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assessment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4초

내재적 피드백을 위한 질문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Questions for Internal feedback on Functional Recovery and Task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선화정;김희수;우지혜;유영열
    • 대한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30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estions and instructions for internal feedback effects on functional recovery and task performance while chronic stroke patients practised task-specific training. Method: Twen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hen patients performed same tasks, one was treated using questions and the other using instructions for internal feedback Both lasted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Outcome measures included Erasmus MC Modifications to the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EmNSA),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Motor Evaluation Scale for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MESUPES), Chedoke Arm and Hand Activity Inventory (CAHAI),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EmNSA and K-MBI(p>.05). But, in MESUPES and CAHA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05). Conclusion: In this study, questions for internal feedback during task-specific training a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task performance than instructions for internal feedback.

The relationship between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neuropathic pain in sciatic nerve injury due to intramuscular injection

  • Fidanci, Halit;Ozturk, Ilker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1호
    • /
    • pp.124-131
    • /
    • 2021
  • Background: Sciatic nerve injury due to intramuscular injection (SNIII) is still a health problem.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neuropathic pain and electrodiagnostic findings in SNIII. Methods: Patients whose clinical and electrodiagnostic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SNIII participated in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 and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 (SNAP) amplitudes of the sural, superficial peroneal, peroneal, and tibial nerves were graded from 1 to 4. Leeds assessment of neuropathic symptoms and signs scale (LANSS) was applied to all patients. Results: Forty-eight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67% of whom had a LANSS score ≥ 12. Sural SNAP amplitude abnormalities were present in 8 (50%) out of 16 patients with a LANSS score < 12, and 28 (87.5%) out of 32 patients with a LANSS score ≥ 12,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 = 0.01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ANSS score and the sural SNAP amplitude grading (P = 0.001, r = 0.476). A similar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in the LANSS score and the tibial nerve CMAP amplitude grading (P = 0.004, r = 0.410).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tibial nerve CMAP/sural SNAP amplitude abnormality and LANSS score in SNIII. Neuropathic pain may be more common in SNIII patients with sural nerve SNAP amplitude abnormality.

The Effectiveness of the 'One-Table One-Flower' Program on Job Stress Management of Police Officials

  • Choi, Hye Jung;Yun, Suk Young;Kim, Sang Woon;Sung, Su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1-21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lower decorations on job stress and stress copying style of police officers. Flower decorations were done in the form of "one-table one-flower", in which flowers were placed on each desk in the office space. By analyzing color psychology, we first identified the symbolism of color, and selected the cut flowers in the same color. We selected six types of flowers in six colors: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and purple. Each Monday morning, the flower decorations were delivered to the police station. We selected 50 subjects who wanted to keep flowers on their desks every week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subjects who only wanted to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as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examine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fter six sessions of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p < .001) and stress copying style (p = .049)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proved that having flower decorations in an office space is effective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police officers that are highly stressed, due to sensory stimulations from the colors and scents of flowers as well as mutual interaction as they take care of the flowers.

귀비탕가미방으로 호전된 항암화학요법 유발 말초신경병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Treated with Modified Guibi-tang)

  • 박수빈;윤지현;김은혜;윤성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51-459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modified Guibi-tang in a patient suffering from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Methods: A 54-year-old Korean female patient diagnosed with recurrent ovarian cancer had CIPN with other symptoms, such as anorexia, dyspepsia, insomnia, etc. She was diagnosed with Simbiyangheo and hence treated with a modified Guibi-tang. Neuropathic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a numerical rating scale (NRS) and a sensory score.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ynecologic Oncology Group Neurotoxicity (FACT/GOG-Ntx). Results: After 14 days of treatment, the patients showed a decrease in NRS for bilateral limb pain and improvement in other symptoms, such as general weakness, insomnia, dizziness, and headache. Quality of life also increased. Conclusion: Modified Guibi-tang may be considered an optional treatment for CIPN if the patient is diagnosed with Simbiyanghe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finding.

