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arating point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유조낭고충 낭액에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항원 단백질의 생화학적 성상 (Biochemical properties of a purified protein in cystic quid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 조승열;김석일;강신영;공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87-94
    • /
    • 1988
  • Kim et at.(1986)은 유구낭미충 낭액을 감작시켜 만든 단세포군 항체를 CNBr활성화 Sepharose 4B에 연결시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낭액에서 A-항원을 분리한 바 있다. 이 연구는 그 항원 단백질의 생화학적 성상을 관찰한 것이다. Disc-PAGE에 의해 4.5~1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나타내는 Rf간을 기초로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A 항원의 분자량은 150,000 dalton이었다. A-항원은 SDS-PAGE에서 15,000, 10,000, 7,000 dalton에 해당하는 polypeptide로 분획이 구별되었다. 10% 2-mcrcaptoethanol로 처리하지 않거나 $95^{\circ}C$에서 5분간 처리하지 않은 A-항원의 SDS-PAGE에서는 7,000 dalton의 polypeptide가 분리되지 않았다. A-항원의 등전점(PI)은 pH6.8이었다. 낭액항원의 각 분획에 반응하는 항체를 갖는 환자혈청으로 A-항원을 SDS-PAGE/EITB한 바 환자혈청은 15,000, 10,000, 7,000 dalton에 해당하는 부위에서만 반응하였다. 낭액 단백질의 약70%를 차지하는 A-항원은 면역학적으로 내열성을 가졌으며 포충(hydatid cyst) 낭액 항원중 Oriol et at.(1971)의 "Antigen B"와 생화학적 성상이 비슷한 단백질이었다.

  • PDF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한 시공간적 가뭄해석기법의 적용성 분석 (The Applicability of Analysis Scheme for Spatio-Temporal Droughts Using Mass Moment Concept)

  • 유지영;소병진;김태웅;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1069-10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공간적 가뭄해석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강우관측지점별 가뭄사상을 추출하여 가뭄사상의 시작 시점이 동일한 강우관측지점을 선정하여 CASE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SPI3에서는 36개, SPI6에서는 38개, SPI9에서는 40개, SPI12에서는 39개의 CASE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거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뭄사상으로 알려진 장기가뭄과 단기가뭄에 대한 시공간적 가뭄발생특성을 재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실제 과거가뭄사상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뭄의 이동경로 및 전이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안으로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하여 가뭄의 중심 및 영향권을 결정하는 새로운 가뭄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뭄이 발생한 지역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공간적 가뭄패턴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가뭄의 중심 및 영향권의 변화양상을 선행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계시간교통량 산정방법 개선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DDHV Estimating Method)

  • 문미경;장명순;강재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71
    • /
    • 2003
  • 기존의 DDHV는 양방향 시간교통량의 합으로부터 K계수. D계수를 도출하여 산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설계순위와 실제순위의 차이, DDHV 산정값의 오차, DDHV의 불규칙한 변동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독립적인 두 방향(상행, 하행)의 교통량 중 중방향 시간교통량에서 설계대상 순위를 결정하여, K계수와 D계수를 분리하지 않고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비분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반국도 상시조사지점 360개 지점에 대하여 30순위를 기존 DDHV 산정방법(분리방안)으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오차가 나타났다. - 설계순위와 실제순위가 357지점(99.2%)에서 불일치 - 실제순위 특성 : 평균 80순위, 최대 1,027순위. 최소 2순위 - 설계순위와 실제순위의 오차분포 : 10시간 내(30$\pm$10시간)가 106지점(29.4%). 254지점(70.6%)은 30순위와 $\pm$10순위이상 오차 발생 - DDHV 산정값의 오차율 : 평균 8.4%, 최대 46.7% 반면, 비분리방안은 설계순위와 실제순위가 전체 지점에서 일치하고 DDHV 산정값의 오차율이 "0"이므로, AADT가 정확한 것을 전제할 경우 비분리방안에 의해 설계시간교통량 산정시 평균 50순위, DDHV 8.4%의 오차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것으로 분석되었다.

