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citizens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9초

고령층의 사회적 고독감 해소를 위한 커뮤니티 모바일 앱 설계 (Community Mobile App Design to Relief Loneliness in Elderly People)

  • 김기환;김민범;김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0-212
    • /
    • 2018
  •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발표에 따르면 2009년부터 우리나라 노인 자살률은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관련 이유로 젊은 시절과 비교되는 사회적 참여도와 우울증이 있다. 정보화시대에 접어들어 커뮤니티 사이트의 영향으로 유대관계의 형성 및 확장이 쉬워졌다. 하지만 노인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가 부족하고 이마저도 고령친화적이지 않은 인터페이스 때문에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고독감 해결 및 정보화 사회 참여를 위한 커뮤니티 모바일 앱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노인이 커뮤니티 사이트를 사용하기 힘든 이유에 대해 분석하고, 사용자 평가 모델 중 하나인 PACMAD를 바탕으로 사용자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적, 인지적 조건을 고려한 커뮤니티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를 제안한다. 이로써 고령층의 정보화 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바탕이 되고자 한다.

  • PDF

노인 하체 근력 강화를 위한 키넥트 센서 기반 게임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Kinect-Based Game model for Strengthening Muscle of The Gerontologic Lower Body)

  • 강보윤;김윤정;김현경;이원희;박정규;박수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5-188
    • /
    • 2017
  • 고령화 인구 증가와 대비되는 노인의 낮은 건강 수명을 극복하기 위한 건강 증진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노인의 사망 위험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하체 근력 강화 운동이 중요하다. 본 본문에서는 노인이 자연환경 속에서 운동을 한다고 느낄 수 있는 홈 트레이닝 콘텐츠를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키넥트 센서를 사용하여 골격 모델의 특정 점을 추출하고 특징벡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인식하였다. 제안하는 게임 모델을 사용하여 운동 능력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의 능력에 맞는 운동을 처방 받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코로나19 팬데믹 불안을 겪는 노인들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융합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Face-to-face non-face-to-face convergenc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to alleviate anxiety of the elderly suffering from COVID-19 pandemic anxiety)

  • 김인숙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1-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불안과 디지털 소외를 경험하는 노인들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융합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시 소재 K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70세 이상의 노인들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불안을 겪는 노인들의 불안감은 프로그램 참여 전 참가자들의 심리불안 점수 평균은 3.02(SD 0.25)였고, 참여 후 평균은 2.79(SD 0.15)로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유의한 차이로 심리불안 점수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Z=4.245, P=.004).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불안을 겪는 노인들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융합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확대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방안 분석 (Plan Analysis to prevent Traffic Accident of the Elderly)

  • 황승연;신동진;김정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7-182
    • /
    • 2023
  • 우리나라는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약 15%에 이르는 고령화 사회이다. 이에 따라 현재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줄어들기 보다는 오히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문제가 바로 노인 교통사고이다. 당장 여러 매체에서도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증가하였고, 현재 교통사고로 숨지거나 다치는 노인이 하루 평균 약 110명, 한 해 약 4만 여명에 달하고 있고, 경찰청의 발표에 따르면 5년 전 보다 노인 교통사고 발생률이 25% 가량 증가하였음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노인 교통사고에 대하여 본 논문은 빅 데이터 분석, R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하여 노인 교통사고를 분석하여, 노인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과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지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nior Citizens' Professional Sports Leader's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 손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73-283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지역 6곳의 스포츠센터 199명의 노인전문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도자의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여주고 직무에 만족감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향상시키고 즐거움을 높여 건강한 노년기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리더십 교육을 통한 지도자의 올바른 인성과 역량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지도자의 역할은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시 노인주간보호센터 건축적, 물리적 환경 및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hysic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the Senior Citizens' Day Care Center in Jeonju)

  • 포위;진민희;정인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47-56
    • /
    • 2024
  • Through an examination of future societal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 demographic structure is gradually aging, thus placing higher demands on elderly welfare center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n three elderly day care centers in the entire region, aiming to enhance the pivotal role of elderly day care centers in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current usage status, interior architectu/ral evalu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of these center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to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day care centers showed that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smaller-scale centers did not lag behind larger ones in internal facilities, but larger-scale centers excelled in spatial utiliz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revealed correlations between family relationships, health status, level of assistance required, and satisfaction with facility usage, whil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sage tim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facility usage. This study conducted basic investigations such as architectural and physical surveys, and questionnaire surveys on elderly day care cente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uture design practices should continuously explore and innovate to meet the needs of an aging society, further improve the community care system,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d meticulous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lay the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nd providing comfortable services.