가정간호 대상자의 욕창발생 및 간호중재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Prevalence and Nursing Intervention of Bed Sore Patients who Received Regional Home Care Services)

  • 김금순;조남옥;박영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60
    • /
    • 1997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intervention method in finding out the incidence, risk fact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d sore cilents who received regional home care nursing services. The eleven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took the survey on 97 patients who received home care nursing service from Seoul City Nurses Association for one month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26 1996. A modified version of Braden's bed sore assessment tool for bed sore risks and a tool for assessment of bed sore stage and measurement bed sore sizes by Bergstrom, Braden, Laguzza and Holman(1987) were as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and a questionnare with 40 questions and 12 items on nursing activities was used to find ou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d sores. Also, two open ended questions were used on current approaches and efforts of the treatment being applied to clients.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1. The rate of bed sore occurrence was 47.4% 2. The areas of bed sore occurrence were hip(28.9%), sacrum(18.6%), great trochanter(14.4%) and the average number of sore spots were 2.26 3. Two groups-one with bed sores and the other without-were studied to determine prediction factors for bed sore risks. Sensory function, humidity, level of activity, mobility, nutrition, skin friction and chapping and body temperature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bed sores. Also the age of clients turned out to be a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ing the rate of bed sore occurrences. 4. The education for clients and family on systematic skin assessment and bed sores and practice of active/passive R.O.M. are mainly used as nursing activities for bed sore care. 5. The treatment method varied by stages of bed sores. Sometimes folk remedies like applying the powders of dried elm tree roots to sores were used. Good nutrition, frequent position change and skin care turned to be the most effective means to fast recovery of sores.

  • PDF

수면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적 이야기 중재 효과: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Study of the Intervention Effect of Social Stories in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 김지호;유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9-8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수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를 적용한 연구를 대상으로 중재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1년에서 2022년까지 데이터베이스 Scopus, ScienceDirect, psycArticles, Pubmed에 게재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social story' OR 'social stories' AND 'sleep' OR 'sleep disorders' OR 'sleep wake disorder bedtimes' OR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orders' OR 'sleep wake disorder' OR 'sleep arousal disorder'을 사용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6편의 실험연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 문헌은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는 2편, 개별 실험연구가 3편, 사례연구가 1편이었다. 대상자는 진단별로는 자폐스펙트럼 아동, 연령별로는 학령기와 청소년기가 가장 많았다. 중재유형은 사회적 이야기와 다른 중재를 함께 포함한 복합중재가 많았고, 중재 기간은 1일부터 40일 이상으로 다양하였다. 중재 효과로는 수면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그중에서도 야간 각성(night walking), 수면 시작 지연(sleep onset delay), 수면 불안(sleep anxiety)이 개선되었다. 사회적 이야기의 효과를 평가하는 도구로는 표준화된 평가에서는 아동 수면 습관 설문지(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와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child behavior checklist)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비표준화된 평가로는 인터뷰(interview), 수면일기 (Sleep diary)를 사용한 연구가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수면장애가 있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회적 이야기를 적용함으로써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면 중재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사회적 이야기의 중재 효과로는 야간 각성(night wakings), 수면 시작 지연(sleep onset delay), 수면 불안(sleep anxiety) 영역이 개선된 연구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수면의 질의 세부 효과 영역은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 전후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으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6편의 연구에서는 추적검사를 통해서 중재 효과에 대한 지속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를 적용한 수면장애 아동의 중재 효과, 결과 평가 도구, 중재 기간을 제시함으로써 수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를 임상에서 적용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단체급식소에 적용하기 위한 cook/chill 및 sous-vide 시금치국의 재가열 방법에 따른 관능적 품질평가 (Sensory Quality Assessment of Reheated Cook/Chill and Sous-Vide Spinach Soup for Foodservice Operations)

