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modulation disord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8초

감각조절장애 아동에 대한 가정 프로그램의 적용 - 사례연구 (The Home-based Program for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Case Study)

  • 이지영;김성은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9
    • /
    • 2007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ome-based program composed of sensory diet for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Method: The subject underwent the home-based program composed of sensory diet for 8 months. Evaluation tools we used are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II) for developmental screening;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clinical observation and the clinical history record form for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and draw a person test for visual perception. Evaluation was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s provided. Results: The subject has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in developmental level,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and visual perceptual ability after went through the home-based program. Conclusion: The home-based program composed of sensory diet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when it is difficult to apply classical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 PDF

감각 조절 장애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 캠프의 효과 - 사례보고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amp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Case study)

  • 이미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51
    • /
    • 2003
  • Objective : To explore the effect of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rough daily camp programs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Methods : A comparison of quantitative data and qualitative descrip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amp and main outcome measure was used, including MAP behavior checklist, JSI-2, COPM, sensory history, STEP-SI. Results : The adaptive response was increased and sensory modulation problems were observed less than before the camp. Conclusion : For this study a more diverse, extended and intensive SI program is considered necessary.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se findings.

  • PDF

감각조절장애 아동을 위한 가정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Home-based Program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이성아;김지연;조은희;박경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37
    • /
    • 2003
  • Objective :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f home-based outcomes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simple case study. The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diagnosed as developmentally delayed who 14 month and 26 month males and a 15 month female. After initial evaluation, parents were educated on sensory diet and Wilbarger protocol method for 30 minutes twice for home-based treatment and asked to make out daily treatment planning. To measure improvement of children, we used for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Results : After the home-based program, the scored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were higher rather than initial evaluation after the home-based program. Conclusion : The home-based program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but parents had to be educated by therapist specific evaluation and treatment in sensory integration.

  • PDF

혼합형 감각조절장애 아동에 대한 단기집중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사례보고 (The Effect of Short-Term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Program on a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Mixed Pattern) : Case Study)

  • 김은영;지석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6
    • /
    • 2006
  • Objective : This single-subjec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short-term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program which was provided in a 2006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course on adaptive response of a four-year-girl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mixed pattern). Method : Based on results of the assessment to the child, her therapist offers an organized sensory integration program during four days. Results : Improvement of child's movement quality and variety in physical environment in therapy rooms and interaction with her therapist were observed. Conclusions : This report of the case will be helpfu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lan to intervent with a short-term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program. In addition, the need for consideration of consultation with the child's parents is discussed.

  • PDF

감각조절장애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 치료적용-사례보고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Case Study)

  • 김미혜;지석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6
    • /
    • 2006
  • Objective : To summarize and interpret observations of responses of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during four therapy sessions in order to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Method : Analyze treatment goal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four therapy sessions and discuss implications of therapy. Results : Child's adaptive responses were improved throughout the therapy sessions. Conclusions :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s needed continuously. Future study with this participant is needed to explore mor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 PDF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Diet Home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Sensory Defensiveness: Case Report)

  • 허소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63-73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감각방어를 가진 만 12세의 자폐 범주성 아동 1명이었다. 보호자 인터뷰와 평가를 통해 대상 아동에게 맞는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만들었고, 보호자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가정에서 총 23일간 하루에 3번 30분씩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전 후에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과 사회성숙도검사가 시행되었고 아동의 감각증상목록이 작성되었다. 결과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후,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검사의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영역이 정상범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사회성숙도검사 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감각방어가 완화되었으며 감각조절과 감정의 조절이 향상되었지만 한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eighted Vest in Behavioral Problem for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 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 가림 여부에 따른 사회지수 및 감각처리기능 비교 (Comparison of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oile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철상;김태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3-142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function between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e aims to provide a basis for the training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hildren with ASD, aged from 4 to 7, receiving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t the H-Child Development Research Center in Busan, South Korea. After recruiting 30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ASD, we interviewed them and we divided their children into completed-toileting group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based on the past researches. We assessed them using the Social Maturity Scale and Sensory Profile. Spearma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between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and social quotient.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ensory Profile scores of the two groups. Results : The social quotient was correlated with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in the most of component as for auditory processing, vestibular processing, touch processing, multisensory processing, orosensory processing, except for visual processing. The groups of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sensory seeking, emotional reactive, oral-sensory sensitivity, and inattention/distractibility in the sensory factor reg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intergroup was observed in any modulation areas, nor in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Conclusion : A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ost of sensory processing areas, except for modulation areas and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The result revealed that toileting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nsory process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nsory processing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oilet training of children with ASD.

감각조절 장애 아동에게 치료적 듣기가 작업수행, 청각행동문제,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apeutic Listening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uditory Problem Behavior, an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박미영;김희;차태현;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26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를 시행하여 작업수행, 청각행동문제,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감각조절장애로 분류된 아동 만 4~7세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출법으로 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배치하였다. 2017년 7월 1일부터 2017년 10월 18일까지 두 군 모두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치료적 듣기 훈련을 실시하였다. 감각통합 치료는 주 2회고 1회기당 40분 치료 후 10분 상담으로 6주 동안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치료적 듣기 훈련은 주 3회로 1회기당 30분씩 6주동안 총 18회기를 진행하였다. 치료 중재 전 후 작업수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였고 청각과 관련한 행동문제의 변화를 보기 위해 Fisher's 청각행동 체크리스트(Fisher's Auditory Problems Checklist; FAPC)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교육현장 에서의 변화를 보기 위해 교사용 유아 주의집중력 척도(Child Attention Scale for Teacher; CA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작업수행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 두 그룹간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각행동문제는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두 그룹 간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의집중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에서 세부항목인'적응성과 감정'영역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두 그룹 간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치료적 듣기 훈련이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청각과 관련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작업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임상과 가정에서 듣기 훈련을 적용하여 감각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Play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작업만족도,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조절장애 아동 5명으로, 실험기간은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주 2회(매50분), 총 48회기를 실시하였다.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감각처리를 측정하기 위해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RKPPS), 사회성숙도 검사,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apanese Sensory Inventory Revised(JSI-2)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RKPPS, 사회성숙도, COPM, JSI-2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RKPPS(Z=-2.023, p=.043), 사회성숙도(Z=-2.023, p=.043), 작업수행도(Z=-2.023, p=.043) 및 만족도(Z=-2.032, p=.042), 그리고 JSI-2 중 촉각계(Z=-2.032, p=.042)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촉각계 처리와 같은 작업수행요소뿐 아니라 놀이, 사회성과 같은 작업수행영역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감각통합 평가 및 중재 시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대해 고려해보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