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tic kne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2초

용담사간탕을 투여한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의 치검 1례 (The Effect of Youndamsagan-tang on a Case of Septic Knee: A Case Report)

  • 강대희;김영달;김창년;민지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547-155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d the effect of Youndamsagan-tang on a Case of Septic Knee. After we gave Youndamsagan-tang to a patient of septic knee, we examined not only symptom of patient but also the thickness and circumference of knee, the change of WBC, ESR, body temperature, VAS. As admission time passes, the pain, flare, swelling and movement of left-side knee joint were improved. The thickness and circumference of knee joint were decreased, and the count of WBC, ESR were decreased. And patient's pain by VAS was subsided. From the above result, administration of Youndamsagan-tang reduces the progressing of pain, flare, swelling and movement in knee joint.

제2형 당뇨 및 골관절염을 동반한 환자에서 발생한 Klebsiella pneumoniae균에 의한 화농성 관절염 (The Septic Knee Arthritis Caused by Klebsiella pneumoniae in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Osteoarthritis of the Knee)

  • 하중원;이상현;박상훈;김태엽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7-71
    • /
    • 2019
  • Klebsiella pneumoniae의 감염은 대부분 원발성 간농양을 일으키며 전이성 병변으로 폐렴, 뇌수막염, 요로감염 등의 간 외 합병증을 수반한다. K. pneumoniae 감염의 간 외 합병증으로 화농성 슬관절염이 보고된 예는 드물며 원발성 간농양 없이 화농성 슬관절염이 보고된 예는 더욱 드물다. 이에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원발성 간농양 없이 발생한 K. pneumoniae에 의한 화농성 슬관절염을 조기 발견하고, 관절경적 치료로 호전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화농성 무릎관절염의 수술 후 관절강직에 대한 한의복합치료: 증례보고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f Postoperative Ankylosis in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A Case Report)

  • 우현준;한윤희;이정한;하원배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69
    • /
    • 2022
  • A 50-year-old Korean male tour guide without any medical or family history complained of left knee pain. After receiving umbilical cord blood injection treatment, the pain gradually worsen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septic arthritis in the left knee, arthroscopic lavage, debridement, antibiotic treatment, and routine rehabilitation therapy were performed, but the symptoms persisted. In the hospital,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acupotomy, Chuna manual therapy, and cupping therapy wer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usual treatment for 59 days. To evaluate the patient's improvement, the numeric rating scale, EuroQol 5-dimension, pain disability index, and Lysholm knee scoring system were used. After treatment, the symptoms improved in all assessment tools, swelling, and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mplex Korean medical therapies may be effective for postoperative ankylosis in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therapeutic effect.

50세 이상에서 발생된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예후 인자 (Arthroscopic Treatment of Septic Knee Arthritis in Old Aged Group: Prognostic Factor)

  • 이동철;손욱진;공병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4-119
    • /
    • 2010
  • 목적: 50세 이상에서 발생된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의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후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본원에서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로 관절경 치료를 시행한 총 52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4세(50~79)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평균 27.5개월(12~49)이었다. 수술 전과 후의 기능 평가는 Lysholm knee score와 C-반응성 단백 수치의 정상화 되는 기간을 통해 그 치유 효과를 판정하였다. 연령, 감염전 관절염 정도(Kellgren stage), 기저 질환, 원인균과 치료 시기 등이 술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일차 수술후 감염의 완치는 94%였으며, 재수술은 2예에서 실시되었다. 원인은 15예에서 관절내 주사, 2예에서 외상에 의해 발병하였으며 그 외에는 원인 미상이었다. 발생 원인균으로는 13예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장 많았고, 27예에서는 균이 동정되지 않았다. 술후 기능의 호전 정도는 관절염의 정도가 낮고, 연령이 적을수록, 그리고 조기에 치료할수록 좋았다. 하지만, 동반질환에 의해서는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추시시 52예 중 4예에서 관절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합병증이 있었으며 그 외에는 동통이 없는 관절 운동으로 발병전 상태로 복귀하였다. 결론: 고령의 급성 화농성 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되며 술후 기능은 환자의 연령이 60세 미만이고, 감염전 관절염 정도가 낮으며, 조기에 치료를 시행할수록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 PDF

Septic arthritis of the hip joint caused by Klebsiella pneumoniae: a case report

  • Jeong-Bo Moon;Jun-Hwan Lee;Byung-Ju Ry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2호
    • /
    • pp.193-197
    • /
    • 2023
  • Klebsiella pneumoniae is an uncommon cause of septic arthritis in adults. However, late detection can cause se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joint destruction and immo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a case of successfully treated septic arthritis of the hip joint (SAHJ) caused by K. pneumoniae. A 49-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to our hospital with fever and progressive severe pain in the right hip area. Although there was no abnormality on plain radiographs, ultrasonography revealed diffuse swelling of the right hip joint. Under ultrasonography guidance, the hip joint fluid was aspirated, and Gram staining and culturing were performed. The patient's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joint aspiration. The Gram staining and culturing revealed gram-negative bacilli, which were subsequently identified as K. pneumoniae. According to the results, systemic intravenous antibiotic (ceftriaxone) was administered without complications,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oral antibiotic (ciprofloxacin). Clinical cases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or sacroiliac joint have been occasionally reported in adults, but cases of SAHJ are rare. Moreover, K. pneumonia-induced SAHJ has not been reported to date. Therefore, we report this very rare case and its successful treatment.

