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characteristic.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45초

우엉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Burdock (Arctium lappa L.) Powder)

  • 태미화;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26-1831
    • /
    • 2015
  • 기능성 소재로서 우엉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빵 시최적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우엉 분말을 밀가루 대신 5, 10,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우엉 분말이 제빵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엉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밀도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굽기손실률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 crust의 L, a 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Crumb의 L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 b 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경도, 씹힘성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부서짐성, 탄력성, 응집성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색, 향미, 단맛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촉촉한 정도, 구수한 맛, 씹힘성은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우엉 분말 5% 첨가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처리 조건과 당침지액이 건조 단호박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gar Infusions and Pretreatment Condit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Sweet Pumpkin)

  • 신동선;유선미;황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57-863
    • /
    • 2012
  • 단호박의 전처리 조건에 따라 건조 후의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처리 조건으로 블랜칭, 증숙 및 전자레인지의 방법으로 각각 전처리를 달리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크기는 $2.5{\times}2.5{\times}1$ cm로 하였으며 블랜칭의 처리 온도는 50, 70, 90 및 $100^{\circ}C$으로 하여 각각 2분 동안 처리하였고 증숙 처리시간은 0, 1, 2, 4 및 6분, 전자레인지는 0, 5, 10, 20 및 60초 동안 각각 가열하여 10분 동안 식힌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블랜칭 처리의 경우 수분함량은 대조구가 66.72%이었으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100^{\circ}C$에서는 59.06%로 감소하였다. 당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의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L값은 낮아지는 반면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다. 증숙 시간에 따른 품질특성에서 증숙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당도는 증가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의 폭은 미미하였다. 색의 변화에서도 증숙 시간이 길어질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 및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전자레인지 처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당도와 중량 감소율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색은 블랜칭과 중숙의 경우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결과는 블랜칭 처리가 가장 낮았으며 그 다음이 증숙, 전자레인지 순으로 나타났다. 당 침투 시간은 20시간으로 결정되었으며 당 종류별 관능평가에서는 설탕과 설탕:과당(1:1) 조성물이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건조 단호박은 전처리로 증숙을 2분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당침지액은 설탕:과당(1:1)이나 설탕:과당:플락토 올리고당(5:3:2)이 적당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청국장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erception of Cheongkukjang)

  • 강소진;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104-1111
    • /
    • 2014
  •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청국장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시판 청국장 7종류와 실험실 제조 청국장 제품 9종류의 이화학 특성 및 소비자 검사를 하였다. 실험실 제조 청국장에 비해 시판 청국장의 수분 함량이 낮았으며, 염도는 혼합청국장 형태인 C2가 높았고(P=0.001), 시판 청국장이 제조 청국장에 비하여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은 제조 청국장이 시판 청국장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제조 청국장은 발효시간이 길수록 청국장의 색이 어두웠다. a값과 b값은 시판 청국장 중 C2가 가장 높았으며, 제조 청국장은 가장 짧은 기간 발효시킨 P2A가 높았다. 시판 청국장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C4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조 청국장의 경우 발효시간이 길었던 시료가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시판 청국장보다 제조 청국장이 낮게 나타나 식품공전의 규격에 미치지 못하였다. 소비자 검사 결과, 조리 전과 조리 후 다른 시료에 비해 C4의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구입의향과 지불의향가격이 높아 소비자 평가의 일관성을 보여 주었다. 전반적으로 시판 청국장에 비해서 실험실에서 제조한 청국장 시료들의 기호도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한 청국장 제품의 품질개선이 필요함을 내포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청국장 특성은 실험실에서 제조한 청국장 시료에 비해 색이 진하고 시판 청국장에 비해 색이 연한 청국장이었으며, 국물이 적고 청국장 특유의 맛, 단맛, 고소한 맛이 강하고 청국장 이외의 향, 짠맛 및 쓴맛이 약한 청국장이었다. 조리 전 청국장은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이 높고(r=0.63) 수분 함량이 낮을수록(r=-0.61) 기호도가 높았고, 조리 후 청국장은 휘발성 염기질소(r=0.74)와 아미노태 질소 함량(r=0.67)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수분 함량이 적을수록, 휘발성 염기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이 높을수록 청국장의 소비자 기호도가 높음을 보여 주었다.

