape when the screen was overlapped into several layers. Increasing the number of layers of the screen, internal resistance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and pressure loss caused by the screen also increased linearly when the wind speed was certain conditions, but permeability had no tendency.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The simulation models will be also validated in advance by wind tunnel experiments. It will provide standard of a design for constructing windbreak fence.

구간 평면 모델을 사용한 곡면 스크린 상의 영상 왜곡 보정 (Compensation of Image Distortion on a Curved Screen using a Piecewise Planar Model)

  • 이경미;이병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C호
    • /
    • pp.264-270
    • /
    • 2010
  • 몰입감을 주기 위한 초대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원통이나 구 모양의 곡면 스크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방법에서 스크린을 2차 곡면으로 모델링하여 영상이 스크린의 3차원 평면위에 투영되는 대응점을 찾기 위하여 2차 행렬을 이용한다. 기하학적 영상 보정 후에도 스크린의 모양에 약간의 변화나 움직임이 생길 경우에 2차 행렬이 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의 움직임 및 변화가 작은 경우 약간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된 2차행렬을 구하기 위해 3차원 정보를 새로이 구하지 않고, 스크린을 부분적인 평면으로 근사하여 영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제 프로젝터로 곡면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한 후 스크린을 움직였을 때 스크린의 움직임에 대해 제안한 부분적 평면 근사화 방법으로 왜곡을 보정하는 실험을 통해 스크린이 움직이기 전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영희전 감실 및 이안소의 공간 구성과 오봉산병풍의 특징 (Interior Settings of a Chamber and a Temporary Place of Enshrinement at Yeonghuijeon and Features of the Five Peak Screens for the Hall)

  • 손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100-121
    • /
    • 2023
  •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설립된 영희전 감실 및 이안소의 공간 구성과 이곳에 사용된 오봉산병풍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18세기 중엽 태조진전이 영희전의 예를 따라 오봉산병풍을 배설한 내용과 18세기 이전 태조진전의 감실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영희전 감실 구성의 연원도 살펴보았다. 영희전 감실은 태조진전 및 선원전과 달리, 당가 없이 온돌바닥 위로 난간이 달린 평상 형태를 한 대형의 용상을 놓았다. 이 용상 위로 4첩 오봉산병풍을 가운데 2첩은 뒤로 펴고 좌우 각 1첩은 나누어 펴 '⊓' 형태로 배설하였다. 난간을 단 평상 위로 첩병풍을 펼치는 배설 방식은 영희전 감실 조성 당시 태조진전이 아닌, 빈전 영침의 구성을 참조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어진의 이안 시에는 용상보다 규모와 장식을 간략하게 한 난간평상을 사용했다. 이안소에는 감실과 같이 4첩 오봉산병풍을 '⊓' 형태로 설치했으나 평상 위에 올리지 않고 뒤편에서 난간평상을 감싼 형태로 펼친 후 어진을 봉안한 흑장궤를 그 위에 올렸다. 이 같은 배설 방식이 반영된 감실과 이안 소용 오봉산병풍은 모두 대형의 4첩 왜장 병풍으로 가운데 두 폭이 넓고 좌우로 접어 펴는 1·4폭이 좁은 형태였다. 장황은 별도의 하회장 없이 병풍 가장자리를 따라 회장을 둘렀다. 감실과 이안 소용 오봉산병풍은 장황과 배접 등의 재료에 일부 차이를 두어 배설 장소의 위상을 반영하였다. 문헌 기록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현대기를 거치며 본래의 이력과 기능을 잃은 채 전하는 병풍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와 <인정전오봉산병풍>이 영희전 병풍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두 병풍은 배설 방식을 고려해 세 개의 봉우리와 해·달 등을 가운데 2·3폭에 대칭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두 봉우리와 적송을 1·4폭에 그렸다. 한편, <인정전 오봉산병풍>은 병풍틀의 배접지로 1840년 답안 일부를 포함한 감시낙폭지를 사용해, 1858년 영희전 증건 시 향후 순조어진의 이안을 대비해 만든 이안청 병풍으로 추정되었다.

궁중 의례용 일월오봉도 병풍의 장황에 관한 고찰 - 초록색 회장 비단과 금박 장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Mounting the Five Peaks Screen - With the focus on green bordering silk and gilt ornamentation)

  • 박윤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243-263
    • /
    • 2022
  • 조선 왕실에서는 영원불멸한 왕의 존재와 권위를 나타내고자 일월오봉도로 병풍을 만들어 왕의 공간마다 설치하였다. 일월오봉도는 궁궐의 가장 대표적인 의장물로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제작했던 병풍의 실체에 대해서는 제대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이것은 현재 전하는 유물이 기록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의궤를 중심으로, 왕실 의례에 사용했던 일월오봉도 병풍의 다양한 생김새와 장황 재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일월오봉도 병풍의 원형과 변형 과정까지 함께 고찰하였다. 의례용으로 제작한 왕실의 병풍들은 예식과 법도에 따라 엄격하게 제작되었고, 각각이 갖는 위상에 따라 장황에 사용하는 재료 또한 차등을 두었다. 궁궐의 정전(正殿)과 빈전(殯殿), 혼전(魂殿), 진전(眞殿)에 설치했던 오봉병과 궁중연향을 위해 제작했던 오봉병은 생김새와 크기는 모두 다르지만, 병풍을 꾸미는 비단 회장(回粧)은 일치하였다. 대체로 초록색 비단으로 가장자리를 두르고, 그 위에 꽃문양의 금박을 장식하였다. 쪽풀로 염색한 초록색 비단은 원료를 수입해야 하는 값비싼 붉은 색 비단을 대신하였으며, 영조22년 '문단(紋緞) 금지 조치' 이후에는 무늬없는 초록색 평직 비단을 사용했다. 그나마 비단에 올린 금박 첩금으로 인해 사대부가의 병풍과 차별되는 궁중 의례용 병풍의 장식미를 더하였다. 일제강점기 동안 방치되었던 조선왕실의 병풍들은 1960년대부터 유물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보존처리가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장황이 개장(改粧)되었고, 원형의 모습을 많이 잃게 되었다. 이것은 전통의 장황 문화가 단절된 것이 가장 주된 원인이었다. 과거에는 고증의 부족으로 문화재를 온전하게 보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면, 지금부터는 각 분야에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증을 철저히 하고, 문화재의 수리 이력에 대한 정보까지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CaWO_4$$Gd_2O_2S$ : Tb 증감지의 형광체 형태와 사진감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orphology of Phosphor Layers in the $CaWO_4$ and $Gd_2O_2S$ : Tb Screen)