아크리딘 오렌지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저선량 감마선 유도 말초혈액 B와 T-림프구 미소핵 분석 (Acridine Orange Stained Micronucleus Assay in Human B and T-lymphocytes after Low Dose ${\gamma}-irradiation$)

  • 최정미;김희선;양광희;김차순;임영기;김종순;운재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9-15
    • /
    • 2004
  •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사람 말초혈액 림프구 미소핵 관찰빈도를 높이면서 생물학적 선량평가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5명의 건강한 사람으로부터 혈액을 제공 받아 선량영역을 0에서 800cGy로 하여 감마선$(^{137}Cs)$을 조사 한 후 김사와 아크리딘 오렌지 형광 염색하고 미소핵 출현빈도를 비교하였다. 아크리딘 오렌지 염색법을 이용하여 미소핵을 관찰하였을 때, 김사 염색법에 비교하여 적갈색의 비특이성 과립과 녹황색의 DNA가 붉은색의 세포질을 배경으로 명확히 구별되었을 뿐만 아니라 선량이 증가하면서 검출율도 높았다. 아울러, 말초혈액 T와 B-림프구에 대하여 선량영역을 0에서 50cGy로 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후 미소핵 출현빈도를 아크리딘 오렌지 염색하여 김사염색과 비교한 바, B-림프구에서 선량이 증가하면서 적어도 2배 이상 높게 관찰되었다. 본 실험 결과, 사람 말초 혈액 B-림프구를 대상으로 한 아크리딘 오렌지 형광염색 미소핵 분석법은 저선량 방사선 인체영향 평가나 과피폭 선량추정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상에 기반한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의 휨 거동 분석 (Evaluation of the Bending Behavior of RC beam by Using Color-based Image Processing Method)

  • 우태련;정치영;김인태;이종한;정진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8-54
    • /
    • 2020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은 가장 대표적인 손상 유형으로써 구조물의 파괴거동특성 파악을 위한 중요한 분석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균열조사는 대부분 육안조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영상분석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실내 실험수준에서 적용하기 위한 균열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색상을 이용한 영상분석 기법은 영상내 존재하는 객체들 간의 경계면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사전에 정의된 색상을 기준으로 비슷한 색상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콘크리트 표면에 파랑색 페인트를 도포하고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영상분석결과 균열확대경 대비 우수한 정확도의 균열폭 측정이 가능하였고, 동시에 보의 처짐 역시 분석이 가능하였다. 균열과 처짐 모두 기존 계측방법과 유사한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측 용이성 측면에서 영상분석기법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신경망 기반 독립성분분석을 이용한 효율적인 복합영상분리 (An Efficient Composite Image Separation by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Based on Neural Networks)

  • 조용현;박용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10-21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근사화된 학습알고리즘의 신경망 기반 독립성분분석에 의한 효율적인 복합영상 분리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학습알고리즘은 엔트로피 최적화론 위한 목적함수의 판을 구하기 위해, 도함수 계산을 요구하는 뉴우턴법 대신 단순히 함수 값만을 이용하여 계산을 근사화한 할선법 기초한 고정점 알고리즘이다. 이렇게 하면 뉴우턴법에서 요구되는 복잡한 도함수의 계산과정을 간략화 할 수 있어 고정점 알고리즘의 독립성분분석이 가지는 학습성능을 더욱 더 개선시킬 수 있다. 제안된 학습알고리즘의 독립성분분석 기법을 500개의 샘플을 가지는 4개 신호와 $512{\times}512$의 픽셀을 가지는 10개의 영상을 대상으로 임의의 혼합행렬에 따라 발생되는 복합신호 및 복합영상들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의 뉴우턴법에 기초한 고정점 알고리즘의 분석기법보다 빠른 학습속도와 개선된 분리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임의로 선정되는 초기값에 의존하는 학습성능과 대규모의 영상분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현실적인 학습시간도 함께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좌계부담(左溪裒談)』의 구성과 서술방식 (A study on composition and narrative style of 『Jwagyebudam』)

  • 조정윤
    • 동양고전연구
    • /
    • 제63호
    • /
    • pp.83-113
    • /
    • 2016
  • 본 논문은 "좌계부담"의 체재와 구성, 서술방식과 내용의 검토를 통해 그 편찬 목적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좌계부담"은 우선 구성면에서 약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인물을 시대 순으로 기록하였고, 그 안에서 인물 유형에 따라 근거리 배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술방식 면에서는 "사기열전"에 보이는 '호견법(互見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개인 및 동일 사건의 내용을 관련된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기록하여 주제를 입체화 집중화하는 한편, 인물의 평가를 객관화하는 효과를 획득하고 있다. 인물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는 해당 인물의 일생의 특징적 면모에 초점을 맞춰서 그와 관련된 시 또는 일화 등을 기록하여 인물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목차의 각 인물 이름 옆에 수록 내용의 핵심사항을 요약한 '부제'형식의 짧은 글을 부기하여 내용 파악 및 이해를 돕는다. "좌계부담"은 견문을 자유롭게 엮어가는 방식의 필기 가운데, 인물중심으로 특화된 필기, 즉 '인물지(人物志)' 혹은 '전기집(傳記集)'이며, 더 넓게는 '사서(史書)' 및 '시화(詩話)'의 기능을 아우르는 필기이다. 이에 저자는 사가(史家)의 사명감으로 본서를 집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인물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인물지(人物誌) 형태의 특화된 필기류가 등장하게 되는데, "좌계부담"은 그보다 앞선 시기, 즉 18세기 중 후반에 편찬된 인물소전형(人物小傳型)의 필기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필기류의 역사적 전통 속에서 그 수록 방식 및 서술방식의 변화 시작점에 있는 것으로, 조선 후기 필기류가 점차 전문화된 형태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무기체계 사례 분석을 통한 창정비개발계획안 검증 필요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Verification about depot level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Weapons System cases analysis)

