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lf-employment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25초

치위생과 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ing 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류혜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1-59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ing 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5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nam from September to October 30,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5 items), employment stress (22 items) and job searching self-efficacy (27 item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 program. Results: The lower grade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education service quality. Those who were dissatisfied with major had higher schoolwork stress. Poor economic status had a relation to family stress. The employment stress has an effect on job motivation, self-esteem, job skill, and human relation skill.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reduce employment stress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That should be provide support of education environment control, opportunity of self-development on improve the self esteem and human relation skill, from freshman to broaden understanding of the majors, for the employment stress coping skill.

자영업의 지속기간과 지속의사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for Sustaining Period and Willingness of Continuing of Self-employed Business)

  • 홍성희;유가효;강세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1호
    • /
    • pp.41-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ntinuity and the willingness of continuing self-employment. The sample of 321 was selected from self-employed workers living in Daegu. For data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sustaining period of self-employment were affected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of self-employed workers, as well as the amount of starting capital, couple's partnership in business or not, and the type of industry in business. 2. Willingness to continue self-employment is more likely for those who without other income source, have positive vision with future economic prospects, have more satisfied with their self-employed work.

  • PDF

Association Between Work Status and the Use of Healthcare Services Among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 Hyun, Min Kyung;Kan, Man-Ye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51-58
    • /
    • 2022
  • Introduction: Previous studies on occupational health focussed predominately on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disease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measured how employment is associated with the use of healthcare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and the extent and range of healthcare use, such as medical expenditures, of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We analyze data of the Korean Health Panel, an ongoing longitudinal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from 2008 to 2017, to identify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of women by year and age group. We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female employment status and medical expenditures by using random effect panel Tobit models.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the range of healthcare services in bio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M) by conducting conditional fixed-effe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or women aged between 25 and 65 in 2017, the majority of them were employed or self-employed.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of self-employment equals 64.80%). In addition, working women spent 11.6% less on healthcare than nonworking women, and self-employment lowered the healthcare expenditure by 13.1%. Neither work nor the type of work is related to the types and range of healthcare service use. Being employed or self-employed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expenditure on healthcare. Conclusions: The findings show that employment is associated with less spending on healthcare. They imply that employ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women's health.

Correlation Analysis of Self-employment of Retirees Us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 Establishment

  • Kim, Jong-Jin;Youn, Myoung-Kil
    • 산경연구논집
    • /
    • 제6권4호
    • /
    • pp.17-22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tirees who sought not to be reemployed or join an organization but, instead, to be self-employed. This study verified self-employment by regional and/or educational features to determine the self-employment factors and the policies requir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Models and hypotheses were used to verify the conversion into self-employment depending on retire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regions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and used SPSS 18.0 as follows. First, frequenc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a factor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Results - Hypothesis 1, which stated that, "retirees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often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was significant. Hypothesis 2, which stated that, "retirees in metropolitan areas frequently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was significant. Hypothesis 3, which stated that, "retirees in a megalopolis frequently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was significant. Conclusions - A preliminary startup education was needed to lessen the losses. Retirees should have preliminary knowledge of actual self-employment conditions to be given a startup education.

경기변동이 자영업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집단별 차이 -구축가설과 유인가설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ush factors on transition into self-employment across age groups - Focusing on push hypothesis and pull hypothesis -)

  • 지은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141-178
    • /
    • 2012
  •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자영업의 비중이 크고 연령집단에 따라 자영업 비중의 차이가 크지만, 경기변동이 자영업 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집단별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5~11차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가설과 유인가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업률이 높을수록 자영업 이행률이 높아져 구축가설을 지지한다. 기업가 정신의 발현보다는 노동시장여건의 악화로 자영업으로 밀려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청년층에 비해 30대와 40대의 자영업 이행률이 높다. 경제활동이 왕성한 30~40대가 주변부 노동시장에 진입할 확률이 높아서, 자영업이 특정 연령계층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40대의 자영업 이행은 직업기회가 제한될 때 급증하여, 경기불황에 자영업으로 밀려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의 고용이 경기변동에 취약한 것을 말해준다.

보건 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loyment Stres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Health Students)

  • 이대희;장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8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 Methods :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tress,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 measurement tool was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questionnaire to suit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 subjects, 210 students (46 men and 164 women) enrolled in colleges located in Busan, had their scores o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job-seeking stress scale, and self-esteem scale measured. Results :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variables of employment str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Additional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result taken from the job-stress scale showed that women experienced an overall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en while seeking jobs. Furthermore, in terms of the BDI, me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women when subjected to job-seeking stress. Finally, the results from the self-esteem scale reveal that men exhibited less self-esteem than women. Conclusion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udy's findings suggested that women had greater job-seeking stress than men. Additionally, it found that, for men, job-seeking stress had a greater impact on depression levels and self-este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high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may lead to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lower levels of self-esteem. It will be useful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by operat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programs.

