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servic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2초

개념연결표의 활용이 예비교사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the Link Sheet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s learning)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59-27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연결표의 활용이 예비교사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5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미적분학 강좌 시간을 활용하여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담 결과에 의하면 개념연결표의 활용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연결표의 활용은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수학의 유용성이나 가치 인식 및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러닝의 품질특성과 만족도에 관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of quality and satisfaction of e-Learning context)

  • 안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5-45
    • /
    • 2017
  • 이 연구는 이러닝의 품질요인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 있어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이러닝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신뢰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이러닝의 품질요인은 컨텐츠, 시스템, 서비스, 상호작용 등 요인으로 나뉘었고, 학습자 유형은 적극적 협동학습유형, 자기주도적 학습유형, 환경의존적 학습유형, 소극적 학습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닝의 각 품질요소는 사용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유형을 가진 그룹이 만족도 수준이 높았다. 학습유형은 품질요소와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소극적 학습유형은 커뮤니티, 교강사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타 유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닝의 성과에 있어 품질요소와 학습자특성 간 관계에 실증적 연구성과를 추가하였으며, 추후 이러닝 사용목적, 사용형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등 이러닝의 성과 연구에 있어 타 요인들과의 관련성 연구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n Flip Learning Application to Preparatory Childhood Teachers)

  • 표창우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9-47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에게 플립러닝을 적용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3년제 유아교육과의 1학년 1학기 2학점 교직과목을 수강한 76명의 대학생이었다. 학기는 3월 초부터 6월 중순까지 13주간의 수업으로 운영되었으며 모든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 저널을 질적 분석하였고 장점 3가지, 단점 4가지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장점은 첫째, 적극적 수업참여, 둘째, 반복학습, 셋째, 자기주도학습이었다. 단점은 첫째, 수업시간부담, 둘째, 플립러닝 방법개선, 셋째, 자기주도 학습능력 필요, 넷째, 사전학습 환경 불안정에 대한 경험을 제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에게 플립러닝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대학의 교수자 및 학습자들에게 좀 더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현직교원과 예비교사간의 정보활용능력 격차 분석 (An Analysis on Gap of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김형진;남영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3-52
    • /
    • 2012
  •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은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 정보소양 및 정보활용교육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 없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 계발은 교사의 교과 수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며, 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간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교원과 예비교사의 종합 정보활용능력 지수는 각각 74.4점과 50.5점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현직교원의 약 68%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 도교육청 및 교원양성기관은 예비교사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수립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PDF

e-Learning 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e-Learning Systems)

  • 이문봉;김종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1-188
    • /
    • 2006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had a dramatic effect on education method and individual life.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 making large investments in e-Learning applications but are hard to press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their e-Learning systems. e-Learning can be seen as not only one of Internet based information systems which can provide education services but also one of teaching-teaming methods which can implement self-directed teaming. This paper tests the updated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proposed by Delone and McLean using a field study of a e-Learning. The five dimensions -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net benefit - of the updated model are parsimonious framework for organizing the e-learning success metric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Questionaires are collected from 107 students who are enrolling a e-learning class using online survey. The model is tested using SPSS and LISREL.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e-Learning system but system quality is not. Also us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the learning performance. This strong association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teaming performance suggests that user satisfaction may serve as a valid surrogate for teaming performance. Empirical testing of the updated DeLone & McLean model should therefore be extended to cover a wider variety of systems.

  • PDF

사회봉사 교과목 수강전후 간호학생들의 자아실현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in Self-actualiz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fter a Voluntary Program)

  • 박후남;최영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85-299
    • /
    • 1999
  • The Effect of Curriculum with voluntary program on Self-Actu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voluntary program experience with curriculum on self-actualiz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guide the desirable voluntary activity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utilized in this study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gathered two times with self-actualization test. First data were gathered before voluntary activity. And second data were gathered after instruction and five times voluntary activity. The data were analized by frequency, t-test, paired t-test and ANOVA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cores of self-actu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belonged to normal range. Before voluntary activity,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ndardized group in Nature of Man, Constructive Scale (P<.001), and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tandardized group in Feeling Reactivity Scale(P<.05)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struct Sscale (P<.001). After the activity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ndardized group in Self Actualizing Values Scale(P<.001), Existentiality (P<.01), Spontaneity Scale (P<.001). Self Acceptance Scale(P<.05) and Nature of Man, Constructive Scale (P<.001). After the activity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before the activity in Inner Directed Scale (P<.001). Self Actualizing Values Scale (P<.001), Feeling Reactivity Scale (P<.001), Capacity for Intimate Construct Sscale (P<.001). Spontaneity Scale (P<.01), Time Competent Scale (P<.05) and Existentiality (P<.05). And the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before the activity in Self Regard Scale, Self Acceptance Scale and Nature of Man, Constructiv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voluntary activities were effective self-actualization. So, it is thought that voluntary program is necessary in the curriculu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self-actualization test after various experience of voluntary activity in college students. 2) It is necessary to grope the plans to activate the social service programs. 3) It is necessary to study continious and voluntary social service of college students.

  • PDF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층별 조절효과를 반영하여) (A study on the impact of technology using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Reflecting the control effect with grade to organizations))

  • 박동국;박구만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3-50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FGI분석을 통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Use of Social Curation Service Using the FGI Analysis)

  • 오미자;김미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67-276
    • /
    • 2016
  • 본 연구는 관심사형이라고 불리우는 3세대 SNS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해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여 약 50일간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게 한 후 Focus Group Interview(이하 FGI)를 실시하여 그 답변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NVivo 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 수집, 나만의 카테고리 생성을 통한 분류 및 정리, 관심사에 대한 지속적 업데이트 가능, 기존 SNS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 감소가 장점으로 도출되었다. 보완 및 개선 사항으로는 한국어 콘텐츠 부족, 서비스의 단조로움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속적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는 개인, 팀별로 구분하여 개인은 자발적 정보 검색 및 활용, 나만의 자료 구성 가능,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이 가능하며, 팀별로는 공유를 통한 토론 활동, 발표 활동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중학교 체육교과 웹기반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Instructional System b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for Physical Education at Middle School)

  • 김세민;하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127-134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using a Web-Based Instruction system is a better method to help counteract deficient teaching, learning conditions and facilities thus improving the students' interest, understanding, participation and skill development in Physical Educati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dvantage of using this system is that the theory of Softball is explained with the use of pictures rather than text, thus improv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The second is the method in which practical skills are explained and demonstrated. Action image sequences are used as opposed to the old method of using stationary pictures.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can clearly see and understand why and, more importantly, how to use these skills. The third advantage is the technique used to teach the application of these skills. Using active rather than passive learning and thus engaging the student encourages improved participation and learning. The fourth advantage comes in evaluatio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questions are asked in theoretical evaluation, and the teachers can evalu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skill development by filming their actual Softball games. The final advantage is the use of Self-Directed Learning to aid learners'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the lesson content as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re constructe

  • PDF

군에서의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elf-improvement programs in military)

  • 이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23
    • /
    • 2015
  • 최근 군에서는 병사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군 생활을 영위하도록 병영문화정책을 개선해 오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A사단에서는 모든 병사들이 참여하는 "목표지향적 자기계발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인생목표를 설정한 다음 군에서의 목표뿐 아니라 전역 후 까지 연계해서 자기계발을 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병사들의 목표관리와 자아존중감, 군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다 건강한 병영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전략들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 실시를 한 A사단(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B사단(통제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실험집단 257명과 통제집단 231명 등 총 48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검증)와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을 실시한 장병들이 그렇지 않은 장병들보다 위에서 언급한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