습식공정 파우더 파운데이션에서 파우더 코팅 시스템의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 Studies of Powder Coating System in Wet Slurry Processing Powder Foundation)

  • 이찬기;이수진;최재욱;최영진;한상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7-231
    • /
    • 2010
  • 파우더 파운데이션은 사용이 간편하고 수정화장이 용이하여 고객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만드는 방법은 건식방식, 소성방식, 그리고 습식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가 있다. 이 중 습식방법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back injection 방법과 front injection 방법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front injection 방법을 사용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용매의 종류에 따른 경도 변화를 살펴보면 휘발성 실리콘이나 탄화수소계 휘발성 물질을 이용할 때 보다 정제수를 이용할 때 경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감 측면에서는 물보다는 탄화수소계 휘발성 물질과 휘발성 실리콘 등을 사용했을 때, 고객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팅물질 변화에 따른 경도 변화로는 아미노산계 코팅물질을 사용하였을 때 경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실리콘 코팅 물질을 사용했을 때 경도 상승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대상 고객에 맞는 처방을 개발하고자 할 때 사용감과 경도의 상관관계를 알고, 처방설계에 이용한다면 고객이 원하는 사용감에 한발 더 접근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라면스프류의 감미성분(感味成分) 분석연구 (Studies on the Principal Taste Components in Soup Base of Commercial Ramyons)

  • 김현위;김영준;배수경;심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8-32
    • /
    • 2001
  • 시판 라면제품(봉지면 25시료, 용기면 11시료)을 대상으로 하여 짠맛, 단맛, 감칠맛과 관련한 성분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객관화하고 수치화하였다. 짠맛성분인 $Na^+$ 함량(봉지면 $18.73{\pm}3.18%$, 용기면 $17.62{\pm}1.92%$)을 분석하여 NaCl 함량을 구한 결과, 봉지면 20.90%, 용기면 18.16%이었으며, 감칠맛 성분인 glutamic acid 함량(봉지면 $10.50{\pm}3.78%$, 용기면 $10.47{\pm}1.68%$)를 분석하여 MSG 함량을 구한 결과는 봉지면 12.08%, 용기면 12.04%로 비슷하였다. 또한 GMP, IMP 함량은 봉지면 $0.15{\pm}0.06%$, $0.20{\pm}0.11%$, 용기면 $0.14{\pm}0.03%$, $0.18{\pm}0.05%$이었다. 단맛성분인 유리당(sucrose, glucose, fructose)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당의 종류별 감미도 계수(sucrose 1.0, glucose 0.7, fructose 1.1)에 따라 sucrose기준으로 환산하여 감미도를 비교한 결과는 봉지면 $19.85{\pm}5.68%$, 용기면 $18.02{\pm}7.82%$이었다. 따라서, $Na^+$, glutamic acid 및 유리당 분석법이 라면 중의 NaCl, MSG, 감미도를 알아내는 간단하고 정확한 기술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온도별 저장중 축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Meat Sausag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 김수민;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288
    • /
    • 1989
  • 저장온도가 축육소시지의 품질에 미지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온도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장 온도별 VBN 함량의 변화는 온도의 영향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는데 $10^{\circ}C$, $20^{\circ}C$에 비해 $40^{\circ}C$ 저장이 VBN 함량이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변온저장 $(10/40^{\circ}C)$인 경우에는 $10^{\circ}C$$20^{\circ}C$에 비해 VBN 함량변화가 빠르나 $40^{\circ}C$에 비해서는 변화가 느린 경향이었다. 저장온도별 VBN 함량,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기간의 경과와 저장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TBA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변화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40^{\circ}C$$10^{\circ}C$, $20^{\circ}C$ 및 변온저장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Aw와 수분함량은 저장온도별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소시지 색깔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두워지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slime형성의 기준인 관능평가 2.0을 기준으로 저장기간을 예측해 본 결과 $10^{\circ}C$는 40일 이상, $20^{\circ}C$는 40일 미만, $40^{\circ}C$는 30일 미만, 변온저장의 경우는 20일 정도로 산출되었다.