  • 안정준;김수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6-82
    • /
    • 2019
  • 무기체계 획득이후 안정된 운영유지의 책임이 있는 전략적 수준의 군수사의 관점에서 무기체계의 획득과 운영유지 분리에 따른 RISK를 제한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체계개발 단계에서 검증되지 않는 창정비개발계획안은 체계개발 종료 후 비용분석 등의 별도 검증을 위한 추가적인 인력 및 비용이 수반되고 더 나아가 군의 신뢰가 저하될 RISK를 가지고 있다. 이에 체계개발 단계에서 창정비개발계획안을 연구개발기관이 작성하여 입증 및 확증시험을 통해 검증되어져야 한다. 둘째, 체계개발 단계에서 창정비개발계획안이 작성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주관기관의 투입되는 자원이 반영 및 정산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선행연구 단계에서 창정비 방안에 대한 사업분석과 비용분석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소요 및 소요결정 문서에 창정비 개념과 창정비요소를 개발할 수 있는 근거를 반영하여야 한다. 다섯째, 소량의 전력지수가 높은 무기체계는 방위사업법 시행령 제28조 3항과 4항을 실현하기 위해 무기체계 획득단계별 구체화 될 있도록 사업관리를 수행하여야 하겠다.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구인·구직을 위한 비대면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Job Matching Platform for Personal Assistant of the Disabled)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5-80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보조인 구인·구직에 관련된 인력 및 채용정보를 각각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구인자와 구직자가 결정되어 주기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일회성 서비스의 매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대면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구인·구직 방식은 수요자가 활동서비스를 요청하면 제공기관 담당자가 기관소속 활동보조인을 배정하는 일방적 방향의 매칭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구인·구직자의 선택권은 매우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구인·구직 플랫폼은 사용자를 구분하여 장애인 또는 장애인가족(구인자)과 장애인 활동보조인(구직자) 인터페이스로 분리되어 로그인이 가능하다. 각자의 조건에 맞는 구인과 구직을 검색하여 채팅기능을 통해 실시간 양방향 의사정합 방식의 매칭이 이루어지고, 활동보조서비스가 완료되면 구인·구직자는 각자의 입장에서 서비스 후기 및 평가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 구인·구직자의 매칭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실시간 양방향 의사정합 방식의 매칭 플랫폼은 단기 또는 일회성 활동보조가 필요할 때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유교의 기원과 동이문화(東夷文化) - 류승국 교수의 설을 논함 - (The Origin of Korean Confucianism and Dongyi Culture - Discussion on the Theory of Professor Lew, Seung-Kook)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7호
    • /
    • pp.31-55
    • /
    • 2018
  •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 1923~2011) 교수는 20세기 한국 동양철학계의 거장이었다. 또 '한국사상의 원형(原型) 정립'에 심혈을 기울였던 '한국철학'의 개척자였다. 학문의 뿌리는 '유학'이었지만 동양철학 전반에 걸쳐 폭넓게 연찬하였다. 류 교수는 '유교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하여 남다른 견해를 보였다. 그는 1970년 이전에 나온 고고학-특히 갑골학- 의 연구 성과와 종래의 문헌에서 말했던 내용을 정밀하게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다년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학사상 형성의 근원을 논함에 있어 동이족과의 관계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유교는 동이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그가 동이족-인방족(人方族)에 대해 주목한 것은 '동이족과 그 문화'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었던 것이 아니다. 유교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 과정에서 동이족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었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그가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든 간에 '한국사상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과도 맞물려 있었다. 류승국 교수의 설은 당시는 물론 현재까지 학계의 통설과 다르다. 아직까지 학계에서 정면으로 논한 적이 없음은 아쉬운 일이다.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노골화한 이 시점에 류승국 교수의 학설을 진지하게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