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n oil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우지방을 현미유와 올리브유로 대체한 우육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Properties of Beef Patties Replaced Tallow with Rice Bran Oil and Olive Oil during Cold Storage)

  • 서현우;김갑돈;정은영;양한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3-771
    • /
    • 2011
  • The effects of replacing tallow with plant oil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eef patties were investigated. Beef patties were produced with seven different formulations: control (tallow, 100%), rice-bran oil replaced (TR) and olive oil replaced (TO) (each at 20%, 40%, and 60% substitution). Fat content of beef patties increased, where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d TR and TO. Beef patties had increased lightness and yellowness but decreased pH and rednes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p<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all beef patties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The TBARS values in the replaced TR or TO were similar to or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fter 3 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beef patties decreased as the level of TR and TO increased,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TO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TR.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replaced TR or TO over 7 d of storage.

증류조건을 달리한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 정용진;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3-437
    • /
    • 2012
  • 감자를 이용해서 증류식 소주를 제조하고 전통방식의 소주고리 증류 및 감압증류 조건에 따른 퓨젤유 및 휘발성 성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자소주의 퓨젤유 함량은 감자술덧을 감압 증류하였을 때 높았으며,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anol의 상대비는 전통방식 증류주가 3.1 : 0.8 : 1.0, 감압 증류주가 4.0 : 1.2 : 1.0 이었다.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chromatogram은 증류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휘발성 성분으로는 감자소주(I)에서 alcohol류 4종, ester류 6종, aldehyde류 1종, acid류 1종, 감자소주(II)에서 alcohol류 7종, ester류 14종, aldehyde류 2종, acid류 1종 및 기타 성분 3종이 확인되었다. 감자소주(II)는 향에 대한 선호도가 감자소주(I)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Utilization of Piper betle L. Extract for Inactivating Foodborne Bacterial Biofilms on Pitted and Smooth Stainless Steel Surfaces

  • Songsirin Ruengvisesh;Pattarapong Wenbap;Peetitas Damrongsaktrakul;Suchanya Santiakachai;Warisara Kasemsukwimol;Sirilak Chitvittaya;Yossakorn Painsawat;Isaratat Phung-on;Pravate Tuitemw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6호
    • /
    • pp.771-779
    • /
    • 2023
  • Biofilms are a significant concern in the food industry. The utilization of plant-derived compounds to inactivate biofilms on food contact surfaces has not been widely reported. Also, the increasing negative perception of consumers against synthetic sanitizers has encouraged the hunt for natural compounds as alternativ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cetone extracts, and essential oils (EOs) of seven culinary herbs against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Typhimurium and Listeria innocua using the broth microdilution assay. Among all tested extracts and EOs, the ethanol extract of Piper betle L. exhibited the most efficient antimicrobial activities. To evaluate the biofilm inactivation effect, S. Typhimurium and L. innocua biofilms on pitted and smooth stainless steel (SS) coupons were exposed to P. betle ethanol extract (12.5 mg/ml), sodium hypochlorite (NaClO; 200 ppm), hydrogen peroxide (HP; 1100 ppm), and benzalkonium chloride (BKC; 400 ppm) for 15 min. Results showed that, for the untreated controls, higher sessile cell counts were observed on pitted SS versus smooth SS coupons. Overall, biofilm inactivation efficacies of the tested sanitizers followed the trend of P. betle extract ≥ BKC > NaClO > HP. The surface condition of SS did not affect the biofilm inactivation effect of each tested sanitizer. The contact angle results revealed P. betle ethanol extract could increase the surface wettability of SS coupons. This research suggests P. betle extract might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sanitizer in food processing facilities.

한국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한 한식 식사패턴 지수의 개발과 검증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Dietary Pattern Score (KDPS))

  • 이경원;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2-660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DPS (Korean dietary pattern score) to assess dietary patterns and diet quality of Koreans from a food culture perspective. The KDPS was applied to dietary data collected dur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07,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DPS were evaluated. The targets of the study included 2,278 Korean adults aged 20n89 years. The KDPS was developed using the sum of the scores of 13 components. Each component scored up to 10 points and there was a total of 130 points. The first seven components were for the KSMS (Korean-style meal score) and assessed the dietary balance based on the 3-Chup Bansang daily basic table setting. The components numbered 8 to 13 were for the FGS (food group score), which measured the degree of compliance with the six major food groups based on the Korean recommendation for one serving size of grains, meats, vegetables, fruits, milk, and oils. This KDPS was verified through content validity, concurrent-criterion validit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high. The KDPS developed in this study adhered to the Korean dietary pattern and a healthy diet intake.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an integrated index by scoring the Korean style table setting in addition to evaluating meals from a nutrition perspective.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develop a score for assessing.

