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worth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기가치감 및 사회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on Social Competence and Self-worth of Middle School Students)

  • 전상남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4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elf-worth and social compet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rvey collected 388 subjects from 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t^2-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elf-wor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cademic grades. Also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cademic grades. Second, it showed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and endurance on self-worth. Third, it showed the effect of external image, health, regular exercise and endurance on social competence.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programs and policies were required for development of physical self-concept, self-worth and social competence.

Effects of Busy Mindset and Self-Worth on Impulsive Buying: In the Category of Hedonic Products

  • LINH, Le Thu Khanh;RHEE, Hyongjae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9호
    • /
    • pp.55-65
    • /
    • 2020
  • Purpose: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perception about busyness can affect the way people view themselves and then make an impact on purchase decision-making. Based on a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or not perception about busyness affects perceived self-worth and has an impact on impulsive buy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aper conducted a survey in which two scenarios are used for manipulating degree of busy mindset. For analyzing data,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in conjunction with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Results: Busy mindset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self-worth. The effect of busy mindset on perceived self-worth is greater in the group of high perceived social mobility. In the category of hedonic products, perceived self-worth has a positive effect on impulsive buying inten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a sense of self-worth can affect impulsive buying behavior on the basis that people sometimes buy things on impulse as a way of self-indulgence or self-reward for their efforts.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suggest a busy appeal to consumers would be more effective for hedonic products.

아동의 불안과 우울증상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적 변인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Children's Affective Problems and Self-Worth)

  • 정문자;여종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1-83
    • /
    • 2009
  • This paper examined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anxiety, depressive symptoms, and self-worth. Seven hundred and thirty-eight 5th and 6th graders completed measures of affective problems, self-worth, styles of attribution, daily hassles,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ladaptive styles of attribution and daily hass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xiety, depressive symptoms, and low self-wort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depressive symptoms, emphasizing the role of social support of friends in preventing affective problems and enhancing self-worth.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 PDF

학령기 아동의 성별에 따른 자기 지각과 우울 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ptions and School Children's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 공인숙;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1-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ptions and school children's depress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participants comprised 578 school age children in Daegu or Gyeongbok Province. The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of self-perception(SPPC) and depression(CDI). The SPPC consisted of 6 domains, self-perception(scholastic compet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competence,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global self-wor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ANOVA, Repeated measures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using SPSS PC(19.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domain specific areas of self-perception, global self worth scored the highest amongst the other subscales(scholastic compet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competence, behavioral conduct and global self-worth) in both boys and girls. (2) Level of depression in school children differed according to sex and domain specific self-perception which was social acceptance,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global self worth. (3) Self-perception on depression was a more salient predictor in girls than boys. Among the domain specific area of self-perception, global self worth was the best predictor in both boys and girls.

지지적 음악심상(SMI)기법을 통한 내담자의 자기가치감 증진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Supportive Music Imagery for Enhancing Self-Worth)

  • 박지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57-82
    • /
    • 2020
  • 본 연구는 지지적 음악심상(SMI)기법을 적용한 사례연구로써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심상이 어떻게 내담자의 자기가치감 형성에 도움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자기가치감은 자기의 본질인 자신의 개별성과 독특성을 알고 전반적인 자신의 모습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연구 참여자는 자기가치감이 낮아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두 명의 성인이었으며, 각각의 연구 참여자는 주 1회, 총 6회 SMI세션에 참여하였다. 사례 분석에 있어 연구자는 참여자들이 SMI세션과정에서 서술한 음악심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가치감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자기가치감 형성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음악심상은 참여자들의 내적자원을 인식하도록 도왔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원에 대한 가치를 통찰하며 자기가치감을 확립해 나갈 수 있었다. 결론에서 SMI과정이 자기가치감을 형성시킬 수 있었던 추가적인 요인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Predictors of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trajectories among Korean adolescents)

  • 유창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25-58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의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의 관계가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 년도(2010년), 3차 년도(2012년), 5차 년도(2014년), 6차 년도(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350명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점차 그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이차함수의 모형으로 변화하였다. (2)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의 종류가 달랐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관계와 소득이 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질병유무와 부모의 과잉간섭 요인이 있었다.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부모의 애정, 또래신뢰와 또래소외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독립적인 개입이 필요하고, 청소년의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에 개입할 수 있는 세분화된 개입의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기반이 될 수 있다.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우울증상간의 관계: 자아존중감을 통한 경로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Self-Worth in Path Analysis)

  • 여종일;정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29-3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elf-wo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Seven hundred and thirty-eight 5th and 6th graders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Path analysis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is analysis also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self-wor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is partially mediated through a personal variable like self-worth.

자기-지각의 발달적 변화 (Developmental Change of the Self-Perception)

  • 이영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1-7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hanges about self-perception from childhood to adult period. The subjects were 365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2nd graders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ophomore in college, and adult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Harter's Self-Perception Profile for the children, adolescence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school, the score of scholastic, athletic,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global self-worth were decreased. At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ly anxious for self-perception. 2. Physical appearance were the best predictor of the global self-worth for all developmental stages. 3.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predicted more about the global self-worth than any other factor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ocial acceptance and friendship also predicted about the global self-worth. Scholastic competenc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global self-worth for the senio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a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4. For college students, males had higer scores than females on ability-oriented but also relationship-oriented subscales. But the adults showed no differences in nurturance, household management, job competence depending on sex.

  • PDF

친구, 가족, 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가치감에 따른 아동의 스트레스 (Effects from Social Supports and Global Self-Worth on Children's Stresses)

  • 한종혜;박성옥;이영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7
    • /
    • 1997
  •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초등학교 5학년의 경우 가족,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자아 가치감이 높았다. 가족의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으며, 자아 가치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졌다. 2. 중학생의 경우 친구, 가족, 교사의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졌으며, 자아가치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졌다. 3. 초등학생의 경우 친구, 가족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 가치감이 스트레스를 15% 설명하였다. 중학생의 경우 친구, 가족, 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 가치감이 스트레스를 28% 설명하였다. 4. 초등 학생의 경우 친구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 가치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자아 가치감은 다시 아동의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중학생의 경우 친구 가족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 가치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중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아동의 스트레스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5. 초등학생, 중학생 모두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자아가치감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아동이 당면하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하는가를 정밀히 관찰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들이 지니고 있는 능력을 긍정적으로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 PDF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이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 자녀 관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on the Maternal Depression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 최경애;유금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12-62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에 자신의 가치감을 수반시키는 경향(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인 부모 자녀 관계,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척도,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척도, 우울(CES-D) 척도 순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 모형 검증결과,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