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e and experience

검색결과 886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경험 요소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경험빈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Digital Experience Factors on Purchas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Digital Experience Frequency -)

  • 정상희;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23-39
    • /
    • 2020
  •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 19의 진전으로 인하여 패션 산업은 급속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다. 전통적인 패션쇼 조차도 온라인이 오프라인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 서비스로 인하여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둔 고객의 디지털 경험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졌다. 첫째, 디지털 경험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chmitt의 경험 마케팅의 요소를 기반으로 연구 변수를 도출하였다. 둘째, 서비스-이익 모델에 의해 품질, 고객만족, 충성도, 이익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디지털 경험을 출발점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셋째, 디지털 경험 회수가 독립변수와 고객만족 간 조절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규명을 하였다. 이를 위해 패션 쇼핑몰 이용자 180명에게 설문을 받았다. 설문 분석은 SPSS 24, AMOS 23와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경험 요소로 도출된 디지털 sense, feel, think, act, relate 5가지 요소중 act만 제외하고 모두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이들의 영향력 크기는 digital sense (β = .366) > digital think (β = .225)> digital feel (β = .191) > digital relate(β = .163)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고객 만족은 구매, 지속적 구매, 추천 의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지털 경험 빈도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디지털 경험 빈도는 digital feel 및 digital act와 고객만족 간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가상 수중 환경과 체감형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And Sensory Simulator)

  • 윤재홍;허기택;강임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60-568
    • /
    • 2012
  • 가상공간 구축 기술은 체험 방법이 다기능화 되면서 동작, 소리, 온도, 압력 등을 인식하여 콘텐츠와 사용자가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형 상호작용 기술 분야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은 3D그래픽 기술과 물리 현상을 가상공간에 적용시켜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가상환경에 하드웨어 장치들을 사용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상 수중 환경에 대한 체감형 콘텐츠의 제작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드웨어 장치들과 해양 콘텐츠를 연계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 변화에 따른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정규화된 수중 물리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사실감 있는 가상 수중 환경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킨스쿠버 체감 시뮬레이터를 가상 수중환경과 연동시킴으로써 수중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도 스킨스쿠버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체감형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360도 동영상 감각효과에 대한 사용자경험품질 측정 실험 방법 (Experiment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Experience for 360-degree Video with Sensorial Effects)

  • 정민혁;김상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13-116
    • /
    • 2020
  • 본 논문은 360도 동영상과 감각효과(Sensorial Effects)가 피실험자의 몰입도, 만족도,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Quality of Experience: QoE) 평가 실험 방법을 제안한다. 피실험자는 발향장치가 부착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감각효과가 동반된 360도 동영상을 경험한 후, 몰입도, 만족도, 실재감에 대한 설문에 응답한다. 응답 분석 결과 제안된 실험방법이 360도 VR 동영상과 감각효과에 대한 피실험자의 몰입도, 만족도, 실재감 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실험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360도 동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비교 실험을 위한 회색 화면을 삽입하게 되면 몰입도와 실재감에 상당한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Development of a haptic communication system for fashion image experi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 Kim, Jongsun;Choi, Dongsoo;Kim, Sangyoun;Ha, Jisoo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5호
    • /
    • pp.705-718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aptic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convey the tactile sensation of fashion materials in a virtu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and how realistically the virtual fabric image of this system delivers the tactile sensation of actual fabric was verified.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which the tactile attributes of fashion materials were defined that would be implemented in the haptic communication system. Then, a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the tactile attributes of fashion materials was developed. Next, a haptic communication system was designed to convey fashion image experiences in a virtual environment, from which a haptic rendering model was sugg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haptic communication system was evaluated by verifying user experiences with questions developed through a user evaluation experiment.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s pertaining to the tactile attributes and the effects of the haptic communication system were verifie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valuation of the tactile sense attributes of the fashion material, which identified density, thickness, and elasticity of the material as key factors. As a result of comparisons between the tactile sense through haptic characteristics and through touching, it was observed that regarding density and thickness, tactile sense experience led to greater perceived reality, while this was not the case for elasticity.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레저경험이 만족, 몰입, 재참여에 미치는 영향 - 요트대회 참여의 조절효과 - (Effect of experience quality of participant in the leisure marine sports : Effect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on Reparticipation motive - Moderating effect of pre-experiencing yacht race -)

  • 장재훈;임철;김선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49-1461
    • /
    • 2013
  • 본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활동의 질적 레저경험이 만족, 몰입, 재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 대회 참가경험 유 무에 따라 만족과 몰입이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자유감과 사회교류감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감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감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감과 사회교류감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이 재참여 의도, 몰입이 재참여 의도 그리고 만족과 몰입이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만족과 몰입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경험 유 무에 따른 조절효과에서는 만족이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회 참가경험이 있는 집단이 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회 경험이 없는 집단은 만족이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몰입과 재참여 의도의 관계에서 대회참가 경험 유 무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몰입이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집단과 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족이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몰입이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대회 참가경험이 있는 집단이 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Influencing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 양순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1061-1091
    • /
    • 2014
  • 언어는 문화화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을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차원에서 통합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사회적 참여활동 또한 이민자를 포함한 한 개인의 정체성을 신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이 주장하고 있으나 이를 경험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한국 농촌사회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한 자신들의 공동체 의식 수준에 한국어 능력 수준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과 같은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려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전국 43개 지역에서 조사된 3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어 능력수준 변인은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한 그들의 공동체의식 수준에 중요하고 의미있게 작용하는 반면 지역사회활동참여 경험 변인은 그것에 대해 매개적인 효과만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능력수준변인은 지역사회활동참여 경험 변인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민여성들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서 지역사회활동이 한국어 능력을 향상하는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본 연구결과에 토대하여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는 몇가지 방안들이 결론 및 제언부분에 제안되어 있다.

