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mart Job Matching Platform for Personal Assistant of the Disabled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구인·구직을 위한 비대면 플랫폼에 관한 연구

  • 강승애 (남서울대학교/스포츠건강관리학과)
  • Received : 2021.08.31
  • Accepted : 2021.09.30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provided personnel and recruitment information related to job offer and job hunting, and proposed a non-face-to-face platform that can facilitate matching of one-time services as well as periodic services. The existing recruitment and job search method for personal assistant of the disabled is a one-way matching method in which a person in charge of the service providing centers assigns an activity assistant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when a consumer requests an personal assistant service, so the choice of job seekers is very weak. The job matching platform of the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can be logged in separately by dividing users and separating them into the interface of the disabled or the disabled family members (job seekers) and activity assistants for the disabled (job seekers). Search for job offer and job seekers that meet their respective conditions, and real-time bidirectional decision-making through the chat function, and when the activity assistance service is completed, recruiters and job seekers can write service reviews and evaluations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The real-time interactive decision-making matching platform will also help minimize blind spots whe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services when short-term or one-time assistance is needed.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보조인 구인·구직에 관련된 인력 및 채용정보를 각각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구인자와 구직자가 결정되어 주기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일회성 서비스의 매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대면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구인·구직 방식은 수요자가 활동서비스를 요청하면 제공기관 담당자가 기관소속 활동보조인을 배정하는 일방적 방향의 매칭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구인·구직자의 선택권은 매우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구인·구직 플랫폼은 사용자를 구분하여 장애인 또는 장애인가족(구인자)과 장애인 활동보조인(구직자) 인터페이스로 분리되어 로그인이 가능하다. 각자의 조건에 맞는 구인과 구직을 검색하여 채팅기능을 통해 실시간 양방향 의사정합 방식의 매칭이 이루어지고, 활동보조서비스가 완료되면 구인·구직자는 각자의 입장에서 서비스 후기 및 평가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 구인·구직자의 매칭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실시간 양방향 의사정합 방식의 매칭 플랫폼은 단기 또는 일회성 활동보조가 필요할 때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송동현, 유재필, "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동향분석 및 정책적 제언", Internet & Security Focus, pp. 1-21, May 2014.
  2. Brencic. V., "Search online: Evidence from acquisition of information on online job boards and resume bank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 42, pp. 112-125, 2014. https://doi.org/10.1016/j.joep.2014.02.003
  3. 이문기, 이재덕, 박성택, "개인화된 구직정보서비스 제공에 관한 사례연구: 월드잡플러스의 스플렁크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 241-250,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2.241
  4. 인크로스, 2019 미디어 데이터 클리핑-구인.구직 플랫폼, 2019.
  5. 전지혜,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미국 장애인 활동보조제도(PAS)와 장애인케어제도(PCA) 분석을 중심으로", 제52권, pp. 255-278, 2015.
  6. Doty, P., Kasper, J. & Litvak, S., "Consumer-directed model of personal care: Lessons from medicaid", The Milbank Quarterly, Vol. 74(3), pp. 377-409, 2014. https://doi.org/10.2307/3350306
  7. Matsuda, S. J., Clark, M. J., Schopp, L. H., Mokelke, E. K. & Hagglund, K. J., "Barriers and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personal assistant services: result of consumer and personal assistant focus groups", OTJR Occup Participation Health, Vol. 25(2), pp. 66-84, 2005. https://doi.org/10.1177/153944920502500204
  8. 이익섭, 김성연, 이병화,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 289-312, 2010.
  9. Bartoldus, E., Gillery, B. & Sturges, P., "Job-related stress and coping among home care workers with elderly people", Health and Social Work, Vol. 14, pp. 204-210, 1989. https://doi.org/10.1093/hsw/14.3.204
  10. Paraprofessional Healthcare Institute, "A resource for paraprofessional staffing issues and quality improvement in long-term care, 2000.
  11. 최수민, 오승희, "공유플랫폼: 개방형 혁신 혹은 시장의 한계?-에어비앤비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제228호, pp. 54-59, 2017.
  12. 서영민, 이동규, 이병규, 전주영, 나정은, "각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구직자 중심의 구인구직 플랫폼 설계 및 구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제27권, 제2호, pp. 131-134, 2020.
  13. Cho. H. A., "Albachunkuk, Personalized part-time app launch", Ditoday, 2011, https://www.ditoday.com/articles/articles_view.html?idno=13382.
  14. Lee, S. W., "What is the part-time site selected by the work-seeker? 'Albamon' is a strength of rapid customization", 2012. http://branddiscover.co.kr/news/view.php?no=1049.
  15. 인크로스, 2021 미디어 데이터 클리핑-구인.구직 플랫폼,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