발효콩 유지의 3T3-L1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J 생쥐에 대한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Oils in 3T3-L1 Pre-Adipocytes and High Fat Diet-Fed C57BL/6J Mice)

  • 김선웅;김남석;오미진;김하림;김민선;이다영;윤석후;정문웅;김훈중;이창현;오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9-2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효콩 유지가 비만 억제 및 예방,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성장 및 분화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발효콩 유지를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NF군 $100{\mu}g/mL$에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분화를 유도한 다음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한 결과, 비발효콩 유지(NF) 처리군보다 발효콩 유지처리군에서 triglyceride 함량 저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BS, LBA, BLO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BS군, LBA군, BLO군 순으로 지방세포분화 관련 유전자인 $PPAR{\gamm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PPAR{\gamma}$ 유전자와 상관관계에 있는 $C/EBP{\alpha}$ 유전자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57BL/6J 생쥐를 이용하여 항비만 활성을 관찰한 결과, 총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해 4주째에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혈액 내 지질농도를 측정한 결과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LBA, BL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맥경화 지수인 AI(atherogenic index)는 대조군보다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비만관련 호르몬인 adiponectin의 농도는 SO, BS, LBA, BL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insulin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Leptin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발효콩 유지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mRNA 단계에서부터 지방분화를 억제하여 항비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생쥐에서 총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액 내 지질농도인 triglyceride와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과 비만관련 호르몬인 adiponectin, insulin, leptin을 조절하여 항비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발효콩 유지가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식품 소재로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Zanthoxylum piperitum 종자의 치아우식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eeds of Zanthoxylum piperitum against Oral Pathogen Streptococcus mutans)

  • 박해선;전도연;박철;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74
    • /
    • 2008
  • 치아우식균으로 알려져 있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초피(Zanthoxylum piperitum)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뿌리, 줄기, 잎, 과피, 그리고 종자 부분을 methanol, ethyl acetate, hexane, methylene chloride등의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그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1{\sim}3$ mg/disc 농도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종자의 경우만 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초피종자의 항균활성이 종자의 정유성분을 추출할 경우에도 회수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초피종자 및 초피과피로부터 정유성분을 추출하고 이들의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두 정유성분 모두는 종자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보다 더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이 정유성분들의 S. mutan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를 액체배양으로 측정한 결과, 초피종자 정유성분의 MIC는 0.3 mg/ml 로, 또한 초피과피 정유성분의 MIC는 4 mg/ml로 나타났다.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종자의 정유성분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7가지 분획으로 나누어 그 항균효과를 서로 비교 조사한 결과, 다섯번째 분획(CS-SD-E)의 항균활성이 다른 분획들의 항균활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분획 전의 정유성분에 비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이 낮았다. 초피종자의 항균활성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초피종자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초피종자 정유성분을 GC-MS로 비교 분석하였다. 초피종자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서는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이미 보고된 물질로서 carvacrol (0.24%), ${\beta}$-caryphyllene (1.72%), ${\alpha}$-humulene (0.88%)등이 검출되었고, 초피종자 정유성분에서는 sabinene (1.57%), linalool (1.55%), citronellal (13.67%), terpinene-4-ol (0.45%), citronellol (3.69%), geraniol (0.9%), linalyl acetate (1.35%), ${\beta}$-caryophyllene (1.35%), ${\alpha}$-humulene (0.7818%) 및 ${\delta}$-cadinene (0.67%) 등이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보고된바 있는 물질로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초피종자가 S. mutans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수증기 증류를 통해 확보하는 종자의 정유성분 회수가 이러한 항균물질을 추출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는 초피종자 유래의 정유성분이 S. mutans에 의해 발생하는 치아우식의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천연정유 Cajuput (Melaleuca cajeputi) 유래 Benzaldehyde의 살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Benzaldehyde in Cajuput (Melaleuca cajeputi) Essential Oil)

  • 이사은;윤미선;연보람;최정섭;조남규;황기환;왕해영;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1-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여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 화합물을 발굴하는데 있었다. Amyris(Amyris balsamifera), cajuput (Melaleuca cajeputi), geranium(Pelargonium graveolens), lavender(Lavendula spp.), mandarin(Citrus reticulata), pine(Pinus spp.) 및 rosemary(Rosmarius officinale) 정유에 대한 살초력을 유채(Brassica napus)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수행한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_{50}$ 값, $425{\mu}g\;g^{-1}$). Cajuput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주된 생리활성물질들은 eucalyptol 37,2%, ${\alpha}$-terpineol 11.6%, benzaldehyde 5.2%, linalool 4.1%, ${\alpha}$-pinene 2.5%, ${\beta}$-pinene 2.4%이었으며, 이들 생리활성물질의 살초력($GR_{50}$ 값)은 각각 2,731, 500, 50, 372, 4,363, $4,671{\mu}g\;g^{-1}$이었다. Benzaldehyde의 살초력은 기 보고된 eucalyptol (1,8-cineole)과 ${\alpha}$-pinene보다 높았으므로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ajuput 정유와 이에 함유되어 있는 가장 높은 살초력을 보였던 benzaldehyde를 80kg $ha^{-1}$ 토양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어떠한 살초효과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경엽처리 하였을 때에는 화본과 잡초인 수수, 돌피, 바랭이는 100% 고사되었다. 그러나 살초효과는 20kg $ha^{-1}$ 이하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cajuput 정유와 benzaldehyde의 높은 휘발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의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효과는 높은 약량에서만 나타났으므로 약량저감을 위한 처리시기 재설정과 살초력을 높일 수 있는 제형개발이 요구된다.

