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test

검색결과 1,984건 처리시간 0.031초

관능검사에 의한 김치의 품질평가방법에 관한 실태조사: $1970{\sim}1995$년 학회지 게재논문 분석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 황인숙;김영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55-36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quality of Kimchi by sensory evaluation in 67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8 kinds of food & nutrition related Korean journals from $1970{\sim}199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mong 126 research papers on Kimchi, sensory evaluation results were shown in 67 papers. 2) The numbers of panelists for sensory evaluation were $10{\sim}12$ in 32 papers, $7{\sim}9$ in 15 papers, and $4{\sim}6$ in 6 papers. 3) The method of sensory evaluation applied was scoring test in all 67 papers. Among them, 25 papers utilized 5-points scale, 16 papers 9-points scale, and 11 papers 7-points scale evaluation. 4) Evaluate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taste, texture, odor, appearance & color, and others. Sourness, salty, and carbonic taste in taste; hardness, crispness, and toughness in texture; moldy, acidic, and grassy odor in odor were the most frequently tested characteristics. 5) Fermentation/storage periods, fermentation/storag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salt/time of soaking in salt solu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tested variables. 6) To evalu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 31 papers applied F-test, and 9 papers were appli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o determine which sampl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s. In 6 paper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sensory evaluation scores and the results of mechanical determinations.

  • PDF

유아의 감각처리가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processing on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preschoolers)

  • 김명선;하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81-19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non-disabled) 유아에서 선별된 감각처리문제군의 적응행동과 내재화/외현화 증상 관련 부적응행동을 대조군과 비교하고 감각처리가 적응/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3-6세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비장애 유아에게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바인랜드 2판을 실시하였고 최종 3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Pearson 상관,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처리는 적응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부적응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적응행동의 상관계수 범위가 적응행동 상관계수 범위에 비해 높았다. t-test 결과 감각처리문제군은 대조군에 비해 적응행동의 의사소통 및 사회성 관련 영역에서 유의하게 평균이 낮았고, 부적응행동의 모든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평균이 높았다. 감각처리 하위요인이 적응/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비장애 유아에서도 발생하는 비정형 감각처리는 적응행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내재화/외현화 증상 관련 부적응행동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경직형 양하지 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 능력 비교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astic Diplegia)

  • 김보람;신지은;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29
    • /
    • 2015
  • 목적 : 뇌성마비아동 중 양하지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 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을 학령전기와 학령기로 나누어 연령에 따른 감각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축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 중 양하지마비 유형으로 진단받은 만 3~10세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가 직접 설문지 작성을 하도록 하였다.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설문지 배부 및 수거가 이루어 졌으며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 40명, 일반아동 4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은 집단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 연령별 비교를 위해 Mann Whitney U-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단축형 감각프로파일 총점과 모든 영역에서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촉각 민감성과 맛/냄새 민감성을 제외한 5가지 영역과 감각처리 총점에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전기 아동은 총점과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기, 청각 여과하기,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 시각/청각 민감성에서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령기 아동은 움직임 민감성,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 시각/청각 민감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경직형 양하지마비 아동의 감각처리 평가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뇌성마비의 다른 유형을 대상으로 하는 감각처리 능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김치숙성도 판정기준을 위한 신속 검사법 Resazurin-test 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azurin test as a Rapi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Maturity of Kimchi)

  • 우순자;이혜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0-256
    • /
    • 1987
  • 김치숙성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배추김치, 깍두기, 오이김치 및 호남식 매운김치를 시료로 $25^{\circ}C$$4^{\circ}C$ 에서 저장하면서 pH, total acidity, volatile acidity, resazurin value, sensory 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Vitamin C와 NaCl를 분석하고 임상용 test봉을 이용하여 glucose와 Nitrite를 정성분석 하였다. 김치숙성도에 따라 pH, Vit.C와 glucose는 감소하고 total 및 volatil acidity, resazurin value와 sensory sauer value는 증가하고 NaCl은 변함이 없었다. Nitrite는 산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김치숙성도에 따라 가장 뚜렷하게 변하는 인자는 pH, total acidity와 resazurin value로서 sensory value와 상관성이 모두 높았다. Resazurin test value는 김치 저장온도와 시료검액 회석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시료 검액을 2%와 4%로 고정하고 적숙기 핑가기준을 냉장저장 김치에선 각각 2점과 4점, 실온저장 김치에선 2% 검액으로 4점을 기준으로 하면 resazurin test 방법이 김치숙성도 신속검사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진동자극 환경에서의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균형능력 및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grating Vibration Into Stabilization Exercise on Balance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손창환;문영;최종덕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7
    • /
    • 2019
  • Background: Compared to healthy people,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have reduced balance abilities which may cause proprioception problems,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avoid physical activities due to pain, and reduced activity levels lead to muscle weakening, which can further exacerbate pain.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use of sensory stimulation; and among these studies, interventions that use vibrational stimulation have shown functional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on the balance ability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person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5 subjects in each.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via a balance ability test,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test, a pain test, and a proprioceptive sensory test. Both groups received general physical 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general stabilization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the pain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Conclusions: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s than the conventional intervention method. Therefore, the stabilization exercise in a vibration stimulation environment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학령후기 여아의 바디스 원형 개발 (Development of Upper Garment Prototype for Girls in Late Elementary School)

