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sil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Sessile Drop의 형상으로부터 수치계산에 의한 표면장력 측정 (A Numerical Method for Determining Surface Tension of Sessile Drop)

  • 정영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325-1330
    • /
    • 1996
  • Sessile drop method에 의해서 표면장력을 간단히 구하는 수치계산법을 계산프로그램과 같이 소개하였다. 이방법에 의하면 표명장력의 계산에 필요한 data는 sessile drop 표면상의 임의의 한 점에서의 좌표(X.Z)와 그 점에서의 접선의 각도${\theta}$, 그리고 밀도${\rho}$가 전부이다. 따라서 sessile drop의 형상으로부터 가장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임의의점을 선정하여 그 점의 좌표, 접선의 각도를 측정하면 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4개의 data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계산결과가 단시간에 나오므로 계산과정이 대단히 간단하다. Sessile drop의 크기, 접선의 각도, 밀도 등에 제한이 없으므로 응용범위가 넓다. 하나의 sessile drop에서 수개의 점으로부터 구한 각 표면장력의 값을 상호 비교하면 측정치 및 계산결과에 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수치계산법을 응용하면 pendant drop method에의 응용, 그외 sessile drop의 체적, 표면적, 접촉각의 계산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 PDF

First Record of One Sessile Ctenophora, Lyrocteis imperatoris, and Its Embryos from Korea

  • Song, Jun-Im;Hwang, Su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3호
    • /
    • pp.255-259
    • /
    • 2009
  • The sessile ctenophores, Lyrocteis imperatoris Komai, 1941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Garinyeo, offshore Seogwipo of Jejudo Island by SCUBA diving on June 18, 2009. This species distributed in West North Pacific was newly recorded in Korean waters. Its embryos in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were observed in the internal brood chamber.

남해 장목만에서 PVC판 투입시기와 투입기간에 따른 부착생물군집 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sessile organisms on PVC plates according to different submerged timings and durations in Jangmok Bay, Korea)

  • 박소현;서진영;최진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5
    • /
    • 2011
  • 남해안 내만해역에서 인공부착판 투입시기와 투입기간에 따른 군집구조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거제도 장목만에서 2007년 3월에서 10월에 이르는 기간 동안 매월 PVC 재질의 인공부착판을 수심 50 cm에 수직방향으로 투입하였다. 2007년 11월에 저서동물이 부착된 PVC판을 회수하여 부착생물군집을 조사한 결과 지중해담치는 3월에서 7월에 투입된 부착판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였고, 석회관갯지렁이와 주름멍게는 5월 이후 10월까지 투입한 부착판에서 우점종으로 남았다. 주걱따개비와 다발이끼벌레류는 6월-9월 사이에 투입한 부착판에서 우점하였다. 실험종료 시에 회수한 부착판에서의 분류군별 개체수와 습중량은 지중해담치의 우점으로 3월-7월 사이에 투입된 부착판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종간 경쟁으로 인하여 최대가입시기와 우점시기가 일치하지 않은 부착생물들이 나타났고, 투입기간과 생물량이나 개체수 간에는 가입시기의 차이로 인하여 뚜렷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투입시기별 및 투입기간별로 특정 저서생물이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는데, 이는 유생 공급을 결정하는 가입시기와 나중에 유입되는 유생을 배제하는 종간경쟁에 의해 최종 부착생물군집의 조성에 중요한 결정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시스템 내에서 죽은 산호골격이 수질과 고착성 연체동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ad coral skeletons on the water quality and sessile mollusks in the closed system)

  • 이남현;한경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7-196
    • /
    • 2012
  • 폐쇄 사육 시스템에서 고착성 무척추동물 특히 연체동물의 부착용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dead rock과 live rock이 수질에 부가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된 dead rock과 live rock을 인공해수를 이용한 실험수조에 투입 한 후 수질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종류의 rock들은 모두 pH 안정에 영향을 주었으며 질소화합물의 분해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dead rock의 경우 사용전 충분한 안정화 기간을 거침으로써 부착용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훌륭한 보조여과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live rock의 경우에는 이미 부착되어 서식하고 있는 조류나 박테리아에 의해 dead rock에 비해 더욱 높은 질소화합물 분해 능력을 나타냈으며 초기 투입 시 부착되어 있는 생물의 폐사나 해적생물의 유입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 할 경우 사육시스템 내에서 단순한 부착용 재료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에 이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 (Stem Rot of Disporum sessile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심창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0-52
    • /
    • 2007
  • 2004과 2005년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함양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윤판나물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되고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3{\sim}10{\mu}m$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윤판나물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고착 액적 증발면의 정밀 관측을 위한 전반사 형광 현미경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Total Internal Reflection Fluorescence (TIRF) Microscopy for Precise Imaging the Drying Pattern of a Sessile Droplet)