배합사료내 규조류 우점인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 첨가가 까막전복(Haliotis discus)의 성장, 체조성 및 패각 색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icroalgae, Diatom-Dominant, Oil Extrac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hell Color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 김희성;이기욱;정해승;김준;윤아영;조성환;이계안;김근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38-744
    • /
    • 2017
  •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microalgae, diatom-dominant, oil extracts (MOE)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hell color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investigated. One thousand four hundred and seventy juvenile abalone were distributed into 21 plastic rectangular containers. Seven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MOE0, MOE0.01, MOE0.05, MOE0.1, MOE0.5, MOE1 and MOE2 diets containing MOE at the concentrations of 0, 0.01, 0.05, 0.1, 0.5, 1 and 2% at the expense of mixture of squid liver and soybean oil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in triplicate once a day with a little leftover for 16 weeks.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abalone fed the MOE1 and MOE2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all other diets. The shell length and soft body weight of abalone fed the MOE2 diet were longer and heavi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all other diets.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affected by dietary inclusion of MOE. The shell color of abalone fed the all experimental diets was different from that of wild abalone.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MOE improved growth of abalone, but did not shell color of abalone.

한국산유자(韓國産柚子)의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junos in Korea)

  • 정지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1호
    • /
    • pp.63-80
    • /
    • 1974
  • 한국산유자(韓國産柚子)의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을 일반성분(一般成分)과 특수성분(特殊成分)으로 구분(區分)하여 일반성분(一般成分)이 관(關)하여는 시기별변화(時期別變化)를 특수성분(特殊成分)은 성숙기유자(成熟期柚子)에 관(關)하여 amino acid vitamin C, 유리당(遊離糖), 유기산(有機酸), 향성분(香成分)등을 분석(分析)하여 시기별성분(時期別成分) 변화(變化)가 식물생리(植物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식품(食品)의 효과적(效果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검토결과(檢討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과피(果皮)와 과육(果肉)의 시기별분석결과(時期別分析結果)는 과피율(果皮率)과 과육율(果肉率)를 비교(比較)할때 전자(前者)가 더 크며 지역적(地域的)으로 볼때는 과피율(果皮率)은 도서부(島嶼部)가 내륙지(內陸地)보다 더 크다. 2. 일반성분(一般成分)에 있어서 과피(果皮)에서는 3기(期)까지 수분함량(水分含豊)의 증가(增加)를 보이고 기후(其後) 일정상태(一定狀態)를 유지(維持)하며 조지방(粗脂肪), 섬유질(纖維質), 회분(灰分), 총산(總酸), 가용성무질소물(可溶性無蜜素物)등은 3기(基)까지 감소(減少)하며 환원당(還元糖)은 급증(急增)하고 섬유질(纖維質)과 총산(總酸)은 계속감소(繼續減少)를 보인다. 과육(果肉)에서는 3기(期)까지 수분(水分), 환원당(還元糖)이 증가(增加)하고 조지방(粗脂肪), 섬유질(纖維質), 회분(灰分), 조단백질(粗蛋白質), 가용성무질소물(可溶性無窒素物)등은 3기(期)까지 감소(減少)한다. 3 Vitamin C의 함량(含量)은 과육(果肉) 보다 과피(果皮)에 많고 일본산유자(日本産柚子) 보다 한국산유자(韓國産柚子)에 더 많었다. 4. 유리당(遊離糖)은 xylose, fructose, glucose, sucrose등 4종(種)이 분리검출(分離檢出)되었고 과육(果肉)보다 과피(果皮)에 더 많이함유(含有)되어 있었다. 5. 휘발성유기산(揮發性有機酸)의 함량(含量)은 과육(果肉)보다 과피(果皮)에 더 많고 과피(果皮)에 acetic acid, formic acid, n-valet acid등 3종(種)과 과육(果肉)에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acid 등 3종(種)이 분리(分離)되었다. 6. 비휘발성유기산(非揮發性有機酸)의 함량(含量)은 과피(果皮)보다 과육(果肉)에 더 많고 과피(果皮)에 citric acid, gluta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와 unknown 1종(種)등 8종(種)이 분리검출(分離檢出)되었고 과육(果肉)에서는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glutaric acid, malonic acid등 6종(種)이 분리확인(分離確認)되있다. 7. 향성분(香成分)의 정유중성부(精油中性部)에서 D-limonene, ${\alpha}-pinone$, p-cymene의 3종(種)과 unknown 7종(種)등 10종(種)이 분리검색(分離檢索)되었고 함량(含量)으로 보아 D-limonene이 유자(柚子)의 주향성분(主香成分)인 것으로 생각된다. 8. 식품(食品)의 효율적이용(效率約利用)은 과피(果皮)와 과육(果肉)을 공(共)히 쓸수 있고 미숙과(未熟果)는 citric acid제조용(製造用), 성숙과(成熟果)는 과중제조원료(果汁製造原料)로 쓸수 있다는 것이 상기(上記) 연구결과(硏究結果)에의(依)하여 확인(確認)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