국소 마취하 배액관 삽입 및 세척을 통한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의 효용성 (Effectiveness of Drain Insertion and Irrigation in the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under Local Anesthesia)

  • 이진웅;오병학;허윤무;장민구;민영기;서경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0-316
    • /
    • 2021
  • 목적: 화농성 슬관절염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정형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본 연구는 국소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 및 세척을 통한 화농성 슬관절염 치료의 효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화농성 슬관절염을 진단받고 국소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과 세척을 통해 치료를 시행 받은 총 9예(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상외측 삽입구에서 상내측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액관을 넣은 후 약 3 L의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매일 세척하였다. 나이, 성별, 기저질환, 화농성 슬관절염의 원인, 골관절염의 정도,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 재원기간,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되는 기간, 배양 균주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진단 당시 혈액검사에서 혈청 백혈구 수치는 평균 9,211±2,912개/mm3 (6,100-16,300개/mm3), C-반응성 단백은 평균 12.1±11.2 mg/dl (3.9-35.4 mg/dl)였으며, 초기 관절 천자액 검사상 평균 백혈구 수치는 71,472±51,667개/mm3 (32,400-203,904개/mm3), 평균 다형 백혈구 분율은 평균 91.1%±2.6% (86%-95%)였다.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 8.3±1.3 시간(6-10시간)이었고, 평균 세척 기간은 8.2±3.2일(4-15일), 평균 재원 기간은 20.8±8.7일(9-37일)였다. 도말 및 배양 검사로 원인균은 동정되지 않았다.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에서 국소 마취를 통한 삽입관 삽입과 세척술은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조기에 관절 내 삼출물을 제거하여 통증을 줄이고 반복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전신 또는 척수 마취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an Acute Septic Arthritis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A Case Report -)

  • 김엽;윤정로;서동훈;장형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67
    • /
    • 2009
  • 21세 남자 환자로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에 대해 반복적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을 이용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던 증례에 대해 보고 하고자 한다. 저자들의 치료 과정은 관절경을 이용한 변연 전제술과 10L 식염수 세척술, 5회의 반복적 관절경 시술, 항생제 정맥 주사로 진행하였다. 반복적 관절경 시술은 임상적 소견과 검사실 결과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본 증례는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의 치료로 조기에 시행한 관절경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 이후의 반복적 관절경하 세척술이 효과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성인의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in adults)

  • 경희수;인주철;오창욱;김성중;김준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24
    • /
    • 2002
  • 목적 : 전신 합병증이 있는 성인 환자의 화농성 슬관절염을 관절경적 치료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총 14예의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5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4.6개월이었다. 기존 질환으로 당뇨병이 있는 환자가 4예였으며, 슬관절에 침을 맞은 병력이 있는 환자가 4예, 나머지 6예는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었다. 관절염의 임상적 병기는 관절경적 소견을 기준으로 한 $C\ddot{a}chter$의 분류를 사용하였고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 후 추시한 검사실 결과 및 임상 증상의 호전을 통해 그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원인균의 동정이 가능했던 예는 7예였으며 나머지 7예에서는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았다. $C\ddot{a}chter$의 분류상 제 1기가 1예, 2기가 8예, 3기가 4예, 4기가 1예였다. 1회의 수술로 증상 완화 및 치료가 가능했던 예가 11예 였으며 제 3기의 2예에서 증상 악화로 관절경적 처치를 1회 더 실시하였고, 제 4기의 1예는 관절경적 처치 후 증상의 호전이 없어 관절 절개술로 전환하여 치료하였으며 3기, 4기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혈청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 되기까지는 각각 평균 29.3일 및 20.8일이 소요되었고, 관절의 국소 종창 및 열감, 통증은 평균 술후 2일만에 소실되었다. 결론 :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에 있어 관절경적 관절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은 수술로 인한 통증 및 합병증을 최소화 하면서도 쉽게 반복적인 처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동통의 소실과 Tegner 활동도는 수술 전 평균 3.3점에서 수술 후 5.5점으로,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68.5점에서 수술 후 93.4점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18개월(3개월$\~$36개월) 추시 상 낭종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반월상 연골 낭종의 12례$(64\%)$가 외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 PDF

관절경적 반월연골판 봉합술 후 발생한 수술 후 화농성 관절염 (Septic Arthritis after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 전호승;우영균;황석하;서승표;정호원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97-102
    • /
    • 2017
  • 슬관절 관절경 수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의 발생률은 대략적으로 0.04%-3.4%로 보고되고 있다. 관절경하 반월연골판 봉합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은 더욱 드물어 해외에서는 몇몇 사례가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반월연골판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한 수술 후 화농성 관절염 2예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관절 내 Hyaluronic Acid 주입 후 발생한 비감염성 급성 염증반응 2예 (Acute Pseudoseptic Inflammatory Local Reactions after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Injection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이준용;남상건;박수영;임경훈;박찬도;이승준;김용철;이상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2호
    • /
    • pp.191-194
    • /
    • 2009
  • Knee osteoarthritis is a common, but difficult problem to manage in primary care.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injection has recently been frequently used for treating knee osteoarthritis. The adverse local reactions, except septic arthritis, following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injections are generally transient and not severe. Pseudoseptic arthritis is an extreme form of inflammatory arthritis that is not due to bacterial infection and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is from true septic arthritis. In this article, we report 2 cases of acute pseudoseptic local reactions after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injection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