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diet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3초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육내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Wild-ginseng Culture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Ginsenoside Concentration of Meat in Finishing Pigs)

  • 장해동;김해진;민병준;조진호;진영걸;유종상;이재정;한무호;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29-340
    • /
    • 2007
  • 본 시험은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급여에 따른 돼지 생산성, 혈액특성, 육질 특성 및 돈육내 진세노사이드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시험 동물은 3원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48두를 공시하여 7주간 실시하였고, 시험 개시체중은 76.26±1.06kg이었다. 시험 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 1(FWG1)은 기초사료에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2.5%을 첨가하여 배합하였고, 처리구 2(FWG2)는 기초사료에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 5.0%을 첨가하여 배합하였다. 시험구는 각 처리당 4마리씩 4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성장률에서는 49일간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서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건물 소화율에서는 CON 처리구에 비해 FWG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내 콜레스테롤 농도에서 HDL 콜레스테롤은 FWG1 처리구에 비해 CON 처리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질특성에서 지방산패도는 CON 처리구에 비해 FWG1과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근내 지방도는 FWG1 처리구에 비해 CON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경도는 FWG1와 CON 처리구가 FWG1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다(P<0.05). 육색에서 등심의 L*은 FWG1 처리구와 비교하여 CON과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P<0.05). 등심의 a*와 b*은 CON 처리구와 FWG1처리구와 비교하여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내 ginseno- side는 CON 처리구에 비해 FWG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발효산삼 배양액 부산물은 비육돈에서 건물 소화율, 지방산패도, 경도, 육색 및 육내 ginsenosid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비육돈 사료내 비특이성 면역증강제(NIS)의 급여가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Non-Specific Immuno-Stimulator(NI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권오석;김인호;홍종욱;김지훈;민병준;이원백;손경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4-49
    • /
    • 2004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내 비특이성 면역증진 효과를 가지는 물질(NIS)의 첨가가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Duroc${\times}$Yorkshire${\times}$Landrace)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60.55$\pm$3.72kg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를 9주 동안 급여한 처리구(CON: 대조구), 대조구 사료를 6주 급여 후 NIS 0.05% 첨가한 사료를 3주 급여한 처리구(NIS1), 대조구 사료를 3주 급여후 NIS 0.05% 첨가한 사료를 6주 급여한 처리구(NIS2), 및 대조구 사료내 NIS 0.05%를 첨가하여 9주간 급여한 처리구(NIS3)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임의 배치하였다. 증체량은 전 시험기간에서 처리구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p>0.05), 사료 섭취량에서는 NIS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등지방두께에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구가 NIS를 시기별로 급여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처리구별 A등급과 B등급의 출현율은 CON이 50%, NIS2은 50%, NIS1는 58% 그리고 NIS3는 75%를 보였다. 등심의 L*값은 NIS2과 NIS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또한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에서는 NIS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마블링, 단단함 및 육색의 NPPC에 의한 결과에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료내 NIS의 첨가는 육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기능성 돈육으로서의 비육돈 자체의 생리활성이나 돈육의 지방산 조성등 육질 평가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솔잎 분말 첨가 사료가 계육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ine Needle Powder on Meat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박창일;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7-254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 사료에 솔잎 분말을 0, 0.3, 0.6 및 0.9%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솔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솔잎 분말 0.3% 급여구는 T1, 솔잎 분말 0.6% 급여구는 T2, 그리고 솔잎 분말 0.9%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솔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솔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솔잎 분말의 급여는 지방산화 지연으로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솔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솔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은 대조구보다 솔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P<0.05), CIE $a^*$값은 솔잎 분말의 급여에 의해 증가되어 솔잎의 급여는 산화를 지연시키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oleic acid는 솔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USFA/SFA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솔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이 증가되어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유익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장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and Coriolus versicolor judae Mycelia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 박경란;이운종;조민규;박의석;정준영;권오성;윤향식;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20-82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관련된 요소 중 하나인 장내 균총을 개선하고자,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저칼로리인 담자균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비만 관련 장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균성 담자 균류 소재 탐색결과 석이버섯 자실체와 운지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담자균류 소재 추출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열에 대단히 안정하였고, pH에도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석이버섯 8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이 고지방식이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장내 균총에서 Bifidobacterium spp.가 증가되었고, Clostridium spp.와 Eubacterium spp.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고자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석이버섯 추출물을 3%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추출물이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식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5. 저식염멸치젓 및 조기젓의 가공조건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5.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Yellow Corvenia)

