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ported health

검색결과 1,651건 처리시간 0.03초

Diabetes Mellitus and Site-specific Colorectal Cancer Risk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 Woo, Hyeongtaek;Lee, Jeeyoo;Lee, Jeonghee;Park, Ji Won;Park, Sungchan;Kim, Jeongseon;Oh, Jae Hwan;Shin, Aes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1호
    • /
    • pp.45-52
    • /
    • 2016
  • Objectives: Previous large-scale cohort studies conducted in Korea have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DM) and colorectal cancer (CRC) in men only, in contrast to studies of other populations that have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s in both men and women. Methods: A total of 1070 CRC cases and 2775 controls were recruited from the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between August 2010 and June 2013. Self-reported DM history and the duration of DM were compared between cases and controls.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by binary and polytomous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DM was associated with an elevated risk of CRC in both men (OR, 1.47; 95% CI, 1.13 to 1.90) and women (OR, 1.92; 95% CI, 1.24 to 2.98). This association remained when we controlled for age, body mass index,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 In sub-site analyses, DM was associated with distal colon cancer risk in both men (multivariate OR, 2.04; 95% CI, 1.39 to 3.00) and women (multivariate ORs, 1.99; 95% CI, 1.05 to 3.79), while DM was only associated with rectal cancer risk in women (multivariate OR, 2.05; 95% CI, 1.10 to 3.82).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DM and proximal colon cancer risk in either men (multivariate OR, 1.45; 95% CI, 0.88 to 2.41) or women (multivariate OR, 1.79; 95% CI, 0.78 to 4.08). Conclusions: Overall, DM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RC in Koreans. However, potential over-estimation of the ORs should be considered due to potential biases from the case-control design.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정서와 대인관계 능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에 자가보고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총 13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연령,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 주관적으로 인식한 SNS 의존도,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 대한 인식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자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능력(${\beta}=-.41$, p=.009)만이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약 1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2.26, p=.049). 여자대학생의 경우,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beta}=.42$, p<.001)과 긍정학업정서(${\beta}=.27$, p=.010)가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약 2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5.19, p<.001). 그러므로 남녀 대학생의 SNS 중독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남자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요구되며, 여자대학생의 경우 SNS 사용시간을 줄이고 긍정학업정서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자극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eep on Balance Control and Reaction Time to Visual Stimuli)

  • 박수경;박정아;박강희;김주헌;홍용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68-76
    • /
    • 2016
  • 목 적 :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인체의 필수적인 생리작용으로, 수면의 질 저하는 전반적인 건강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면과 균형조절능력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기 위하여,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건강한 20대 남녀 58명을 대상으로 PSQI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한 다음, PSQI 점수에 따라 대상자를 A군(PSQI <5)과 B군($PSQI{\geq}5$)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대상자들의 체성분과 신체특성, 균형조절, 시각적 반응시간 및 오류횟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 수면의 질이 양호한 A군에 비해 수면의 질이 낮은 B군에서 아침기상 시 졸린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이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두 실험군의 신체조성을 비교한 결과, 수면의 질이 낮은 여자 대상자들의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면상태에 따른 균형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각적 반응시간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수면의 질이 낮은 B군에서 반응시간은 선형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오차횟수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수면의 질 저하는 반응속도를 지연시키고, 반응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선택적 주의력의 저하는 균형조절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낙상 등의 손상을 입을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민간구급차 운전자의 기본 응급처치 지식에 관한 융복합적 의식조사 (Convergence awareness of basic emergency treatment by private ambulance drivers)

  • 김수태;이영희;신동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27-13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 응급환자이송업체에 종사하는 구급차 운전자의 기본 응급처치 인식을 알기 위함이다. 2013년 2월 20일부터 4월 1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의 민간 응급환자이송업체에 근무하는 구급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중 181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구성은 기본소생술생술에 관련된 기도 관련문항(A)-3문항, 호흡 관련문항(B)-9문항, 순환관련문항(C)-4문항, 의식 확인 관련문항(D)-4문항, 감염관리 관련-3문항 등으로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감염관리 인식은 87%에서 알고 있었으며, 기도, 호흡, 의식에 대한 인식은 60%였다. 응급처치는 23점 만점에 15.20점, 의식 확인은 4점 만점에 2.55점, 기도관리는 3점 만점에 2.08점, 호흡은 9점 만점에 5.35점, 순환은 4점 만점에 2.56점이었다. 민간 구급차 운전자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응급의료체계에서 민간구급차 서비스의 양적,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감염관리 교육 후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change after infection control education by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areas)