  • 류은순;이동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5-332
    • /
    • 2002
  • Cook/chill 및 sous-vide 시금치국을 국내 단체급식소에 적용시키기 위해 cook-chill 및 sous-vide 처리한 시금치국을 1일, 3일, 5일간 3$^{\circ}C$에서 냉장저장 시켰다. 이 제품을 중탕, 직화, steam/convection oven,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재가열한 후 관능평가를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가열 방법에 따른 결과에서 1일 냉장 저장 후 재가열한 시금치국은 맛과 외관은 steam/convection oven에서, 냄새와 질감은 전자렌지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3일 냉장 저장 후 재가열한 시금치국은 맛과 외관은 중탕에서, 냄새와 색상, 전체적인 수응도는 직화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일 냉장 저장 후 재가열한 시금치국은 맛, 냄새와 전체적인 수응도는 전자렌지에서, 색상, 질감과 외관은 직화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재가열 방법에 따른 차이에서는 중탕방법이 전반적으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통조리법을 이용한 시금치국(대조군)과 재가열 한 시금치국(처리군)을 비교한 결과, 색상에서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p<0.01)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맛에서는 3일 저장한 처리군과 5일 저장한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적(p<0.05)으로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평가 점수 결과에서, 중탕을 이용한 경우 색상, 질감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관능평가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직화를 이용한 경우 냄새와 질감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전자렌지를 이용한 경우, 맛, 냄새, 전체적인 수응도는 저장기간이 증감함에 따라 관능평가 점수가 증가하였고, Steam/convection oven을 이용한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맛, 냄새, 외관의 관능평가 점수는 높아졌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1일 저장한 시금치국이 전반적으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상을 살펴볼 때, cook/chill 과 sous-vide를 활용한 시금치국은 녹색채소의 특성을 고려한 색상에 대한 개선 연구가 필요하고, steam/convection oven 이외에 다양한 재가열 방법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국내 단체급식소에서도 주방시설에 많은 투자를 하지 않고 기존의 시설로도 이러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cook/chill과 sous-vide의 가공방법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의 개발을 통해 식자재의 새로운 공급방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발전한다면 앞으로 국내 단체급식업체는 생산과정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아동작업치료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in Relation to the Type of Therapy Institution)

  • 길영숙;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영역에서 기관별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 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구성은 Lee, Hong과 Park(2018)와 Kim(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아동평가도구 내용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3주 동안 Google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연구 분석은 일반적 특성, 평가관련정보, 평가도구 사용현황, 지식수준 및 교육 참여 욕구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 현황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은 Excel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기관별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는 복지관이 11.1개로 가장 많았고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의 경우 대학병원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재활병원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의원, 센터, 복지관, 어린이집은 순서 간의 차이는 있으나 Sensory Profile과 임상관찰 사용빈도가 많았다. 평가도구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참여 욕구에 대한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30명(44.8%)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았으며, 42명(62.7%)이 대체로 자신의 지식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매뉴얼 기반에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 질문에 66명(98.6%)이 긍정적인 답변에 응하였고, 66명(98.6%)이 평가도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영역 기관별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사용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관별 다양한 평가도구 도입 및 다양한 평가도구 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삼, 더덕 및 도라지 피클의 품질 특성 연구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 김애정;한명륜;정경희;조재철;박원종;한치원;장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3-447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Prior to the processing of the 3 kinds of pickles,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 SOD -linked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water extracts were assessed. After the processing of 3 kinds of pickles, we conduct a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values assessment.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water extracts were $1.66{\sim}1.70mg/m{\ell}$, levels which were similar to that of tocopherol($1.81mg/m{\el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4.06mg/m{\ell}$)(p<0.05). The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the Ginseng extract(98.86%) were similar to those of BHT(98.90%),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eoduk(35.70%), Doragi(78.07%) and tocopherol(65.91%). SOD-linked activity of Korea Ginseng water extract (42.58%) was similar to those of BHT(47.86%) and tocopherol(50.47%),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eoduk (17.98%) and Doragi(20.75%).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Ginseng water extract(87.85%) was similar to that of BHT(8.58%),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eoduk(79.51%), Doragi(77.62%) and tocopherol(78.95%). In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s of the 3 kinds of pickles, the Ginseng pickle evidenced significantly lower acceptance scores in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The luminance of the Ginseng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oduk pickles, the value of the Doragi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inseng and Deoduk pickles, and the b value of the Deoduk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nseng pickle.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pper Limb Coordinated Movement Based Task Oriented Approach on Improving Handwrit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김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77-87
    • /
    • 2016
  • 목적 :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한글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각 접근이 한글 글씨 쓰기 수행의 질과 글씨쓰기 준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10세의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을 통해 두 집단으로 나뉘어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과제중심접근 중재군과 과정중심접근 중재군으로 5주 동안 40분씩 주 2회 중재를 받았다. 글씨쓰기 수행은 한글 자모 쓰기 검사로 측정하고, 글씨쓰기 준비요소인 상지 운동 기능, 시 지각 기능과 시 운동기능은 각각 운동 유창성 평가(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중 미세운동조절의 하위검사 일부, 한국판 시 지각 발달 검사(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 개정된 시 운동기술 평가(Test of Visual Motor Skills-Revised: TVMS-R)로 평가하였다. 고찰 : 본 연구는 과제중심접근법을 적용하여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수행도를 향상시킨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과정중심접근법과 과제중심접근법이 글씨쓰기 준비기술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글씨쓰기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