  • 김현순
    • 복식
    • /
    • 제59권9호
    • /
    • pp.16-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ttern of a Upper Garment Prototype for late elementary school aged girls. The body of late elementary school aged girls changes steadily up to the adult and is characterized by its periodic noticeable physical distinctions. This study is selected a test pattern from 3 existing patterns through a preliminary wearing test, conducted wearing tests, and sensory evaluations three times to review and improve the pattern, and presented the pattern of late elementary school aged girls. The research pattern was developed considering aesthetic and functional aspect. The average score of sensory evaluation on appearance was 4.13 for the research pattern, which was higher than 2.74 for the test pattern. Th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st items between the two patterns through the t-test, in the items such as pleats in the line of a waist, the ease of the girth of a waist, the location of shoulder line was superior to the test pattern. The average score of the sensory evaluation on functionality was 4.91 for the research pattern, which was higher than 3.90 for the test pattern. The research pattern is superior to the test pattern in static posture, dynamic posture than the test pattern.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motorik and Sensory Integration on the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 김일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647-654
    • /
    • 2018
  • 본 연구는 또래와의 상호적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이끌어 내는 그룹 심리운동과 기능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한 개별 감각통합치료가 유아의 운동기술(motor skills)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주 2회 40분 씩 각각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B-O test, DeGangi-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TSI), MOT4-6 등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대 동작을 필요로 하는 항목을 선별하여 사전 평가 결과와 프로그램 진행 후 사후평가 결과를 토대로 항목별 향상 정도를 그래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 모두에서 운동기술 향상을 가져왔으며 특히 균형성 및 자세조절 등에서 두드러지게 향상 된 점수를 획득되어 두 영역의 프로그램이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법(官能檢査法)에 의한 식품(食品)의 품질(品質) 평가(評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우유의 관능(官能) 품질(品質)의 평가(平價)를 위한 파넬원 선발(選拔) 및 차이(差異) 식별(識別) 시험(試驗)- (Studies on the Evaluation for the Quality of Food by Sensory Testing -I. Selection of Sensory Panel and Difference Testing for the Evaluation on the Sensory Quality of Milk-)

  • 채수규;장권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0-157
    • /
    • 1980
  • 관능검사법(官能檢査法)에 의한 식품(食品)의 품질(品質) 평가(評價)를 위하여 관능(官能) 파넬을 선발(選拔)하여 우유에 대한 차이(差異) 식별(識別) 시험(試驗)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파넬원 선발(選拔)의 일반(一般) 기준(基準), 감도(感度) 시험(試驗)및 차이(差異) 식별(識別) 능력(能力) 시험(試驗)을 통하여 40명의 관능(官能) 파넬을 선발(選拔)하였으며 또한 그들이 우유 품질(品質)의 관능적(官能的) 평가(評價)에 있어서 정상 능력을 갖도록 훈련(練訓)을 실시하였다. 2. 파넬원의 기본(基本) 맛에 대한 감도(感度) 시험(試驗) 결과(結果) 짠맛, 신맛, 쓴맛 및 단맛의 평균 최소(最小) 감도(感度)양(量)은 각각 0.0128M sodium chloride, 0.008M citric acid, 0.0016M caffeine 및 0.0256 M sucrose이었다. 3. 시판(市販) 5개(個) 회사(會社) 제품(製品)의 우유 시료(試料) 간(間)에 단일시료법(單一試料法), 2점(點) 대비법(對比法), 1 2 점(點) 시험법(試驗法) 및 3점(點) 시험법(試驗法)에 의한 차이(差異) 식별(識別) 시험(試驗)을 통하여 1% 수준(水準)이상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조리 방법에 따른 닭의 기계적.관능적 특성 -토종닭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s by Cooking Methods -For the Focus on Native Chicken-)

  • 한재숙;한경필;김정숙;김미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07-316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part of a basic works to improve the native chicken uses. The mechanical test on the native chicken boiled plain broth and the sensory test was surveyed the preference of three kinds of chickens(native chicken, whangchu, broiler) prepared with six different cooking methods-chicken boiled plain, chicken broiled in microwave, stewed chicken, chicken fried with spice, chicken cutlet, chicken curry using 120 Yeungnam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s the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anels preferred the viscosity of chicken boiled plain broth for two hous. The viscosity of chicken boiled plain broth for two hous with the spindle at 5, r.p.m. of 20.50.100 was 8.6, 13.6, 9.9 respectively, and salt concentration was 0.40wt%. In the wensory test by cooking mehtods, the results of preference are in the following order-chicken curry, chicken cutlet, chicken fried with spice, stewed chicken, chicken boiled plain and chicken broiled in microwave. The most preferred cooking method of the native chicken, whangchu and broiler is chicken boiled plain, broiled in microwave and stewed chicken resectively. They preferred the native chicken in texture and taste. But in color, aroma and appearence amo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whangchuwas preferred by the pan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