  • 차용준;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6-213
    • /
    • 1985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 젓갈은 제조시에 첨가되는 식염의 양이 $20\%$ 전후이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식염의 과다섭취가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염섭취량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염함량이 낮은 저식염젓갈의 제조와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부를 KCl로 대체하여 저식염멸치젓과 조기젓을 담그어 재래식젓갈($20\%$ 식염함량)과 숙성중의 화학성분을 비교분석하여 저식염젓의 가공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젓은 숙성 60일경에, 조기젓은 숙성 90일경에 완전히 익었으며 관능검사결과, KCl을 식염의 $50\%$까지 대체하여 담근 젓은 재래식젓갈에 비해 별손색이 없었으며, 멸치젓 및 조기젓 모두 식염 $4\%$, KCl $4\%$, lactic acid $0.5\%$, sorbitol $6\%$ 및 고추가루 알코올추출물 $4\%$(W/V)를 첨가하여 담근 젓의 품질이 가장 좋았으며 숙성 120일까지도 맛이 좋았다. 그리고 TBA 실험결과, 고추가루 추출물의 항산화성도 확인되었다.

  • PDF

생리활성을 강화한 기능성 축산식품의 연구개발 동향과 전망 (Current Trend and Perspectiv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Biologically - Active Livestock Products)

  • 이복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7-271
    • /
    • 1996
  • Livestock products like meat, milk and egg have been principal food sources for human beings since the historic periods of time. Nowadays consumption of these food items have been avoided due to its high contents of SFA, cholesterol and total fat which are major culprits of chronic adult diseases causing major deaths of peopl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vestock products and diseases is not always true because the amounts of fat and cholesterol and types of fatty acids in meat and meat by-products depend on the part of the meat and types of animals. Although meat intakes do not always cause mai or adult diseases, still the developmental necessity does exist for animal foods equipped with biologically active properties, which in turn can improv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more than ever Meat with high protein lean part and low fat can be produced by applying synthetic somatotropin and beta-adrenergic agonists like clenbuterol, cimaterol etc. during breeding. This application brings benefits like higher growth rate, lower fat contents and improve feed efficiency ratios. Meats fortified with long chain PUFA($\omega$-3 fatty acids) can also be produced by modulating feed composition.Egg Products have faced the reduced sales annually because of its high cholesterol contents. Recently brand eggs fortified with special nutrients or chemical components having functional proper ties in the human body system are very popular Research Interests have been focused on eggs with low cholesterol and high omega-3 fatty acids. Low cholesterol eggs and high omega-3 eggs can be produced in several different ways, but popular way to increase is feeding the feeds with different oil sources containing high omega-3 and 6 fatty acids such as fish oil, perilla oil, linseed oil and lecithin etc. But proper compositon of feed formula should be found and economically beneficial. Brand eggs fortified with vitamin, mineral, unknown growth factors are also manufactured. Low cholesterol and high $\omega$-3 PUFA milk are marketed recently Cholesterol removal technology is not completely established and has several limitations to be overcome. Milk fortified with $\omega$-3 fatty acids is made by incorporating high &13 fatty acid foods in feed despite of extraordinary way of fatty acid metabolism In cow. All these biologically active products will be very beneficial and useful for human consumption when limitation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such as safety and lowered sensory qualities are resolved. Furthermore, thorough and precise tests and quality control for these products should be perform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in terms of improving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in general. However one caution should be pointed out to lay people informing that these items are nothing but a food and not panace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only way of maintaining good health is absolutely through consuming balanced diet.