21세기 소비자 문화 트렌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r's Cultural Trend)

  • 양희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9-214
    • /
    • 2012
  • $21^{st}$ century customer is voluntary actor, who has hegemony of communication based on digital surrounding. They are co-creator dismantling boundary between production and spending, and digital homonarrance of digital storyteller acting on the emotion. What is more, they prove the utility of 5 sense, value, experience, and story in market. 20th century Me generation is changing into We generation, who overcomes a sense of alienation and aim at smart life style for harmonious symbiosis with earth environments. Customer cultural trends are as follow as that 1) personalization of taste and experience, 2) spreading and sharing about personal use and experience, 3) consumption centered the value, 4) retreat and healthcare, 5) counter trend comes into the reaction about the forceful major trend. Contemporary customer changes essence of the life on the ground of emotion, symbol, image, and value not a commodity, function, and logos, and demands into change about direction of business to mostly enterprises. Customer's need and desire are on the increase as various emotion and value. Therefore, change of customer cultural trend is barometer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new fashion industry in $21^{st}$ century.

  • PDF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Experiences Related to Sense of Place in Cities)

  • 임승빈;정윤희;허윤선;권윤구;변재상;최형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6-56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시, 경주시, 춘천시, 안성시, 과천시의 장소성이 높은 장소의 경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 도시의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의미있게 기억하는 장소와 그곳에서의 경험을 측정하고, 그 장소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장소성의 경험유형을 분류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소성이 높은 장소는 대체로 공원과 문화재 등의 자연적 역사적 도시자원과 관련이 있다. (2) 휴식 및 산책, 조망 및 감상의 경험이 장소성 형성의 주요 경험이며, 이들은 다시 공간경험 중심형과 교류경험 중심형으로 구분된다. (3) 서울시, 안성시, 과천시 등 일반적인 도시의 경우, 각각의 장소성이 높은 장소에서 다양한 경험이 분화되어 나타난다. (4) 경주시, 춘천시 등 자연경관, 역사, 문화 등이 특화된 관광도시의 경우, 장소성 높은 장소가 공간적으로 도시의 중심에 집중되며, 그 장소에서 다양한 행태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장소에 대한 도시민의 경험과 각 장소의 특성, 도시의 성격 등을 바탕으로 한 이러한 분석 결과는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도시마케팅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도시에서 장소성 높은 곳을 찾아내고, 각 공간에서의 장소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발전전략 수립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성이 없는 도시에는 활력을 줄 수 있는 특화 요소를 조성 발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시 내에서 장소성 높은 공간의 분포는 도시 관리 및 정비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설계에서 경관드로잉의 의미와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Landscape Drawings in the Environmental Design)

  • 변찬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5-104
    • /
    • 1999
  • The Landscape Drawing is the main medium for constructing better environment which provides human beings with a place for dwelling well, even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To provide places for people's daily lives, by what measure do we design\ulcorner, by what measure do we give dimension\ulcorner, and how can we appropriately measure the place with drawing\ulcorner On any given site, of course, much has already happened, i.e, there is history. Any adequate interpretation of such a site should poetically take into account the present effects of its absent past. The findings to reveal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landscape drawings in the environmental design with a case study are as follows: (1) The value of landscape drawings is the poetic, artistic interpretation which we sense and bodily experience through the simultaneous exposure of the site's temporal, spatial, and tactile conditions. (2) The landscape drawing should represent the invisible (imaginary) world as well as the visible (physical) world. (3) There can be classified as two methods in representing the rich experience of a place: expression and notation. Expression is the abstract representation and do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to construction due to its ambiguous and connotative structure. But notation is constructional due to it's purely objective symbol system which is obviously denotative structure. (4) Collage is a medium of specific act that can represent the complex layered phenomena and the rich experience of given site. (5) The landscape drawings represent not only topographical space which can be measured objectively, but also topic which can be cognized culturally.

  • PDF

초산모의 질분만 경험 (The Meaning of Vaginal Delivery to Primiparous Mothers)

  • 송미승;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4-453
    • /
    • 1992
  • Recent research reported that postpartum mothers showed differ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very, and though most mothers preferred vaginal delivery to cesarean section, the numbers of negative comments about the delivery experience were higher in a vaginal delivery group than in a cesarean section group. This study set ou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vaginal delivery as perceived by mother who delivered their babies vaginally and how the mothers felt about their delivery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primiparous mothers right after vaginal delivery in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Date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1992 through interviews lasting 20∼30 minutes using open ended questions about the delivery experi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similarity of countent. The meaning of the vaginal delivery was grouped in to four categories and the reason for vaginal in to three. One category of the meaning of vaginal delivery was pain, consisting of the subcategories too painful, want to be rid of the pain, unbearable pain and bearable pain. Another cutegory was a sense of accomplishment containing the subgroups wonderful, good and being finished, The third category was the feeling of becoming a mother The fourth category was that of not having any sense yet of the experience. The reasons for preference for vaginal delivery to a cesarean section were categorized in to the instinctive thinking that vaginal delivery was the natural method, a shortened period of recovery and a lower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a stronger feeling of maternal ident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