자영업 선택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lection of Self-employment in Korea)

  • 전병유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149-179
    • /
    • 2003
  •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자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금전적인 제약과 실업률로 대표되는 경기적 요인이 자영업 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1~4차년도 자료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력이나 직업 경험과 같은 인적자본은 남성의 자영업 선택에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에는 직업 경험이 자영업 선택에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자산 소유는 고용주 선택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금융 자산 소유에 따른 소득은 자영업 선택에 오히려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적인 문화와 환경 조건을 반영하는 자영업 경험 여부 또는 부모가 자영업인가의 여부는 남녀 모두 유의하게 자영업의 선택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가장 관심있게 검토한 실업률과 자영업 선택 간의 관계는, 우선 미시적인 분석에서 선택편의와 예상소득기회의 차이를 통제한 구조 모형에서 실업률은 유의하게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시 분석에서도, 경기변동과 노동시장의 조건을 반영하는 실업률과 자영업 선택 간의 관계는 외환위기 이후 대체로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자영업은 실업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라는 '밀어내기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변동에 대응하는 자영업 선택에 관한 개인의 의사결정에서 자영업 선택에 따른 소득기회와 관련된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개인적 특성의 차이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근로자의 이질성과 자영업 선택에 관한 실증분석 - 임금근로에서 자영업으로의 진입을 중심으로 - (Heterogeneity of Workers and the Entry into Self-employment - Focusing on the Entry of Wage Workers into Self-Employment -)

  • 김우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2호
    • /
    • pp.1-36
    • /
    • 2013
  • 본 연구는 임금함수 추정으로부터 얻어진 잔차, 즉 보이지 않는 이질성이 자영업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Joona and Wadensjo(2013)에 따라 이 잔차를 개인 능력의 대리변수로 간주하고, 과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자영업자가 되는지, 아니면 능력이 낮은 사람이 자영업을 선택하는지를 한국노동패널 1-11차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할 때 능력의 양극에 있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자영업 진입확률이 높지만, 남녀를 구분할 경우 이러한 U자형의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능력이 낮은 사람이, 여성의 경우에는 능력이 높은 사람이 자영업으로 진입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1998-2008년 사이 능력과 자영업 진입과의 관계에 변화가 있었으며, 능력이 높은 사람이 대체로 자영업 성과도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of Health College Students)

  • 신선행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7-225
    • /
    • 2012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보건계열 대학졸업 예정자들이 겪는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0년 5월10일부터 6월 11일까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일부 보건대학 졸업예정자 29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취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취업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2. 자아존중감 수준은 3.10 이었고, 긍정적 자아존중감(3.76)이 부정적 자아존중감(2.44)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3.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r=0.132)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4. 회귀분석 결과, 취업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가정형편,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만족도, 자아존중감(p<0.001)이었다. 즉, 가정형편이 어려울수록, 그리고 학업성취도가 낮고, 대학생활 만족도가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며 대학현장에 취업 전담부서를 비롯한 전반적인 학교행정복지서비스를 강화하여 보다 나은 학문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사회와의 산학협력체계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취업에 대한 주체적 책임은 학생들이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능동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 배려, 사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청년자기고용(self-employment) 특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t and Activation Methods: Young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최기성;김윤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17-233
    • /
    • 2022
  • 본 연구는 청년들의 자기고용 특성과 인식 그리고 자기고용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그간 이뤄진 자기고용에 대한 논의와 종사자 규모를 검토하고, 서울과 경기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실태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자기고용 청년의 특성, 결정요인 그리고 애로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시된 활성화 방안은 먼저, 정부, 지자체, 학교 모두가 청년 취업 문제 해결을 위해 적성과 역량에 기반하여 아이디어 개발, 제작, 판매 등의 실무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자기고용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을 증진시키면서 실현 가능성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기술기반 창업에 대한 지원에 비해 지식, 제조, 유통 분야의 경우 지원을 받고 싶어도 적합한 프로그램이 없으며 청년층 대다수가 종사하고 있는 프리랜서에 대한 지원은 거의 전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청년층이 지닌 다양성이 자기고용에서도 발현될 수 있도록 IT에 편중된 지원사업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기업가 정신이 자기고용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기업가 정신이 무엇인지 잘 모르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교육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창조적 아이디어와 실행력을 갖춘 청년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문화적 토대 마련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