  • 이인자;허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6권1호
    • /
    • pp.41-55
    • /
    • 1993
  • Recently, various screen film system have been introduced in diagnostic radiology. There are two kinds of screen film system : blue emitting $CaWO_4$ screen has been largely used in these days. However, it tends to be changed to use green emitting $Gd_2O_2S$ : Tb screen. In this study, photographic characteristics of $CaWO_4$ and $Gd_2O_2S$ : Tb screen were investigated with luminescence, spectroscopy. The morphology of $CaWO_4$ and $Gd_2O_2S$ : Tb were also observ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mall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phosphor layers for the front and back screen of blue emitting system, but little difference in those of green emitting system.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ize of phosphor particles between the front and back screen for each screen. However, the particle size was different for the various kinds of screens. 3. The shape of phosphor particle was round with many faces for all the screens. 4. In the exposure of X-ray with the same intensity, luminescent intensity of a green emitting system was $6{\sim}7$ times larger than that of a blue emitting system. 5. The thickness of phosphor layers does not affect on the sensitivity of the screens exposed by X-ray.

  • PDF

u-멀티플렉스 서비스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Services of u-Multiplex)

  • 김현수;이강배;정재운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5-27
    • /
    • 2009
  • Multiplex is a representative culture facility of citizens. Therefore, a lot of researches and investment on multiplex are carried out to improve benefits of service suppliers and users. Especially, focused on main services of a theatre such as ticket booking and issuing within multiplex, examination of tickets, admission information of movie screens and screening information inquiry, improvement activities are carried out. However, it is not enough to evaluate on what efficiency the above efforts have in the viewpoint of customer benefits and busin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value and limit of the newest service of multiplex applying the existing ubiquitous concept(u-multiplex service), and proposed a model and a plan for improving the existing services. The study interviewed with specialists in the related field and applied workshop-shape group interview to 110 university students and simulated service models.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and limit of the existing multiplex service objectively, and to propose a new service model and plan to improve its limit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plans to research on service models by extending space and functional roles of multiplex to the whole subsidiary facilities including movie screens.

  • PDF

방화문용 연기/열 차단막의 변위-열응력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lacements-Thermal Stress Analysis of Smoke/Heat Interception Screen in Eire Door)

  • 이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73-78
    • /
    • 2004
  • 본 연구는 화재가 발생할 때 방화문과 바닥 면의 하부 틈새를 박아 연기와 열의 누설 또는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연기/열 차단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연구역의 차압과 화재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체부력에 의한 역학적인 힘과 열기류를 고려하여 유한요소 해석코드인 $ANSYS^{\circledR}$ 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하중조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기/열 차단막의 최적설계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연기/열 차단막의 형상설계에 활용함으로서 연기/열 차단 시스템의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메쉬 스크린 후류의 난류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urbulent Characteristics in the Wake of Mesh-Screens)

  • 강신형;이현구;전우평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74-28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몇가지 단순한 스크린의 형상에 대하여 후류의 난류 특성치들 을 계측하여, 실제 현상을 파악하고 자료를 확보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 였다.본 논문에서는 원형 스크린과 타원형 스크린을 기본 형상으로 택하여, 저항 계수를 변화시키면서, 후류유동장에서 평균속도 분포, 난류 운동에너지, 난류 전단응 력을 열선 풍속계로 계측하였다. 원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주로 스크린의 모서리에서 발달하는 전단층의 확산과정을 연구하였고, 타원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평균속도 분포 가 하류로 가면서 원형 후류로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코안다효과를 이용한 제진기 스크린의 최적설계를 위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Optimum Design of Dust Separator Screen Based on Coanda Effect)

  • 윤성민;김용선;신희재;고상철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77-185
    • /
    • 2018
  • There is a need to study dust separator screens with good drainage efficiency while effectively filtering suspended solids and other contaminants entering the intake pumping station, the drainage pumping station and the mediation pumping station, the cooling water inlet of the power plant, and the like. In this paper, Numerical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using the Coanda effect. The shape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is important, such as the right curvature radius $R_1$ at the top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and the left curvature radius $R_2$ at the top, h is the height difference and shape between the screen and the accelerating plate, and ${\theta}$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creen. A total of 4 shape factors were set and the effects of Coanda and drainage performance of each el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ptimum length and size of each shape element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 shape elements into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Finally,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filter foreign matter by narrowing the screen spacing, and the drainage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optimized through numerical studies of dust separator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