  • PDF

마늘 부산물을 사료에 첨가 급여한 계육의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및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arlic by-products on Total 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0-866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마늘 부산물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TBARS, WHC, 전단력,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육색, 관능검사 및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마늘 부산물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마늘 부산물 1% 급여구는 T1, 마늘 부산물 2% 급여구는 T2 그리고 마늘 부산물 5% 급여구는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계육의 TBARS, pH는 마늘 부산물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낮아지는 결과를 보임으로 마늘 부산물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보수성은 대조구보다 T2와 T3에서 높았다(p<0.05).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마늘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 마늘 부산물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육색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CIE $a^*$값은 대조구보다 마늘 급여구에서 높았고, 마늘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 없이 마늘 부산물 1% 급여구부터 적색도를 높이는 결과이었고(p<0.05), CIE $L^*$값과 CIE $b^*$값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마늘 부산물 급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palmitic acid는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마늘 부산물의 급여는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장석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eldspar on Productivity and Composition of Eggs in Laying Hens)

  • 고재우;우간바야르;오동환;배인휴;조성균;공일근;양철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9-224
    • /
    • 2005
  •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장석의 첨가가 난 생산과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갈색테트라 산란계 96수를 4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6수씩 3단 철제 cage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를 기초사료로 이용하였으며, 장석을 수준별로 $0.5\%,\;1.0\%$$1.5\%$로 첨가하여 배합하였다. 산란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장석 $0.5\%$$1.0\%$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0.05). 장석 0.5, 1.0및 $1.5\%$첨가구에서 산란계의 난중, 산란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난각강도 및 난황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차가 없었다(P>0.05). 계란의 하우 유니트와 혈반은 장석 $1.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난백 높이와 잔반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은 대조구가 2.78로 가장 낮았고, 장석 $1.0\%$ 첨가구가 3.57로 가장 높아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장석 $1.0\%$ 첨가구가 3.70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mboo Charcoal and Bamboo Leaf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Chickens)

  • 김성환;이인철;강성수;문창종;김성호;신동호;김형진;유진철;김종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05-810
    • /
    • 2011
  • 본 연구는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사료효율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0일간 각각 0.5%의 농도로 급여하였다. 시험결과, 대숯과 대잎 시험군에서 시험기간 중 사망률은 대조군에 비해 낮아진 반면, 출하 시 체중과 증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대숯과 대잎 시험군의 사료효율도 개선되었으며, 계육의 전단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대숯을 급여한 닭에서의 지방함량은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경향을 나타낸 반면, 대숯과 대잎을 급여한 닭에서의 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계육의 관능검사 결과, 대숯과 대잎 시험군의 선호도는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혈액 및 혈청생화학 검사항목에서는 대조군과 시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시험결과는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사료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사료효율 및 육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료첨가제로서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유용성과 개발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생균제,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의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eeding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inishing Pigs)

  • 김희윤;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3-79
    • /
    • 2007
  • 본 시험은 육성-비육돈에 대한 생균제,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균제 0.2%와,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을 각각 1.0%를 삼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평균체중 $32.3{\pm}1.3 kg$) 육성-비육돈에게 100일간 급여하여 전단가, 보수력, 육즙감량 및 가열감량, 육색, 신선육과 조리육의 관능평가 및 조직감을 분석하였다. 목초액과 활성탄을 각각 1.0% 급여할 경우 유리수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보수력은 높게 나타났다. 육즙감량은 생균제,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을 급여함으로서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가열감량은 목초액을 1.0% 급여할 경우 적었다. 육색의 명도($L^*$)와 적색도($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황색도($b^*$) 값은 활성탄과 목초액을 1.0%급여할 경우 높았다. 목초액을 1.0% 급여할 경우 신선육의 관능평가에서 육즙감량은 적었으며, 육색은 높았다. 또한 가열육의 경우에도 육색과 육즙 함량은 목초액을 1.0% 급여할 경우 높았다. 따라서, 육성-비육돈 사료에 목초액을 1.0% 첨가 급여할 경우 경쟁력 있는 브렌드 돈육의 생산이 가능하며,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