  • 조원호;이진기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5-74
    • /
    • 2023
  • Compared to epifluorescence(EPI) microscopy which captures fluorescence from the entire depth of sample, total internal reflection fluorescence(TIRF) can selectively visualize only a single surface of it. TIRF uses a thin evanescent field generated by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of laser light on surface. However, conventional TIRF system are designed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to occur at the upper surface of sample, making them unsuitable for sessile droplet imaging. We designed a TIRF system suitable for a sessile droplet imaging by utilizing slide glass as a lightguide. We presented the details for constructing the TIRF system using a prism, slide glass, air slit, and optical trap. Then, we compared the TIRF with EPI by imaging the droplet with fluorescent particles during its drying process. As a result, TIRF allows us to distinctly visualize the drying pattern on the bottom surface of droplet.

롤투롤 시스템에서 플렉시블 소재에 인가된 장력과 분사 높이가 액적 접촉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nsion and Drop Height on Contact Angle of Droplet on Flexible Substrate in Roll-to-Roll Systems)

  • 김동국;이창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7-172
    • /
    • 2017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identifying correlations between tension and drop height for sessile droplets in a roll-to-roll processing system. The effect of tension and drop height on the contact angle of a sessile droplet is presented. Design of experiment (DOE) methodology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used to def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process parameters. The contact angle is decreased while increasing tension and drop height. The influence of the tension is less significant on the contact angle compared with the effect of the drop height. However, tens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major parameter because it is not easy to fix with roll eccentricity and compensating speed of the driven ro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ffect of tension on the contact angle of a sessile droplet is more important than drop height because the drop height is fixed when the process systems are determined.

남해 장목만 부착생물의 PVC 인공부착판에서의 가입양상 (Recruitment patterns of sessile organisms on the artificial PVC panels in Jangmo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박소현;서진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3
    • /
    • 2011
  • 남해안 거제도 연안인 장목항에 인공부착판을 투입하여 주요한 부착성 저서동물의 가입양상을 조사한 결과, 3월에는 파래, 4월에는 지중해담치가, 5월에는 지중해담치와 유령멍게가 가입되었고, 6월에는 유령멍게와 다발이끼벌레류가, 8월에는 주걱따개비와 해변말미잘이 가입되었으며, 10월에는 석회관갯지렁이가 가입되었다. 월별로 투입된 부착판 1개월간 가입된 생물의 습중량은 5-6월에서 가장 많았다. 각 종들의 산란시기에 의해서 종 특유의 가입시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rst Report of an Unrecorded Nematode-Trapping Fungus Species Monacrosporium phymatopagum in Korea

  • Wu, Hai-Yan;Kim, Dong-Ge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64-266
    • /
    • 2010
  • A fungus that can capture nematodes by means of sessile adhesive knobs was isolated from rotten wood in Uiseong, Korea. It was found to produce single, spindle-shaped, 3-4 septate (commonly 4-septate) conidia, $44.8\;{\mu}m$ (range, $41.6-50.1\;{\mu}m$) long and $13.3\;{\mu}m$ (range, $10.7-15.4\;{\mu}m$) wide. Conidiophores were found to be hyaline, erect, straight, and $202.7-245.7\;{\mu}m$ high. On the basis of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Monacrosporium phymatopagu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 phymatopagum in Korea which can be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resour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

산질화 표면에서 액적의 증발열전달 특성 (Evapora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Droplet on Oxi-nitriding Surface)

  • 김대윤;이성혁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57
    • /
    • 2016
  •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evapora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Oxi-nitriding SPCC surface. Moreover,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examined with respect to surface temperature during droplet evaporation. In fact, the nitriding surface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for anticorrosion performance compared to bare SPCC surface but the thermal resistance also increased due to the formation of compound lay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vaporative behavior of sessile droplet on nitriding surface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he bare surface. Total evaporation time of sessile droplet on the nitriding surface was delayed less than 5%. The difference in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d with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e maximum difference was estimated to be around 11% at $80^{\circ}C$ surface. Thus, this nitriding surface treatment method could be useful for seawater heat exchanger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