  • 손은교;정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94-502
    • /
    • 2017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상에 들어있는 치과감염관리 교과의 수업 후 감염관리 인식 변화를 학년별로 알아보고 교육 과정에 감염관리 교육방법의 추가 편성을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결과로 첫째, 병원 실습 경험에 따른 항체인지는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 127명(62.6%)이 더 알고 있었고, 개인 방호 선택에서는 실습 경험과 상관없이 손 씻기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마스크 쓰기를 선호하였으며, 감염 교육방법 선택은 실습수업이 병원 실습 경험과 상관없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항체 인지는 학년이 높을수록 더 인지하였고, 개인 방호 선택은 1, 2학년은 손 씻기를 선택한 반면, 3학년은 마스크 쓰기 (44.4%)를 선택하여 학년 간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습 경험에 따른 환자 및 개인 건강인식 정도 차이에서는 환자 건강 인식 관련 결과 t 값은 '2.387', 유의 확률은 '0.05'보다 작기 때문에 실습 경험에 따른 환자 인식에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자 관련 감염 인식에 대해서는 교육 후 인식 변화가 가장 큰 설명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년, 실습 경험 유무의 차이에 따른 유의성이 나타난 것은 학년별로 실습 경험이 내재되어 있고, 임상실습 경험의 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학생들의 교육방법 선택에서도 실습교육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감염 교육의 효과는 인식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도출하여 계속적인 감염관리 교육의 계발과 재교육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간호 대학생의 성격유형별 학업능력과 스트레스 (Learning ability and Stress by Character typ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차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257-6264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지각한 성격유형별로 학업능력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총 209명으로 2012년 11월 2일부터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성격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가 학년이었고, 학업능력에는 학년, 종교, 학교성적, 경제상태, 스트레스 해소방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는 학년, 학교성적, 거주상태가 유의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이 지각한 성격유형과 학업능력,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격유형과 학업능력이 강한 음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능력과 스트레스간에도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성격유형이 B형일수록 학업능력이 높아지며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학업능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성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격유형 A형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A는 학습능력과 스트레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 Adj $R^2$은 8.4%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 대학생의 학습능력을 이해하고 성격과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하다.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정도와 우울 대응행동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eparation,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in University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5-266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및 우울 대응행동에 대해 파악하고, 심리적 독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4개교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우울하지 않음 54.2%, 경증 우울 22.9%, 중증 우울 16.8%, 심한 우울 6.1%로 나타났으며, 우울 대응행동은 인지활동지향행동 30.76%, 혼자하는 행동 28.32%, 대물지향행동 25.50%, 대인관계지향행동 15.06%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에 따라 아버지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심리적 독립은 우울 수준에 따라 갈등적 독립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의 모든 영역에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갈등적 독립만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는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수준을 강화하고 어머니와의 갈등적 독립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바람직한 우울 대응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과 중국인의 황사로 인한 자각증상 및 예방행동 (The Perceived Symptom and Preventive Behavior Related to Asian Dust Event: in South Korean and Chinese)

  • 장문희;하은희;서영주;이보은;권호장;황승식;이충민;서주희;김병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37
    • /
    • 2009
  • Recently rapid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desertific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China make a threat to Korea, especially during Asian Dust Event (AD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symptoms and behaviors related to ADE between Korea and China.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self-reported symptoms and behaviors before and during ADE. Korean and Chinese subjects were grouped into children, adults, and elderly by nation (n=791).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chow's test for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 estimated the odds ratio for perceived symptoms during ADE by preventive behavior, using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ymptoms in Korea and those in China such as cold, cough, and sore throat, especially in elderly. Preventive behaviors such as avoiding outdoor activity and wearing sunglasses were more often performed in China than Korea. However wearing mask was more often performed in Korea than China. After adjusting for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smoking status, the odds ratio (OR) of dry cough symptom in Kor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losing the windows and wearing a mask during ADE. In China, the OR of dry cough symptom was decreased by wearing a mask and avoiding outdoor activity. We found that China which had higher performance of preventive behavior showed lower prevalence of symptoms during ADE than Korea. Also preventive behaviors could affects prevalence of symptoms during ADE. This results suggest that preventive behavior. could reduce symptoms during ADE and there are needed for. more attentions to reduce a threat of ADE.

공주지역 여대생의 지방 섭취 양상 조사 (Patterns of Dietary Fat Intake by University Female Students Living in Kongju City: Comparisons among Groups Divided by Living Arrangement)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286-298
    • /
    • 1997
  •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pattern of dietary fat intake of 120 university female students living in Kongju city in order to provide baseic data for establishing the dietary grideline of desirable fat intak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living arrangenment ; family home(FH), or dormitory(DM), or self-boarding house(SB). Fat consumption of subjects was surveyed by two-day food records, and profiles of fatty acid and cholesterol taken were calculated based upon the data reported their contents of foods. The result was that mean daily fat intake was 42$\pm$2g for FH, 48$\pm$4g for DM and 41$\pm$3g for SB. The calorie intake by fat was 20.8, 21.5, and 20.4% respectively. The ratio of P/M/S was 1.3/1.7/1 for FH, 1.3/1.6/1 for DM and 1, .5/1.5/1 for SB. And the ratio of n-6/n-3 fatty acid was 5.2/1 for FH, 8.3/1 for DM and 7.2/1 for SB. Daily cholesterol intake was 208$\pm$20mg for FH, 223$\pm$29mg for DM and 251$\pm$27mg for SB. In addition, intake of n-3 fatty acid was 1.2$\pm$0.2g for FH, 0.9$\pm$0.1g for DM and 1.2$\pm$0.2g for DB. Considering the food source of fatty acids, saturated fatty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were taken primarily from animal foods, especially milk and milk products,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taken from vegetable oils and fats. As a major source of n-3 fatty acid, linolenic acid was obtained through vegetable oils and fats, and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were provided by fishes and their products. There patterns of fatty acid intake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living arrangement.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intakes of fat and cholesterol, and ratios of P/M/S and n-6/n-3 fatty acid were overall desirable in all groups. However, intake of n-3 fatty acid was low in all groups. Therefore, consumption of perilla oil, legumes and fishes as a source of n-3 fatty acid should be increased by substituting other food source which provide fats and oils because calorie intake by fat was enough in these subject.

  • PDF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과 웰다잉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Well-Dying,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Nursing Students)

  • 김오숙;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3-71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을 맞추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웰다잉과 임종간호태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정도는 호스피스 교육경험(F=2.53, p=.012), 가까운 주변 지인의 죽음경험(F=3.37,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37, p=.00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죽음인식은 웰다잉과(r=.23, p<.001), 웰다잉은 임종간호태도(r=.2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웰다잉(${\beta}=.19$), 가까운 주변 지인의 죽음경험(${\beta}=.16$)이었다. 따라서 양질의 임종간호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가 중요함으로 웰다잉과 죽음인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