택배업체의 CSV(공유가치창출)가 신뢰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실버택배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CSV(Creating Shared Value) of Delivery Companies on Confidence and Intention to Use Delivery Service: Focused on Senior Parcel Delivery Service)

  • 김윤정;김은정;김종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5-100
    • /
    • 2017
  • 택배사들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택배 수요와 이를 처리할 배송 인력의 부족, 배송 난(難) 지역의 해소 및 택배거점 확보의 필요성, 배송비용 상승에 대한 대응 등 사업 수행상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실버택배 서비스를 도입하는 CSV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택배 서비스 품질과 택배사의 CSV 활동 및 소비자 개인특성요인이 택배사에 대한 신뢰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는 택배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온 오프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16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실버택배 서비스 품질인 신속성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버택배 서비스 업체의 CSV 활동의 진정성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SV 활동의 적합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개인 특성인 소비가치와 윤리적 소비성향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버 택배사에 대한 신뢰 또한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시민의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Estimation of citizen's willingness to pay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urban rivers)

  • 강지윤;양진우;황영순;김기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225-233
    • /
    • 2023
  • 도시하천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개발 등 여건변화로 본연의 모습과 가치를 잃고 인공적인 모습으로 변해왔다. 이로 인해 도시민의 삶의 질과 만족도 또한 하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대표적 도시하천인 수영강을 대상으로 도시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도시민의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비시장가치 추정을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적용하여 수질개선을 위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를 파악하고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상시나리오는 EPA, 수질사다리(waterquality ladder)의 개념을 이용하여 현재 수영강 수질이 오염된 물(4등급)이라고 가상시장을 설정하고 낚시가 가능한 수준(2등급)까지 개선을 시키고자 할 때의 지불의사를 조사하였다. 이때 지불수단은 기부금의 형태로 지불기간은 연 1회 향후 5년간으로 설정하였다. WTP는 한국개발연구원(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에서 제시하고 있는 로지스틱 분포와 스파이크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지불의사 추정결과 수영강 인접 지역주민의 지불의사가 상대적으로 높게 추정되었다. 또한 부산시민의 절반 이상(56.5%)이 '자연 및 생태보전'을 수영강의 주요 기능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하천환경개선을 위한 지불의사의 상승은 도시하천의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 기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 기대수준 충족과 더불어 도시하천 경제적 가치상승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주거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연령대별 의식 비교 연구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Community Facility According to Age Group of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 김혜진;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8권4호
    • /
    • pp.55-62
    • /
    • 2008
  • As the living standard of citizens are improving and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the facilities of welfare and convenience for varied ages rises. Besides, our residential environment is faced with the need for changing into the environment of integrated function of living, which holds health, leisure, culture, education, welfare, etc. Considering the present reality requiring the augment of welfare facilities due to our aging society, community integrated facilities are needed, which can contain welfare service for home-living citizens within residential circle and can accept diverse needs of residents. Accordingly, the study began in order to suggest a better direction for community integrated facilities' plan that considers all age brackets for aging society. The study is to figure out way of thinking what community space of 3 age cluster middle-age in the 30s~40s, preparatory senior citizen in the 50s and old age brackets in the 60s~70s. As methods for attaining the aim of this study, surveys of documents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simultaneously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a community among the members in the residential complex, showed that all the age groups have highly perceived its importance. All the age groups responded that leisure are important to the elderly. It indicates that importance of their social relations are with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t proves that there is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activities of residents in apartment house.

노인의 재난시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ping Behavior of Elderly in the Disaster)

  • 정순둘;박현주;최여희;이지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89-392
    • /
    • 2008
  • Warning phase of disaster is a critical period in determining the likely survival of threatened citizens. Elderly requires special attention primarily because they tend to be uncompliant and less likely to cooperate with authorities. But there is much less research on how elderly respond to disaster warnings, while there is a strong consistent empirical literature on older citizen in the recovery periods of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ping behavior of elderly when they are at risk of disaster.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nior citizens aged over 60 who are residing in Pyungchang and Injae in Kangwon province which had damaged due to heavy rain in 2006. Perry & Lindell(1997)'s index, a series of six categories that represent coping behaviors which progressively approximate the action of evacuating was used : do nothing(1), check environmental cues for evidence of a threat(2), engage in threat-specific property protection(3), engage in protective action for personal safety(4), prepare to evacuate(5), evacuate the areas as instructed in the warning(6). Almost respondents(69.2%) chose the level 6(51.5%) and level 5(17.7%). This proves the elderly are not uncompliant or uncooperative population. Furthermore,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warning in case of disasters. And 13.8% of total respondent checked level 1 for their re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