  • PDF

천마 및 표고버섯 첨가 전통간장의 숙성기간별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t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with Gastrodia elata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권혁진;김화선;최윤희;최지호;최혜선;송진;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1-238
    • /
    • 2014
  • 재래식 간장에 표고버섯 및 천마를 첨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킨 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염도가 낮았다. pH의 변화는 숙성이 될 수록 감소하였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군이 높은 값을 보였는데 표고버섯이나 천마로부터 유래된 당의 영향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Protease 활성은 실험구가 6~8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항산화 활성에서는 천마간장이 총 폴레페놀 함량 90.23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404.44 mg/m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자 공여능 측정에서 버섯 간장이 72.71%를 나타냈다.

전자선 조사가 신고배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Flavor Components in Pear (Pyrus pyrifolia cv. Niitaka))

  • 김원;심성례;유근영;전삼녀;정찬희;서혜영;송현파;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5-202
    • /
    • 2008
  • 신고배(Pyrus pyrifolia cv. Niitaka)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전자선 조사의 영향과 전자선 조사 후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DE 추출방법과 GC/MS 분석에 의하여 선량에 따른 신고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비조사 신고배와 전자선 0.25, 0.5, 1 그리고 3 kGy로 조사된 신고배에서 각각 46, 45, 44, 48 그리고 51종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신고배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C_6$ 화합물인 hexanal, n-hexanol, (E)-2-hexenal이 분리 동정되었다. $4^{\circ}C$에서 30일 저장 후 신고배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크게 변화가 없었다. 소비자 수용성에 기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하여 전자선 조사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평가 실시 결과, 1 kGy 이하의 저선량으로 전자선 조사된 배의 기호도가 대조군보다 오히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신고배의 전자선 조사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황기청국장의 발효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 최혜선;주선종;윤향식;김기식;송인규;민경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6-363
    • /
    • 2007
  •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를 첨가한 청국장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조단백은 약간 증가하였다. pH는 발효초기에 약간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미노태질소는 24시간까지는 황기 첨가구가 높았으나 이후에는 대조구가 높았다. 색도(명도, 적색도,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발효온도 $40^{\circ}C$에서 ACE 저해도는 대조구 48시간 86.0%, 황기첨가구 24시간 95.3%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40^{\circ}C$에서 48시간 발효 시 혈전 용해능은 대조구 100.7%, 황기 첨가구 74.4%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48시간 발효 시 청국장의 향기성분인 2,6-dimethyl pyrazine양은 대조구 19.0 ppm, 황기 첨가구는 3.3 ppm 이었으며, 관능검사는 황기첨가구의 전반적 기호도가 7.67(p<0.001) 으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황기 및 표고버섯 첨가 간장의 숙성 기간별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r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김화선;임지민;권혁진;유지연;박필상;최윤희;최지호;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7-474
    • /
    • 2013
  • 본 연구는 전통간장에 표고버섯 및 황기를 첨가하여 3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이화학실험, 항산화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장 식염변화에서 TK을 제외한 실험군 모두 염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기간별 뚜렷한 식염 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H 변화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의 pH가 다소 감소하였는데, 이는 첨가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총산도 변화에서 TK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MK과 AMK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의 변화에서는 TK에 비해 AK 및 AMK의 함량이 높았다. AK의 환원당이 TK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지만, MK의 환원당 변화는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에서는 AK가 0.50~0.98%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MK는 1.15~0.67%로 감소하였고 AMK도 0.78~0.64%로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 변화에서 AK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5일 이후 증가하였으며 25일에 52.24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역시 1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5일에 210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AK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신맛,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서, 표고버섯과 황기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고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황기 간장이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